NCP에 로그인하여 Console에 접속합니다.
https://console.ncloud.com/dashboard
Server 클릭후
Server 생성
- Server 생성
- centos-7.3-64 선택 후 다음
- 서버 이름을 적당하게 입력합니다.
잘 생각이 나지 않으신다면 그냥 gnuboard 라고 입력합니다. - 보유하고 있는 인증키를 이용하거나 인증키가 없다면 새로운 인증키를 생성합니다.
인증키 이름이 생각나지 않는다면 그냥 gnuboard 라고 합니다. - 보유하고 있는 ACG(Access Control Group) 중에서 선택하거나 신규 ACG를 생성합니다.
- 서버생성 후 5분 정도 기다리면 서버가 생성중에서 운영중으로 바뀝니다.

Public IP 연결
WEB 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공인 IP를 반드시 연결해 줘야 합니다.
- 공인 IP 신청
- 적용 서버 선택에서 아까 생성했던 서버 gnuboard를 선택하여 확인을 누릅니다.
- 1분 이내에 아까 생성했던 서버와 공인 IP가 연결 됩니다.
ACG
- 아까 생성했던 gnuboard ACG에 다음과 같이 설정한후 적용합니다.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
서버 생성시에 설정한 인증키 파일을 첨부하여 root 비밀번호를 알아냅니다.
- pem 파일을 첨부하여 다음과 같이 root 비밀번호가 나옵니다.

서버 접속
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합니다.
- 서버에 접속한 후에는 관리자(root) 비밀번호를 바꾸는 것이 나중에 접속하기 편합니다.
- 파일의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편하게 하기 위하여 yum install lrzsz 으로 rz, sz 을 설치합니다.
- 이 게시물에 첨부된 setup.sh 파일을 rz 으로 업로드하여 실행권한을 주고 실행을 하면 NGINX + PHP-FPM + MariaDB 가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설치완료
설치가 끝난후 브라우저에서 해당 IP로 접속하여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면 성공!!!

-끝-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6019 | |
| 16015 | |
| 16014 |
jQuery
jQuery.holdReady( hold )
|
| 16013 |
jQuery
jQuery.hasData( element )
1
|
| 16011 | |
| 16010 | |
| 16009 |
jQuery
jQuery.globalEval (code)
|
| 16008 | |
| 16004 | |
| 16003 |
jQuery
jQuery.getJSON()
|
| 16002 |
jQuery
jQuery.get()
|
| 16001 |
jQuery
jQuery.fx.off
|
| 15993 |
jQuery
jQuery.fx.interval
|
| 15992 |
jQuery
jQuery.fn.extend ()
2
|
| 15991 |
jQuery
jQuery.extend()
|
| 15988 |
jQuery
jQuery.escapeSelector ()
|
| 15987 |
jQuery
jQuery.error (message)
|
| 15986 |
jQuery
jQuery.each()
|
| 15985 |
jQuery
jquery 가상 선택자 확장하기.
|
| 15981 |
jQuery
jQuery.dequeue()
|
| 15980 |
jQuery
jQuery.Deferred()
|
| 15979 |
jQuery
jQuery.data()
|
| 15978 |
jQuery
jQuery.cssNumber
|
| 15977 |
jQuery
jQuery.cssHooks
|
| 15976 | |
| 15975 |
jQuery
jQuery.Callbacks ()
|
| 15974 |
jQuery
jQuery.ajaxTransport ()
|
| 15973 |
jQuery
jQuery.ajaxPrefilter()
1
|
| 15971 |
jQuery
jQuery.ajaxPrefilter()
|
| 15970 |
jQuery
jQuery.ajax()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