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wsl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마운트를 잡아주지만,
VirtualBox는 사용자가 직접 세팅을 해야하니까 어려운 점이 있을것 같아서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략하게 정리 해봤습니다.
설정 > 공유폴더 > + 버튼 클릭

우분투에 마운트 할 폴더를 설정합니다. 체크란에 자동 마운트, 항상 사용하기 등에 체크합니다.

ubuntu 콘솔에서 다음과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일반적으로 공유폴더를 하실 경우
[code]
sudo mount -t vboxsf [공유폴더에 설정한 폴더이름] [ubuntu mount 경로]
[/code]
특정 계정에 마운트 ( 예시 nginx 계정 33)
[code]
sudo mount -t vboxsf [공유폴더에 설정한 폴더이름] [ubuntu mount 경로] -o uid=33,gid=33
[/code]
저는 웹 개발의 환경을 만들기 위해 nginx의 계정인 www-data의 uid와 gid를 추출하여 실행해 보겠습니다.
마운트 경로는 /mnt로 하겠습니다.
[code]
sudo mount -t vboxsf project /mnt -o uid=33,gid=33
[/code]
mnt 경로에서 ls로 확인해 보니 공유폴더의 있는 폴더들이 잘나옵니다.

추가 선택 사항 tip )
nginx 웹루트 경로를 마운트 경로로 잡아주시고, 그 경로에 git을 클론하여 쓰시면
됩니다. 그러면 개발환경이 그럴싸하게 됩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91 | |
| 17162 | |
| 17160 | |
| 17158 | |
| 17156 | |
| 17155 | |
| 17153 | |
| 17151 | |
| 17145 | |
| 17135 |
Mobile
플러터와 네이티브 어플
2
|
| 17131 | |
| 17125 | |
| 17114 | |
| 17107 |
JavaScript
정규표현식 정리
2
|
| 17099 | |
| 17096 | |
| 17089 | |
| 17088 | |
| 17082 | |
| 17079 | |
| 17078 | |
| 17077 | |
| 17070 | |
| 17068 |
JavaScript
포인문으로 엘레먼트의 "속살" 보기
4
|
| 17067 | |
| 17063 | |
| 17060 | |
| 17048 | |
| 17045 | |
| 17044 |
PHP
알고있으면 좋은 코드
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