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까지만 해도 우리는 아래처럼 요소에 접근을 했습니다.
document.getElementsByTagName("div") : 엘리먼트로 접근
document.getElementById("myId") : 아이디로 접근
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my-class") : 클래스로 접근
document.getElementsByName("myName") : 네임으로 접근
그러나 요즘은 이렇게 사용하지를 않습니다. 왜냐하면 document.querySelector 라는 강력한 도구가 있기 때문이죠.
아래처럼 접근합니다. 우리가 css 를 쓰는 것과 동일하니까 가독성도 높습니다.
document.querySelector("div") : 엘리먼트로 접근
document.querySelector("#myId") : 아이디로 접근
document.querySelector(".my-class") : 클래스로 접근
document.querySelector("input[name='myName']") : 네임으로 접근
위에서 "input[name='myName']" 으로 접근하는 방식은 아주 효과적인 것인데요. 예를 들어서
<a href="...sir.kr/...">클릭</a>
위의 링크태그에 접근하려면 href 에 sir.kr/ 이라는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는 <a> 태그라고 하면 되니까요.
document.querySelector("a[href*='sir.kr/']")
이런 식의 응용사례는 본인들이 직접 구글링을 해 보세요.
그리고 클래스는 여러개를 쓸 수 있으므로 document.querySelectorAll 을 써 배열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document.querySelectorAll(".my-class")[0]
document.querySelectorAll(".my-class")[1]
document.querySelectorAll(".my-class")[2]
document.querySelectorAll(".my-class")[3]
즉 document.querySelector(".my-class") 과 document.querySelectorAll(".my-class")[0] 는 동일한 대상이죠.
배열처럼 기능하므로 for in, for of, forEach 를 쓸 수 있습니다. 저는 보통 for of 를 사용합니다.
여튼 루트을 돌려 저것들에게 글자색상을 red 로 주고 width 를 100px 로 한꺼번에 주려면...
for (i of document.querySelectorAll(".my-class")) {
i.style.color = "red";
i.style.width = "100px";
}
만일 [1] 에만 red 를 주고 나머지는 blue 를 주려면 카운터변수를 하나 생성해서 아래처럼요.
count = 0;
for (i of document.querySelectorAll(".my-class")) {
i.style.color = count == 1 ? "red" : "blue";
count++;
}
이제 종착역이 다가왔네요. 문제는...
document.querySelector 나 document.querySelectorAll 은 글자길이가 너무 깁니다.
물론 짧은 글자의 변수를 하나 연결해도 되겠지만 연결해야 할 대상이 많으면 영 그렇죠.
그래서 요즘 제가 착안한 방식입니다. 화살표 함수를 두개 만들고 이걸 상수화 시켰습니다.
const $_ONE = (one) => document.querySelector(one);
const $_ALL = (all) => document.querySelectorAll(all);
이렇게 해 놀으면
document.querySelector("#myId") 은 $_ONE("#myId") 로 간결화 됩니다.
document.querySelectorAll(".my-class")[1] 은 $_ALL(".my-class")[1] 로 간결화 됩니다.
관례적으로 상수의 네이밍은 모든 글자를 "대문자"와 "언더바"로 사용하기 때문에 달러 하나 주고 저리 이름을 주었는데 본인들이 다른 형태의 네이밍을 해도 상관은 없습니다.
댓글 2개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8200 | |
| 18195 | |
| 18193 | |
| 18181 | |
| 18179 | |
| 18173 | |
| 18170 | |
| 18164 | |
| 18158 | |
| 18155 | |
| 18152 |
JavaScript
한글과컴퓨터 키워드추출스크립트.
2
|
| 18151 | |
| 18150 |
JavaScript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효과 6가지
|
| 18140 | |
| 18139 | |
| 18138 |
JavaScript
마우스로 td 간격 조정하기.
1
|
| 18131 | |
| 18130 |
JavaScript
엘레먼트에 다이렉트로 변수,배열,객체 심기
|
| 18120 | |
| 18119 | |
| 18118 |
jQuery
0원팁- 숫자형 아이디에 접근하기
1
|
| 18117 |
jQuery
유용하게 써먹는 반응형 grid
1
|
| 18116 | |
| 18111 |
MySQL
db에서 트리거 만들기
|
| 18110 | |
| 18108 |
JavaScript
디바운스 debounce의 개념
1
|
| 18107 |
JavaScript
jquery 타이머 만들기
2
|
| 18106 | |
| 18100 | |
| 18090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