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스 툴- Slice Tool (단축키 K)
이 기능은 웹용 이미지를 제작할 때 쓰는 기능이다. 웹에 큰 이미지를 올리게 되면 로딩속도가 길어지고 또 이미지내의 특정부분에 링크를 걸 때는 불편함을 가지게 된다. 이 때는 이미지를 나누어 배치하는 것이 좋은데 바로 이 슬라이스 툴이 이미지를 나누는 툴이다. 이 때 File 메뉴의 Save For Web 을 이용하여 저장하면 나눈 이미지와 함께 html 문서로 저장할 수 있다.

확장 메뉴 (아이콘을 길게 누르고 있으면 나타난다)

슬라이스 툴(Slice Tool - K)
슬라이스 선택툴(Slice Select Tool-K)
슬라이스 툴로 이미지를 나눈 상태



슬라이스로 나누어진 이미지들의 정렬 옵션이다. 맨 위로, 한단계 위로, 한단계 아래로, 맨 아래로 등이 있다.
Promoto to User Slice
슬라이스로 이미지를 나눈후 크기 등을 변경할려면 활성화가 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모든 부분이 활성화가 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직접 드래그 를 해서 그려준 부분만 활성화가 되어 있다. 나머지 슬라이스 부분을 편집할려면 이 버튼을 누르고 활성화를 시켜주어야 한다.
Slice option
슬라이스된 각각의 이미지에 html을 코딩할 때 사용하는 옵션이다.
Slice Type: Image와 Html에서 선택
Name: 슬라이스 된 이미지의 이름을 결정
URL: 슬라이스 된 이미지의 하이퍼 링크
Target: 하이퍼 링크가 열릴 타켓
Message Text: 마우스를 위치했을 때의 설명
Alt Tag: 마우스를 위치했을 때 브라우저 하단에 나타날 설명
Dimensions: 이미지 크기의 재설정

슬라이스 된 이미지를 저장하려면 Save For Web을 사용해야 한다. Save For Web은 슬라이스 된 이미지의 저장 뿐 아니라 웹 이미지 저장에 필요한 여러 옵션들을 가지고 있다. Menu 를 공부할 때 다시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게시판 목록
개발자팁
질문은 QA에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56 | 기타 | 20년 전 | 6225 | ||
| 55 | 기타 | 20년 전 | 4813 | ||
| 54 | PHP | 20년 전 | 4253 | ||
| 53 | MySQL | 20년 전 | 4830 | ||
| 52 | JavaScript | 20년 전 | 5071 | ||
| 51 | 기타 | 20년 전 | 4084 | ||
| 50 | JavaScript | 20년 전 | 4065 | ||
| 49 | PHP | 20년 전 | 4627 | ||
| 48 | JavaScript | 20년 전 | 3997 | ||
| 47 | 기타 | 20년 전 | 3509 | ||
| 46 | JavaScript | 20년 전 | 4274 | ||
| 45 | JavaScript |
prosper
|
20년 전 | 4039 | |
| 44 | 기타 | 20년 전 | 3784 | ||
| 43 | 기타 | 20년 전 | 4223 | ||
| 42 | 기타 | 20년 전 | 3216 | ||
| 41 | 기타 | 20년 전 | 3413 | ||
| 40 | JavaScript | 20년 전 | 4384 | ||
| 39 | 기타 | 20년 전 | 4114 | ||
| 38 | 기타 | 21년 전 | 7139 | ||
| 37 | 기타 |
prosper
|
21년 전 | 4509 | |
| 36 | JavaScript |
prosper
|
21년 전 | 3573 | |
| 35 | 기타 | 21년 전 | 3723 | ||
| 34 | JavaScript | 21년 전 | 4566 | ||
| 33 | 기타 | 21년 전 | 4319 | ||
| 32 | JavaScript | 21년 전 | 3480 | ||
| 31 | 기타 | 21년 전 | 6431 | ||
| 30 | 기타 | 21년 전 | 5262 | ||
| 29 | JavaScript | 21년 전 | 4610 | ||
| 28 | MySQL |
prosper
|
21년 전 | 4812 | |
| 27 | MySQL | 21년 전 | 8169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