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화두가 던져졌네요~ 의견들 주세요~~^^

· 15년 전 · 1401 · 28
http://sir.co.kr/bbs/board.php?bo_table=pl_qa&wr_id=350

세상이미쳤어님이 좋은 댓글을 하나 주셨네요~

보시고서 추가적인 의견들 부탁드립니다~~~~

어쩌면 요 기획자란의 실마리를 풀어가는 계기가 될지두..^^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28개

웹기획 슈퍼바이저를 모시고 오도록 연구를 해봐야겠습니다.
끙~~~
15년 전
슈퍼바이저를 데리고 오기 힘들다면....
슈퍼바이저가 없어도 슈퍼바이저가 되려고 하는사람이 많아지면 될지도모르겠네요...^^;
리자님! 슈퍼바이저가 문제라면 플랜업의 이정훈 대표 초빙해 주시면 될 듯..^^
http://enewstoday.co.kr/sub_read.html?uid=227869&section=sc1
아무래도 공통화된 생각들을 애기하면 모를까 실제 기획에 대해서는 다들 밥줄로 생각하고 말씀을 잘 안하실것 같네요... 그리고 바쁘기도하고...
여유가 있다면...
또한 연재기사 형태로 올라가면 좋치만 어쩌면 전문기획만 하셔서 일반화된 기획자료라고 생각되어
글을 올리면 모를까?
웹기획쪽으로는 아무래도 웹마를 겸하는경우가 많타보니 그런 어려운점이 발생하지 않나 싶네요..
시시시님이 어서 총대 매주세요~ 얼굴도 좀 뵈시구요~^^
15년 전
안녕하세요?

너무 높이 제글을 평가해주셔서..

나름데로 몇마디 붙이고 가겠습니다.

원래 1998년~1999년에 국내에 IT바람이 불며 넘어온 기획자들이..
광고대행사에서 기획을 하거나 마케팅을 하던 분들이 넘어왔었습니다.

그땐 데이콤,천리안 통신 시대였고요!
아마 2002년인가 2003년 인가에 빠른분은 기획자 홈페이즐 만들고 페이퍼를 나누고
나름데로의 커뮤니티를 이끄셨던분이 나왔었습니다.

물론 페이퍼는 페이퍼일 뿐 이지만..

그런데 이 웹기획자란 분들이 거의가 웹에대한 이해가 낮은 분들이어서..
완전히 몽상가적인 사고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웹에이젠시 들과 기업들의 관리자급들이..
이들에게 화두를 던져주고 그리고 스토리보드를 그려오도록 하였습니다.

이게 시발점입니다.

그런데 이 웹기획자가 웹설계,개발쪽과 마찰이 많이도 생겼습니다.
초창기엔 프로그램을 전혀모르는 기획자분이 웹개발 파트를 책임지는 우스운 헤프닝도 생겼고요.

조금후엔 서로 싸우기 시작했습니다.
마치 달걀과 계란 식으로 어떤게 먼져냐면서요!

아무튼 초창기 국내 웹IT는 이렇게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초창기의 웹코딩 역시 DIV 였습니다.
당시엔 일명 찍찍이라고 하였죠!

그런데 어느 순간 찍찍이를 사용하지 말고 테이블을 사용하라고 하였습니다.
이유는 생략하겠습니다.

그리고 2001년 부터 국내 IT시장의 분괴가 시작되었고..
웹 개발 팀장들도 많이 발전하게 되었고..어려운 시절이 되자..
업체는 비싼 기획자를 없애고 차라리 그 돈으로 개발자를 두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국내 IT의 역사라고 할수 있겠지요?

그럼 여기서 제가 말씀드리고자 하는것은 역사가 아닌 왜?
라는 화두를 던집니다.

광고대행사의 기획자가 웹쪽의 기획자로 오게된것인가?
이것이 중요한 부분 입니다.

기획을 하려면..다음의 경우가 필요합니다.

1. 분석,조사,수립 - 마케팅 적인 부분
2. 기획 아이템의 개연화
3. 디자인 적인 요소, 색채및 심리적인 반응
4. 기획의 독창성 및 가치 구현
5. 기획의 구체화 단계로써 컨셉 및 UI 결정
6. 시장 반응 및 예측 그리고 예산 수립
7. 기획의 플로우
8. 모든 기획의 페이퍼 작성
9. 의견 수렴 및 수정
10. 실행

이런 일련의 단계를 거쳐갑니다.

기획을 하시려면 일단 개발자분들은 디자인,마케팅적인 부분을 소화해내셔야 합니다.

초창기 웹기획자 들이 웹개발은 몰랐지만 그 들에겐 그 것들이 있었으며..
그들은 하루에도 건물을 두서너체 짓고는 허무는 몽상가 였고
그들은 마케터요!
컨설런트였기에 가능했던 것입니다.
그렇기에 그 들은 기획서를 가지고 사람들을 설득시키고..
심지어는 투자까지 이끈것입니다.

저의 짧은 글이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돼세요!
잘 봤습니다~ 한가지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말씀해 주신것과 별도로.. 세상이미쳤어님이 생각하시는
기획의 가치를 한마디로 요약해서 말씀해 주신다면 무엇일까요?
15년 전
기획의 가치를 답하긴 보다..
기획자란? 의 가치를 말하고 싶습니다.

기획자는 위에 언급하지 않은 아이디어를 창출하기도 하며
때론 받은 아이디어를 실현화 시키는 역활을 하기에 그 가치가
이미 부여 되어 집니다.

단, 그러나 좋은 기획은 있을수 있어도 성공한 기획은..
여러 가지 조건이 따릅니다.
그것은 국내외 정세, 정치,경제,사회,트랜드,자금 등등
한마디로 운이 따릅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얼마전에 본 책에 보면..

"기획자 마인드, 이건 정말 마법이야. 기획자 마인드를 갖는 순간부터
직장인은 노동자가 아니라 CEO가 되네."

이런 대목이 있습니다. 저는 이것에 무척이나 공감하는데,
세상이미쳤어님이 보시기에는 어떠신가요? ^^
15년 전
현실 2010년에 기획자를 한다면 이미 슈퍼바이져 급 또는 CEO 가 되어 있겠죠!
아니면 이미 기획자가 아닌 영업맨이겠네요^^

CEO 가 아닌 이상 제일 늦게 일하고 가장 많이 일하는 사람이 기획자입니다.

님이 질문한 내용은 위에 제가 말씀드린..

사업을.. 또는 아이디어를..
실현 시키는 역활 (수립과 설득..그리고 실행)
이 기획자의 역활이므로 당연한 글이라고 봅니다.

한마디로 기획자의 가치와 역활이란?

사업을.. 또는 아이디어를..
실현 시키는 역활 (수립과 설득..그리고 실행)
이 기획자의 역활 입니다.

" 기획자 마인드를 갖는 순간부터 기획자는 노동자가 아니라 CEO가 머리가 되네"
라고 정의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660
655
626
594
585
561
557
554
549
524
510
464
462
461
460
451
418
400
392
386
376
362
357
352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