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pop3, imap 설치

먼저 소스를 다운받는다.

주소 : http://www.washington.edu/imap/
ftp : ftp://ftp.cac.washington.edu/imap


[root@www src]# tar zxvf imap-2001a.tar.Z
[root@www src]# cd imap-2001a
[root@www imap-2001a]# make slx
imap을 컴파일 한다



컴파일시 ssl관련 에러가 뜨면서 컴파일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는

ssl관련된 프로그램이 make의 설정에 있는 디렉토리가 아니라

다른 디렉토리에 설치되어 있거나 하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한 것이다.

make시 옵션을 slx말고 자신에게 맞는 옵션을 찾아서 설치하면 된다.

make파일을 열어서 SSL로 검색을 하면 옵션별로 SSL 디렉토리 참조하는 부분이 있는데

옵션별로 해당 SSL디렉토리가 모두 다르다, 그러니 하나씩 확인해보면서 하면된다.


컴파일이 완료되면 imapd 디렉토리에 imapd가 ipopd디렉토리에는 ipop2d,ipop3d가 생성된다.
ipop2d는 잘 쓰지 않으므로 복사하지 않아도 됩니다.

생성된 실행화일들을 복사.

[root@www imap-2001a]# cp imapd/imapd /usr/sbin
[root@www imap-2001a]# cp ipopd/ipop3d /usr/sbin
[root@www imap-2001a]# cp ipopd/ipop2d /usr/sbin

이들은 xinetd 슈퍼데몬에 의해서 실행되므로 클라이언트 쪽에서 접속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려면 환경설정을 수정해 주어야 한다.

배포판 레드햇6.2이하에서는 inetd 슈퍼데몬에 의해 실행되므로 환경설정이 조
금 다릅니다.

실행을 위한 환경설 정화일을 생성.
[root@www imap-2001a]# vi /etc/xinetd.d/imapd

service imap
{
disable = no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sbin/imapd
log_on_success += HOST DURATION
log_on_failure += HOST
}

[root@www imap-2001a]# vi /etc/xinetd.d/ipop3d

service pop3
{
disable = no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sbin/ipop3d
log_on_success += HOST DURATION
log_on_failure += HOST
}

[root@www imap-2001a]# vi /etc/services
......
pop3 110/tcp pop-3 # POP version 3
pop3 110/udp pop-
3
......
imap 143/tcp imap2 # Interim Mail Access
Proto v2
imap 143/udp
imap2
......

보통 위의 내용이 있습니다.
찾아보고 있으면 주석처리가 되어 있지 않는지만 확인하고 그대로 두세요.

[root@www imap-2001a]# /etc/rc.d/init.d/xinetd restart 슈퍼데몬을 재가동.

Stopping xinetd: [ OK ]
Starting xinetd: [ OK ]

telnet을 이용하여 로컬호스트 110포트(pop3)로 접속하여 테스트 합니다.

[root@www imap-2001a]# telnet localhost 110
Trying 127.0.0.1...
Connected to localhost.localdomain.
Escape character is \'^]\'.
+OK POP3 localhost.localdomain v2001.78 server ready
user mhbaek
+OK User name accepted, password please
pass abc123
+OK Mailbox open, 0 messages
quit
+OK Sayonara
Connection closed by foreign host.

IMAP은 기본적으로 143 포트를 사용.



================================================================================



access 에서 relay에 도메인 추가해주셔야합니다.
webmaster@뒤에 계정... 그리고 RELAY 해주시고
센드메일 처음 설정하셨다면 기본 셋팅으로 내부에서만 메일 보내지게 되어있습니다.
설정파일은 /etc/mail/sendmail.mc 파일이고
DAEMON_OPTIONS(어쩌고 저쩌고)
이줄을 찾아서 앞에 주석 붙여주세요.
주석은 dnl 붙여주심 됩니다.
붙여주신후에 m4 /etc/mail/sendmail.mc > /etc/sendmail.cf 하시면 됩니다.
대부분 메일 안보내진다면 두가지 문제일 가능성이 젤 높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센드메일 재시작 해주셔야합니다.
/etc/rc.d/init.d/sendmail restart [엔터]<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3개

오~ 이런게 있었군요.^^&
감사합니다.
설치 실패 했습니다. ㅠㅠ
관리자님께서 실패를 하시다니. -_-
imap은 설치가 어렵지 않은데.. -_-;;

전 qmail과 vpop를 사용하는데 그전에 imap을 잠시 돌린적이 있었습니다.
qmail-pop3d도 꽤 오래돌렸었고.

리자언니가 실패했다니.. 구.라.쟁.이.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9921
28612
28611
28605
9920
JavaScript Samba 설정
9916
9915
28596
9906
28572
HTML if 23
28564
9898
24744
24742
24741
24736
28558
9896
9893
9892
9891
9890
28557
9889
9888
9887
9885
9884
28555
9883
9881
9880
9879
9878
9877
9876
9873
9871
9864
9840
9836
9834
9832
9830
9828
9826
9797
9754
9709
9686
9646
9634
9617
9615
9613
28553
9611
9607
24726
24725
24721
9569
9567
9550
9531
9527
28550
9493
9479
9431
9418
9372
9331
9267
9216
9215
9214
28549
28548
9213
28543
9211
9210
9208
24718
24706
24702
24701
24698
24695
9202
28540
24688
9194
24679
24674
24670
9193
9191
9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