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php > 내가 만들어 쓰는 함수 > 이미지 복사하기

· 15년 전 · 1820
대단할것은 없는 강좌이지만,
제 강좌를 출처를 밝히고 외부로 퍼가는 것은 허용하지만,
다른 강좌의 자료나 책의 자료로 사용되거나 부분적인 인용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강좌는 php 5. 대를 기준으로 하며, 기본적으로 GD 나 FREETYPE 등의
기본적인 라이브러리는 연동되었다는 가정하에 진행합니다.

예전 개발 환경에서는 GD 나 FREETYPE 등의 연동여부나 php버젼들을 따졌지만,
요새 개발 환경에서는 대부분 기본적으로 다 제공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php > 내가 만들어 쓰는 함수 > 이미지 복사하기 입니다.

이전에는 getimagesize, image_type_to_extension, image_type_to_mime_type 등의 함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는 실질적인 예제와 함수 설명을 곁들여 진행하고자 합니다.

앞으로 하는 예제들은 실제로 해보는 것이 중요하니,
자신의 컴퓨터에 apmsetup이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테스트 환경을 만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apmsetup의 다운로드는 http://apmsetup.com/download.php 여기에서 할수 있습니다.
apmsetup을 다운받으셔서 설치하시고
C\APM_Setup\htdocs 안에 image_test 폴더를 만듭니다.
index.php 파일을 만들고 그안에 '이미지 테스트' 라고 써넣습니다. 그리고 저장합니다.
브라우져에서 http://localhost/image_test/ 라고 넣고 띄워봅니다.
정상적으로 '이미지 테스트' 라고 나온다면 테스트 할 준비가 다 되었습니다.

이번 내용은 제목에서도 나와있듯이 이미지 복사하기 입니다.
jpg 나 gif, png 타입의 이미지를 그대로 복사하여 새로운 파일명으로 저장하는 예제를 통해서 이미지 생성과 저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첨부파일에 있는 sample_image.zip 을 다운받아 image_test 폴더에 압축을 풉니다.
sample_image 폴더안에는 세개의 이미지가 있으며
제가 테스트를 위해서 자료실에서 사진 한장을 다운받아 다른 확장자로 새로 저장한것입니다.

예제1 : test1.php

<?php

//gif 이미지 복사.
$im_gif = imagecreatefromgif('sample_image/test.gif');
imagegif($im_gif, 'sample_image/test_copy.gif');
imagedestroy($im_gif);

if (is_file('sample_image/test_copy.gif')) echo "test_copy.gif 가 정상적으로 복사되었습니다. <br>\n";
else echo "test_copy.gif 가 정상적으로 복사되지 못했습니다. <br>\n";

//jpg 이미지 복사.
$im_jpg = imagecreatefromjpeg('sample_image/test.jpg');
imagejpeg($im_jpg, 'sample_image/test_copy.jpg');
imagedestroy($im_jpg);

if (is_file('sample_image/test_copy.jpg')) echo "test_copy.jpg 가 정상적으로 복사되었습니다. <br>\n";
else echo "test_copy.jpg 가 정상적으로 복사되지 못했습니다. <br>\n";

//png 이미지 복사.
$im_png = imagecreatefrompng('sample_image/test.png');
imagepng($im_png, 'sample_image/test_copy.png');
imagedestroy($im_png);

if (is_file('sample_image/test_copy.png')) echo "test_copy.png 가 정상적으로 복사되었습니다. <br>\n";
else echo "test_copy.png 가 정상적으로 복사되지 못했습니다. <br>\n";

?>

위의 예제를 test1.php 에 저장한다음 http://localhost/image_test/test1.php 로 확인을 해보면
test_copy.gif 가 정상적으로 복사되었습니다.
test_copy.jpg 가 정상적으로 복사되었습니다.
test_copy.png 가 정상적으로 복사되었습니다.
와 같은 결과를 볼수 있습니다.
sample_image 폴더를 열어보면 세개의 파일이 복사되었음을 알수 있습니다.


imagecreatefromgif, imagecreatefromjpeg, imagecreatefrompng
이 세개의 함수는 자신의 함수명과 동일한 이미지 타입의 이미지 경로를 인자로 받아서 그 이미지로 부터 이미지 리소스를 받아와서 반환하는 역활을 합니다.
만약 인자로 받은 경로가 파일이 아니거나, 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같은 이미지 타입이 아닌 이미지일 경우 에러를 발생합니다.
에러가 발생시의 반환되는 값은 false 입니다.


imagegif, imagejpeg, imagepng
이 세개의 함수는 이미지 리소스와 이미지 저장 경로를 인자로 받아서 함수이름과 동일한 이미지 타입의 이미지를 저장해주는 역활을 합니다.
이미지 저장에 성공하면 true, 실패하면 false 반환합니다.

이미지 저장 경로를 생략 할수도 있는데, 그것은 파일로 저장시가 아니라 브라우져에 바로 출력시켜줄때 사용합니다.
이 부분은 나중에 다른 예제와 함께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imagedestroy
이 함수는 이미지 처리를 하면서 생성된 이미지 리소스를 메모리상에서 지워주는 역활을 합니다.
이미지 처리를 완료후 이 함수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미지 리소스가 메모리를 계속 차지 하고 있어서
전체적으로 무거운 프로그램이 됩니다.
이미지 리소스 제거하면 true, 실패하면 false 를 반환 합니다.


is_file
이 함수는 이미지 처리와는 별개지만 자주 나올수 있는 함수이므로 설명하자면
인자로 받은 파일이 실제로 파일인지 아닌지 판별해 주는 역활을 합니다.
파일일 경우 true 파일이 아닐경우 false 를 반환합니다.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발생되는 에러를 미연에 방지 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사용 하는것이 일반적입니다.

예제2 : test2.php

<?php

$path_file = 'sample_image/test.gif';
$path_copyfile = 'sample_image/test_copy';//확장자 없이 파일이름까지만 사용한다.

if (!is_file($path_file)) {

   die("$path_file 는 파일이 아니어서 더이상 처리할수 없습니다. <br>\n");
}
 
$size = @getimagesize($path_file);
if (empty($size[2])) {

   die("$path_file 은 이미지 파일이 아니어서 더이상 처리할수 없습니다. <br>\n");
}

if ($size[2] != 1 && $size[2] != 2 && $size[2] != 3) {

   die("$path_file 은 이 프로그램에서 지원하지 않는 이미지 타입니다. <br>\n이 프로그램에서는 gif, jpg, png 타입의 이미지만 사용가능합니다. <br>\n");
}

$extension = image_type_to_extension($size[2]);
$path_copyfile .= $extension;

switch($size[2]){

  case 1 : //gif

    $im = @imagecreatefromgif($path_file);

    if ($im === false) {

       die("$path_file 에서 이미지 리소스를 가져오는 것에 실패하였습니다. <br>\n");
    }

    $result_save = @imagegif($im, $path_copyfile);

    break;

  case 2 : //jpg

    $im = @imagecreatefromjpeg($path_file);

    if ($im === false) {

       die("$path_file 에서 이미지 리소스를 가져오는 것에 실패하였습니다. <br>\n");
    }

    $result_save = @imagejpeg($im, $path_copyfile);

    break;

  case 3 : //png

    $im = @imagecreatefrompng($path_file);

    if ($im === false) {

       die("$path_file 에서 이미지 리소스를 가져오는 것에 실패하였습니다. <br>\n");
    }

    $result_save = @imagepng($im, $path_copyfile);

    break;
}

@imagedestroy($im);

if ($result_save === false) {

   die("$path_file 을 $path_copyfile 로  복사하는 것에 실패하였습니다. <br>\n");
}

if (is_file($path_copyfile)) echo "$path_copyfile 가 정상적으로 복사되었습니다. <br>\n";
else echo "$path_copyfile 가 정상적으로 복사되지 못했습니다. <br>\n";

?>

@ 는 함수명 바로 앞에 붙여서 사용하는데
함수가 실행되는 동안에 예기치 못한 에러가 발생할경우 에러메시지를 출력하게 되는데
그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합니다.
즉, 에러가 나도 에러메시지를 출력하지 말고 강제로 실행하라 라는 의미입니다.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16:08 PHP & HTML에서 이동 됨]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21248
13844
529
13842
526
29537
518
502
13840
25293
21244
29532
25288
29531
500
13836
21241
495
13832
25283
21236
13830
490
21220
21217
25277
25276
25275
484
13827
13825
13819
29529
13813
479
21211
25273
478
21201
25272
21189
477
476
21185
474
21181
21175
472
470
469
467
465
21168
25267
463
21164
21161
458
21146
457
13807
454
29528
451
447
21127
21122
25262
25254
21119
25251
25243
25239
21112
442
21103
25233
25222
25230
441
21100
25215
21097
21091
25212
25210
25209
21083
21080
439
438
436
25200
21066
25195
21055
21051
25192
21040
13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