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에 BLOB으로 저장하면 트래픽 이슈를 db서버가 고스란히 끌어앉는다 생각했는데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고 주소를 쏴준다고 하는 얘기를 들어서요.
mysql BLOB의 장점과 단점이 궁금합니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27:00 MySQL에서 이동 됨]</div>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고 주소를 쏴준다고 하는 얘기를 들어서요.
mysql BLOB의 장점과 단점이 궁금합니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27:00 MySQL에서 이동 됨]</div>
댓글 4개
머 이부분에 대해서도 여러가지 이슈들이 있겠지만...
web 서버 db 서버는 같은 class 의 network 안에서 사용합니다.
간단한 방법으로는 C class 계열로 같이 묶어놓습니다.
가령 web 서버는 192.168.1.10 , db 서버는 192.168.1.20 이런식으루요.
물려있는 허브도 기가비트 허브로, 양쪽 서버도 기가비트 랜카드로.
내부 통신이니 전송속도는 아무렴 빠릅니다만...
병목이 발생하는 요인은 단순히네트웍 전송속도에만 있지않고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db 설계상의 문제나 query 최적화, index 문제등이 고려되어있지 않은 경우 db 서버에 필요 이상의 부하를 줄 수 있습니다.
BLOB 때문에 부하가 걸릴지 어떨지는 동접자 수에 따라 다르겠죠....
모니터링 해봐야 알 수 있는 문제 같습니다.
여러 요소들을 점검해보셔야 될것입니다. 한꺼번에 여러 얘기들을 하려니 저도 머리가 꼬이네요 ^^;;
web 서버 db 서버는 같은 class 의 network 안에서 사용합니다.
간단한 방법으로는 C class 계열로 같이 묶어놓습니다.
가령 web 서버는 192.168.1.10 , db 서버는 192.168.1.20 이런식으루요.
물려있는 허브도 기가비트 허브로, 양쪽 서버도 기가비트 랜카드로.
내부 통신이니 전송속도는 아무렴 빠릅니다만...
병목이 발생하는 요인은 단순히네트웍 전송속도에만 있지않고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db 설계상의 문제나 query 최적화, index 문제등이 고려되어있지 않은 경우 db 서버에 필요 이상의 부하를 줄 수 있습니다.
BLOB 때문에 부하가 걸릴지 어떨지는 동접자 수에 따라 다르겠죠....
모니터링 해봐야 알 수 있는 문제 같습니다.
여러 요소들을 점검해보셔야 될것입니다. 한꺼번에 여러 얘기들을 하려니 저도 머리가 꼬이네요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