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Slow Query ( Mysql 부하 체크시 사용 )

· 13년 전 · 3313 · 1
 
대량의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잘못된 인덱스 사용으로 인해 장시간 Mysql 프로세스가 물리는 현상이 발생 할 경우
 
어떤 쿼리문이 이런 현상을 야기 시켰느냐에 대한 분석 시
 
Slow Query 를 사용하시면 손 쉽게 부하가 증가되는 쿼리를 찾으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사용 방법>
1. mysql 환경 설정 파일인 my.cnf 파일에 아래 내용을 추가 하시면 됩니다.
 
[mysqld]
long_query_time=초제한(1~10)
log-slow-queries=로그파일명
 
ex)
[mysqld]
log-slow-queries = /temp/mysql-slow.log
long_query_time = 3
위의 의미는 쿼리타임이 3초를 초과하는 쿼리에 대해 /temp/mysql-slow.log 파일에 로그를 남기라는 의미 입니다.
 
2. mysql 구동시 적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mysqld_safe --datadir=데이터디렉토리 --log-slow-queries[=file_name] &
 
< 로그 파일의 내용 >
# Time: 080218 13:25:06
# User@Host: XXXXX[xxxxx] @ localhost [127.0.0.1]
# Query_time: 8  Lock_time: 0  Rows_sent: 1  Rows_examined: 98767
use CrediMail;
SELECT count(*) FROM test
 
위의 양식으로 slow 쿼리가 남게 됩니다.
slow log 로 남은 쿼리들은 explain 을 사용하여 정상적인 index를 타고 있는지 체크 해 보는 방법으로
문제점을 찾아 가시면 될 것입니다.
ex) mysql>explain 문제시 되는 쿼리;
 
<참고>
Query_time : 쿼리 처리 시간
Lock_time : lock 이 걸린 횟수
Row_sent : 조회 결과 Row 수
Rows_examined : 조회 대상 Row 수
 
Reference URL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1개

13년 전
어디서 부하가 많이 걸리는지 알기에는 좋을것 같네요..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20097
20095
20093
20092
20091
20089
20086
20085
20084
20083
20082
28358
20081
20079
20078
20077
20076
20075
20074
20073
20072
20071
20070
20069
8148
20057
8141
24669
20056
8138
28353
20055
20054
20053
20052
20051
20050
20047
20046
20045
20044
8111
20043
20042
20040
20039
20037
20036
20035
20027
8107
31022
20026
20025
20024
20023
28350
20022
20018
20017
8099
20016
20013
8090
20012
20010
20009
19998
28348
28347
19997
19996
19995
19993
8087
8065
19990
8063
8056
19989
19988
19987
19986
19985
19984
19983
19982
8054
19981
19980
19979
19978
19977
19976
19975
19974
19973
19972
19971
19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