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DTD가 뭔가요?

· 13년 전 · 1008 · 6
DTD가 뭔가요?
 
그냥 그누보드랑 그누dtd랑 뭐가 다른거에요?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6개

프로그램언어를 프로그램언어 사전안에서 제작됐다는거예요
한국어로따지면 사투리없이 국어사전 틀안에서만
13년 전
좋은 예네요 ㅎㅎㅎ

<긍께 이거쫌 쪼까 보소>

<아부지 쫌 보셔유~>

<이것은 웹문서입니다>

요런 거네요 ㅎㅎ
13년 전
디도스 공격입니다 제가 하데스에요
?
13년 전
음..... 어렵군요. 웹표준같은건가 보죠?
13년 전
document type definition.

dtd로 코딩했다는 것은

<body>
<head>
<style></style>

이처럼 엉망으로 코딩하지 않고

<html>
<head>
</head>
</html>

처럼 태그들을 정해진 규격에 맞춰서 코딩했다는 것을 보장해주는 겁니다.

예를들어
<span>hi</span> 은 dtd에 맞게 되어져 있지만
<span><strong>hi</strong></span> 은 dtd 규격에 맞지 않습니다.

dtd type 은 3가지인데,

static , transitional, ... 하여간,

가벼운, 과도기적, 매우강함.. 3셋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데,

보통은 중간급인 transitional 을 선언하고,

브라우저는 transitional 로 선언된 문서는 대충 알아서 판단해서 부족한 부분을 맞춰주고,

가장 강하게 선언하면 브라우저에서 렌더링을 거부하거나, 아주 다르게 표시됩니다.



<div>
<div>
</div>

이런식으로 </div> 가 하나 없더라도 브라우저는 알아서 </div>를 붙이지만,

강한 dtd로 선언하면 출력이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웹표준하고는 관계는 잘 모르겟지만, 영향은 있을 겁니다.

웹표준도 w3c에서 지정한 것을 기본으로 하고,

dtd도 w3c것을 사용하니깐요.

실제로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해당 사이트가서 저 dtd 문서 봐보시면 .이해가 되실지도.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8265
20403
20402
20401
20400
8259
20399
20398
8255
8249
8246
8242
20396
8240
20395
20394
31033
28385
20393
28380
20392
28377
20391
20390
20389
20388
20387
20386
20385
20384
20383
20382
8238
20380
20379
28376
28372
20378
20377
8235
20375
20374
20373
20372
20371
20370
28370
20369
28366
20368
20367
20366
20365
20364
20363
20362
20361
20360
20359
8231
20358
20357
20356
20355
20354
20353
20352
20351
20350
20349
20348
20347
20346
20345
20344
20343
20342
20341
20340
20339
20338
20337
20336
20335
20334
20333
20332
20331
20330
20329
20328
20327
20326
20325
20324
20323
20322
20321
20320
2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