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DTD가 뭔가요?

· 13년 전 · 1010 · 6
DTD가 뭔가요?
 
그냥 그누보드랑 그누dtd랑 뭐가 다른거에요?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6개

프로그램언어를 프로그램언어 사전안에서 제작됐다는거예요
한국어로따지면 사투리없이 국어사전 틀안에서만
13년 전
좋은 예네요 ㅎㅎㅎ

<긍께 이거쫌 쪼까 보소>

<아부지 쫌 보셔유~>

<이것은 웹문서입니다>

요런 거네요 ㅎㅎ
13년 전
디도스 공격입니다 제가 하데스에요
?
13년 전
음..... 어렵군요. 웹표준같은건가 보죠?
13년 전
document type definition.

dtd로 코딩했다는 것은

<body>
<head>
<style></style>

이처럼 엉망으로 코딩하지 않고

<html>
<head>
</head>
</html>

처럼 태그들을 정해진 규격에 맞춰서 코딩했다는 것을 보장해주는 겁니다.

예를들어
<span>hi</span> 은 dtd에 맞게 되어져 있지만
<span><strong>hi</strong></span> 은 dtd 규격에 맞지 않습니다.

dtd type 은 3가지인데,

static , transitional, ... 하여간,

가벼운, 과도기적, 매우강함.. 3셋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데,

보통은 중간급인 transitional 을 선언하고,

브라우저는 transitional 로 선언된 문서는 대충 알아서 판단해서 부족한 부분을 맞춰주고,

가장 강하게 선언하면 브라우저에서 렌더링을 거부하거나, 아주 다르게 표시됩니다.



<div>
<div>
</div>

이런식으로 </div> 가 하나 없더라도 브라우저는 알아서 </div>를 붙이지만,

강한 dtd로 선언하면 출력이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웹표준하고는 관계는 잘 모르겟지만, 영향은 있을 겁니다.

웹표준도 w3c에서 지정한 것을 기본으로 하고,

dtd도 w3c것을 사용하니깐요.

실제로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해당 사이트가서 저 dtd 문서 봐보시면 .이해가 되실지도.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20097
20095
20093
20092
20091
20089
20086
20085
20084
20083
20082
28358
20081
20079
20078
20077
20076
20075
20074
20073
20072
20071
20070
20069
8148
20057
8141
24669
20056
8138
28353
20055
20054
20053
20052
20051
20050
20047
20046
20045
20044
8111
20043
20042
20040
20039
20037
20036
20035
20027
8107
31022
20026
20025
20024
20023
28350
20022
20018
20017
8099
20016
20013
8090
20012
20010
20009
19998
28348
28347
19997
19996
19995
19993
8087
8065
19990
8063
8056
19989
19988
19987
19986
19985
19984
19983
19982
8054
19981
19980
19979
19978
19977
19976
19975
19974
19973
19972
19971
19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