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리눅스 yum으로 apm설치하기

· 13년 전 · 2801 · 1
1. yum으로 mysql설치하기
    * yum -y install mysql mysql-server
    * chkconfig --levels 235 mysqld on  //서버를 부팅할 때 mysql서비스가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
    * /etc/init.d/mysqld start  //mysql을 실행 합니다.
    * cp /usr/share/mysql/my-huge.cnf  /etc/my.cnf 
    * cat /etc/passwd  //mysql 계정이 있는지 확인후 없다면 생성
    * useradd -d /usr/local/mysql -s /sbin/nologin mysql  //계정생성
    *  cd /usr/bin  //참고로 rpm으로 설치했으때 mysql실행 명령어 폴더위치 입니다.   
    * chown -R root  /usr/bin
    * chown -R mysql /var/lib/mysql
    * chgrp -R mysql /usr/bin/mysql
    * 디비 생성하기
    * /usr/bin/mysql_install_db --user=mysql
    * /usr/bin/mysqladmin -uroot password 임시비번
    * /usr/bin/mysql -u root -p mysql  //임시패스워드로접속
    * use mysql; //데이터베이스체인지
    * update user set password=password('비번') where user='root';
    * show databases;   //디비생성확인
    * flush privileges;   //새로고침
    * DB 사용자추가
    * /usr/bin/mysql -u root -p
    * use mysql;
    * create database 디비명;
    * grant all on 디비명. * TO 디비명@localhost identified by '비번' with grant option;
    * flush privileges;
 
2. yum으로 httpd설치
    * yum yum -y install httpd
    * chkconfig --levels 2345 httpd on  //부팅시 자동시작하게 설정
    * vi /etc/httpd/conf/httpd.conf 파일 수정
    * User nobody
    * Group nobody
    * ServerName 이이피
    * DirectoryIndex  index.html  index.htm  index.php
    * AddType application/x-gzip .gz .tgz  이 줄을 찾아 아래에 2줄 추가.
    *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php .php3 .php4 .html .htm .do
    * AddType application/x-httpd-php-source .phps
    * AllowOverride None => AllowOverride All
    * AddHandler cgi-script .cgi 주석 삭제 => AddHandler cgi-script .cgi
    * /etc/rc.d/init.d/httpd start  아파치 시작
 
3. yum으로 php설치
* php관련 라이브러리설치
* yum -y install gd gd-devel libpng libpng-devel libjpeg libjpeg-devel freetype freetype-devel fontconfig fontconfig-devel libxml2 libxml2-devel openssl openssl-devel gmp gmp-devel mhash mhash-devel libmcrypt libmcrypt-devel mysql-server pphp-mysql php-devel php-gd php-mbstring php-mhash
* yum yum -y install php
* vi /etc/httpd/conf.d/php.conf 파일 php설정
* AddHandler php5-script .php .htm .html  //수정
* AddType application/x-httpd-php-source .phps .php .html .html  //수정
 
이렇게해서 서버구축했고 홈페이지 잘돌아갑니다.
그런데 소스설치와 yum설치의 차이점을 알여주세요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1개

소스 설치는 커스텀 설치라 필요한 부분만 설치하면 되므로 서버가 빠릿하게 반응하는데
Yum 이나 RPM 설치는 의존성을 보므로 의존성 관련 라이브러리도 죄다 설치해줘야 하죠~
당근 서버의 자원을 더 점유하게되고 추후 자유로운 커스터마이징시 좀 골룸할때가 있죠~

근데 전 둘다 해보니 속도나 자원먹는거나 별반 차이가 없어서 그냥 RPM 설치로 끝내고
맙니다. 물론 하드용량은 더 잡아먹지만....요즘 같은때에 크게 신경쓸 부분은 아니죠~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20318
20317
20316
20315
20314
20313
20312
20311
20310
20309
20308
20307
20306
20303
20302
20301
20300
20299
20298
20297
20296
20295
20294
20293
20292
8222
20291
20290
20289
20288
20287
20286
20285
20284
20283
20282
20281
20280
20276
20275
20274
20273
8216
20272
20271
20270
20269
20268
20267
20265
20264
20263
20262
20261
20259
20258
20257
20256
20255
20254
20253
20252
20251
20250
20249
31028
20248
20247
20246
8215
20245
20244
20243
20242
20241
20240
20239
20238
20237
20236
20235
20234
20233
8197
20232
20231
20230
20229
20228
20227
20225
20224
20223
20222
20221
20220
20219
20218
20217
2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