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일주기 시간대별로 플래시무비 자동 교체시키기

플래시의 배경무비를 시간대 별로 다르게 보이는 방법은 생각보다는 간단합니다.

같은 사이즈의 빈 플래시무비의 이름은 head.fla입니다.

여기 첫프레임에 삽입된 내용은 이것뿐입니다.

 

mydate=new Date();

myHr=Number(mydate.getHours());

if (myHr>=8 %26%26 myHr<12) {

    loadMovieNum (\"head3.swf\", 1);

} else if (myHr>=12 %26%26 myHr<16) {

    loadMovieNum (\"head4.swf\", 1);

} else if (myHr>=16 %26%26 myHr<20) {

    loadMovieNum (\"head5.swf\", 1);

} else if (myHr>=20) {

    loadMovieNum (\"head6.swf\", 1);

} else if (myHr>=0 %26%26 myHr<4) {

    loadMovieNum (\"head1.swf\", 1);

} else {

    loadMovieNum (\"head2.swf\", 1);

}

 

해설)

mydate=new Date();

 

new()는 오브젝트를 새로 만든다는 것입니다.

new Date()는 데이트 오브젝트를 새로 만들겠다는 말이고..

그 오브젝트 이름을 mydate라고 지칭을 하기로 합니다.

이로써 mydate라는 이름의 오브젝트는 date()오브젝트가 가지고 있는 메소드/속성을들 그대로 차용할수 있게 됩니다.

 

myHr=Number(mydate.getHours());

 

mydate가 date오브젝트의 속성/메소드를 차용할때에는 도트법을 사용합니다.

즉 mydate.getHour()

라 함은. date메소드인 getHour()를 mydate라는 차용인을 통해 사용한다는 말입니다.

그것은 myHr라는 변수에 저장합니다.

mydate.getHours()의 값은 숫자가 아닌 문자열이므로..

이를 Number()함수를 사용해서 숫자로 만듭니다.

이로써 숫자간의 크기를 비교할수 있습니다.

 

조건문을 통해 myHr의 숫자 크기로 하루의 일주기를 구분하고..

그 시간에 따라 별도의 명령을 else if를 통해 하사받습니다.

 

loadMovieNum는 플래시 무비의 로드중에 level로 로드시키는 명령으로 이때는 level번호는 삽입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공통적으로 1을 삽입했습니다. 본무비가 0이니 그 상위에 놓이게 되겠죠?

 

여기서는 상대경로를 사용했습니다. 그래서 플래시는 서버의  같은 폴더내에 있는 head2.swf를 찾게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loadMovieNum (\"head5.swf\"%2B \"?noCache=\" %2B (random(1000000) %2B random(1234567)), 1);

 

를 첨가하기도 합니다.

 

여기서 \"\"내에는 문자그대로 보여줍니다. %2B연산자는 이런 문자들을 붙여줍니다.

만약 \"\"가 없이 사용되어진다면..

 

위의 noCache나 random()처럼 일정값을 저장한 변수나 함수로써 사용되어집니다.

 

noCache란 변수는 임의로 만든 변수입니다. 이렇게 URL경로에 ?를 사용해서 매개변수를 전달시킬수 있습니다.

이처럼 매개변수를 추가로 전달시키는 이유는 같은 폴더내의 같은 파일명이라도 매개변수와 다른 그 값을 첨가함으로써..

익스플로러의 임시캐시의 사용를 방지시킬수 있습니다.

업데이트가 자주 있는 파일의 경우는 이 스크립트가 필수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html의 로딩속도를 올려주겠죠?

 

 

 

 

주의 할 점은 이 무비의 프레임 rate는(초당 속도)

본무비(시간대 별로 달리보여줄 무비들)의 프레임rate에 따라가야 합니다.

이 무비가 실제로 html에  embed된 무비로 아무 설정이 없는한 플래시의 level0에 자리를 잡습니다.

로드시킬 무비의 용량이 크다면 여기에 로딩과정을 추가해야 합니다.

로드될 용량측정은 당연히 loadMovieNum()명령이후..

level1을 대상으로 해야 합니다.

 

 

그 다음

 

시간대별로 달리보여질 무비인 새끼플래시는 본인이 직접 삽입하길 원하는 무비를 준비합니다.

이 무비들이 head1.swf....head6.swf입니다.

여기서는 4시간 간격으로 시간대별 일주기를 달리한다는 분위기의 연출을 목적으로 배경그림만 달리했을뿐..효과는 똑같습니다.

 

그러므로 같은 소스 head1.fla에서 배경그림만 달리하여 출판만 이름을 달리해서 출판을 했습니다.

loadMovieNum (\"head2.swf\", 1);

보시는 바와 같이 이 무비들은 level1에 로드되도록 설정했으므로..

본무비의 위에 위치하게 됩니다.

 

생각보다 간단하고..

배너광고 목적의 플래시 제작에 많이 이용되니..

너른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1개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8050
8048
19969
19968
19967
19966
19965
19964
19963
19962
19961
28345
31017
19960
19959
19958
19957
8039
8035
8029
28344
28339
8019
28338
8017
8010
8007
8004
8003
28332
28322
7999
28317
20956
7992
20945
28314
20936
20931
7986
20925
7982
7979
7978
7975
28307
7973
7966
28305
7963
28300
7961
28297
28295
7959
19948
19947
28292
31016
19946
19945
28286
7958
7956
7952
7946
28285
28283
19943
7944
7936
7931
28279
24666
24663
7928
7923
19941
28274
28257
28249
28248
7914
7912
7911
20912
7908
31755
28233
28232
28228
7903
28217
20900
24662
20891
20882
19936
20853
3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