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미션(권한)이란?
Owner | Group | Other | Owner와 Group은 파일소유자자신과 자신이 속한그룹. Other은 제3자, 웹사이트 방문객은 제3자로 nobody로 취급. | ||||||
r | w | x | r | w | x | r | w | x | r은 파일 읽기(4), w는 파일 쓰기(2), x는 파일 실행(1) |
7 | 5 | 5 | 파일소유자는 그것을 읽고 쓰고 실행시킬 수 있지만, 제3자는 읽고 실행만 시킬 수 있다. | ||||||
7 | 7 | 7 | 제3자도 쓰기 권한이 주어진다. | ||||||
리눅스 기본명령어
명령어 | 사 용 법 |
login | 사용자 인증과정 리눅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multi-user 개념에서 시작하였기 때문에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로그인을 하여야 합니 다. 로그인은 PC 통신에서도 많이 사용되어져 왔기 때문에 그 개 념 설정에 그다지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흔히 말하는 ID를 입력하는 과정입니다. |
passwd | 패스워드 변경 리눅스, 특히 인터넷의 세계에서는 일반 컴퓨팅 상황에 비하여 훨씬 해킹에 대한 위험이 높습니다. 패스워드는 완성된 단어 보다는 단어 중간에 숫자나 키보드의 ^, #, ' 등과 같은 쉽게 연상 할 수 없는 기호를 삽입하여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du | 하드사용량 체크(chkdsk) 자신의 하드공간을 알려면 |
ls | 파일 리스트 보기(dir) F : 파일 유형을 나타내는 기호를 파일명 끝에 표시 (예) |
cd | 디렉토리를 변경 # cd cgi-bin : 하부 디렉토리인 cgi-bin으로 들어감. |
cp | 화일 복사(copy) # cp index.html index.old |
mv | 파일이름(rename) / 위치(move)변경 # mv index.htm index.html $ mv file ../main/new_file |
mkdir | 디렉토리 생성 # mkdir download : download 디렉토리 생성 |
rm | 화일삭제 # rm test.html : test.html 화일 삭제 |
rmdir | 디렉토리 삭제 # rmdir cgi-bin : cgi-bin 디렉토리 삭제 |
pwd | 현재의 디렉토리 경로를 보여주기 |
pico | 리눅스용 에디터 |
put | ftp 상태에서 화일 업로드 > put guestbook.tar.gz |
get | ftp 상태에서 화일 다운로드 > get guestbook.tar.gz |
mput 또는 mget | 여러개의 화일을 올리고 내릴때 (put,get과 사용법동일) |
chmod | 화일 permission 변경 리눅스에서는 각 화일과 디렉토리에 사용권한을 부여. 예) -rwxr-xr-x guestbookt.html 읽기(read)---------- 화일 읽기 권한 명령어 사용법 # chmod 666 guestbook.html # chmod 766 guestbook.html |
alias | " doskey alias" 와 비슷하게 이용할 수 있는 쉘 명령어 alias는 말그대로 별명입니다. 사용자는 alias를 이용하여 긴 유 닉스 명령어를 간단하게 줄여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cat |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파일을 만드는 명령( 도스의 TYPE명령) |
more | cat 명령어는 실행을 시키면 한 화면을 넘기는 파일일 경우 그 내용을 모두 볼수가 없다. 하지만 more 명령어를 사용하면 한 화면 단위로 보여줄 수 있어 유용. # more <옵션> |
who | 현재 시스템에 login 하고 있는 사용자의 리스트를 보여줍니다. # who |
whereis | 소스, 실행파일, 메뉴얼 등의 위치를 알려줍니다 # whereis perl : perl의 위치를 알려준다 |
vi, | 새로운 파일을 만드는 방법 # vi newfile : vi 편집기 상태로 들어감 |
cat, | 파일 내용만 보기 # cat filename : 파일의 내용을 모두 보여줌 |
압축명령어 사용법
| 압축 명령어 | 사 용 법 |
| tar | .tar, _tar로 된 파일을 묶거나 풀때 사용하는 명령어 (압축파일이 아님) # tar cvf [파일명(.tar, _tar)] 압축할 파일(또는 디렉토리): 묶을때 # tar xvf [파일명(.tar, _tar)] : 풀 때 (cf) cvfp/xvfp 로 하면 퍼미션 부동 |
| compress | 확장자 .Z 형태의 압축파일 생성 # compress [파일명] : 압축시 # uncompress [파일명] : 해제시 |
| gzip | 확장자 .gz, .z 형태의 압축파일 생성 # gzip [파일명] : 압축시 # gzip -d [파일명] : 해제시 |
| 기타 | .tar.Z 이것은 tar로 묶은 후에 compress를 사용하여 압축한 것으로 uncompress를 사용해서 압축을 푼 다음, 다시 tar를 사용해서 원래의 파일들을 만들어내면 됩니다. 아니면 다음과 같이 한 번에 풀 수도 있다. # zcat [파일명].tar.Z : 해제시 .tar.gz또는 .tar.z # gzip -cd [파일명] : 해제시 .tar.gz 또는 .tar.z .tgz gzip을 사용해서 푼 다음 다시 tar를 사용해서 원래 파일을 만들어 낼 수 있으나, 하지만 다음과 같이 하면 한 번에 처리를 할 수 있다. # gzip -cd 파일.tar.gz | tar xvf - 또는 # tar xvzf 파일.tar.gz # tar xvzf 파일.tgz |
리눅스 필수명령어
Linux/Unix 명령어 | 설 명 | MS-DOS 비교 |
./x | x 프로그램 실행 | x |
↑/ ↓ | 이전에(↑) / 다음에(↓) 입력했던 명령어 | doskey |
cd x (또는 cd /x) | 디렉토리 X로 가기 | cd |
cd .. (또는 cd ../ 또는 cd /..) | 한 디렉토리 위로 가기 | cd.. |
x 다음 [tab] [tab] | x 로 시작하는 모든 명령어 보기 | - |
adduser | 시스템에 사용자 추가 | / |
ls (또는 dir) | 디렉토리 내부 보여주기 | dir |
cat | 터미널 상의 텍스트 파일 보기 | type |
mv x y | 파일 x를 파일 y로 바꾸거나 옮기기 | move |
cp x y | 파일 x를 파일 y로 복사하기 | copy |
rm x | 파일 지우기 | del |
mkdir x | 디렉토리 만들기 | md |
rmdir x | 디렉토리 지우기 | rd |
rm -r x | 디렉토리 x를 지우고 하위도 다 지우기 | deltree |
rm p | 패키지 지우기 | - |
df (또는 df x) | 장치 x의 남은 공간 보여주기 | chkdsk ? |
top | 메모리 상태 보여주기(q는 종료) | mem |
man x | 명령어 x에 관한 매뉴얼 페이지 얻기 | / |
less x | 텍스트 파일 x 보기 | type x | more |
echo | 어떤 것을 echo 화면에 인쇄한다. | echo |
mc | UNIX를 위한 노턴 커맨더 | nc |
mount | 장치 연결(예: CD-ROM, 연결을 해제하려면 umount) | - |
halt | 시스템 종료 | - |
reboot ([ctrl] + [alt] +[del]) | 시스템 다시 시작하기 | [ctrl] + [del] + [del] |
고급명령어
고급 명령어 |
|
chmod <권한> <파일> | 파일 권한(permissions) 변경 |
ls -l x | 파일 x의 자세한 상황을 보여줌 |
ln -s x y | x에서 y로 심볼릭 링크를 만들어 줌 |
find x -name y -print | 디렉토리 x안에서 파일 y를 찾아서 화면에 그 결과를 보여줌 |
ps | 지금 작동중인 모든 프로세스들을 보여줌 |
kill x | 프로세스 x를 종료 (x는 ps 명령으로 알 게 된 PID) |
[alt] + F1 - F7 | 터미널 1-7까지 바꾸기 (텍스트 터미널에서; F7은 X-윈도우(시작될때)) |
lilo | 부트 디스크를 만듦 |
용어 |
|
symlink | 다른 파일이나 디렉토리로 심볼릭 링크. 윈도유98의 바로가기 같은 것 |
shell script | 여러 명령어들을 차례로 수행하게 한 것. MS-DOS의 배치 파일 같은 것 |
팁!!
- 웹에서 생성한 노바디파일 삭제 하는방법..
기본적으로 웹서버는 nobody 권한으로 동작이 되게 됩니다.
고객님께서 FTP 로 접속하여 전송한 파일이 아니라 웹상에서 사용자들이 파일을 업로드 한 경우나 웹상에서 생성된 파일의 경우 삭제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웹서버의 동작 권한은 nobody 이고 웹상에서 생성된 파일이므로 해당 파일이 nobody 소유권으로 시스템에 생성이 되게 됩니다.
아래와 같이 웹상에서 실행시키면 됩니다.
1. 메모장을 열어 아래 소스를 붙여넣기 하신후..
<?
//폴더/파일 삭제시
$cmd = `rm -rf 노버디로된파일혹은폴더명`;
echo "$cmd";
echo "폴더가 삭제 되었습니다.";
?>
-- 위에까지..
-- **위에서 수정할 사항은 "노버디로된파일혹은폴더명"을 삭제하시고자 하는 파일명으로 바꿔주세요..
2. 파일 -> 다른이름으로저장 -> 아래 탭에서 파일형식을 "모든파일"로 선택후
-> "원하는파일명.php" 로 저장 (ex: del.php)
3. ftp를 통해 고객계정에 파일업로드를 하시고 웹에서 파일을 불러주시면 됩니다
ex: html폴더안에/temp 안에 삭제하고자하는 파일이 있을경우 / html폴더/temp안에 del.php를 업로드하고..
브라우저에서 http://고객도메인/temp/del.php 를 하면 됩니다
4. 실행하시면 삭제되고 nobody 권한의 폴더만 남습니다.(폴더안의화일들만 지워짐)
그후 ftp 접속후 폴더를 삭제하시면 됩니다.
ex)
<?
퍼미션 변경시
$cmd = `chmod -R 777 노버디로된파일혹은폴더명`;
echo "$cmd";
echo "퍼미션 변경되었습니다.";
?>
댓글 1개
게시판 목록
프로그램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8030 | 9년 전 | 399 | ||
| 8029 | 9년 전 | 324 | ||
| 8028 | 9년 전 | 284 | ||
| 8027 | 9년 전 | 295 | ||
| 8026 | 9년 전 | 366 | ||
| 8025 | 9년 전 | 404 | ||
| 8024 | 9년 전 | 373 | ||
| 8023 | 9년 전 | 414 | ||
| 8022 | 9년 전 | 330 | ||
| 8021 | 9년 전 | 349 | ||
| 8020 | 9년 전 | 341 | ||
| 8019 | 9년 전 | 360 | ||
| 8018 | 9년 전 | 462 | ||
| 8017 | 9년 전 | 551 | ||
| 8016 | 9년 전 | 363 | ||
| 8015 | 9년 전 | 406 | ||
| 8014 | 9년 전 | 340 | ||
| 8013 | 9년 전 | 257 | ||
| 8012 | 9년 전 | 262 | ||
| 8011 | 9년 전 | 463 | ||
| 8010 | 9년 전 | 317 | ||
| 8009 | 9년 전 | 329 | ||
| 8008 | 9년 전 | 301 | ||
| 8007 | 9년 전 | 451 | ||
| 8006 | 9년 전 | 487 | ||
| 8005 |
|
9년 전 | 984 | |
| 8004 | 9년 전 | 373 | ||
| 8003 | 9년 전 | 444 | ||
| 8002 | 9년 전 | 338 | ||
| 8001 |
|
9년 전 | 682 | |
| 8000 | 9년 전 | 441 | ||
| 7999 | 9년 전 | 398 | ||
| 7998 | 9년 전 | 451 | ||
| 7997 | 9년 전 | 324 | ||
| 7996 | 9년 전 | 557 | ||
| 7995 | 9년 전 | 491 | ||
| 7994 | 9년 전 | 372 | ||
| 7993 | 9년 전 | 431 | ||
| 7992 | 9년 전 | 533 | ||
| 7991 | 9년 전 | 279 | ||
| 7990 | 9년 전 | 307 | ||
| 7989 | 9년 전 | 322 | ||
| 7988 | 9년 전 | 751 | ||
| 7987 | 9년 전 | 452 | ||
| 7986 | 9년 전 | 449 | ||
| 7985 | 9년 전 | 529 | ||
| 7984 | 9년 전 | 446 | ||
| 7983 | 9년 전 | 689 | ||
| 7982 | 9년 전 | 549 | ||
| 7981 | 9년 전 | 503 | ||
| 7980 | 9년 전 | 525 | ||
| 7979 | 9년 전 | 514 | ||
| 7978 | 9년 전 | 482 | ||
| 7977 | 9년 전 | 418 | ||
| 7976 | 9년 전 | 876 | ||
| 7975 | 9년 전 | 390 | ||
| 7974 | 9년 전 | 423 | ||
| 7973 | 9년 전 | 623 | ||
| 7972 | 9년 전 | 404 | ||
| 7971 | 9년 전 | 475 | ||
| 7970 | 9년 전 | 324 | ||
| 7969 | 9년 전 | 561 | ||
| 7968 | 9년 전 | 405 | ||
| 7967 | 9년 전 | 391 | ||
| 7966 | 9년 전 | 403 | ||
| 7965 |
|
9년 전 | 1037 | |
| 7964 | 9년 전 | 424 | ||
| 7963 | 9년 전 | 432 | ||
| 7962 | 9년 전 | 424 | ||
| 7961 |
전갈자리남자
|
9년 전 | 521 | |
| 7960 | 9년 전 | 987 | ||
| 7959 | 9년 전 | 567 | ||
| 7958 | 9년 전 | 427 | ||
| 7957 | 9년 전 | 381 | ||
| 7956 | 9년 전 | 380 | ||
| 7955 | 9년 전 | 481 | ||
| 7954 | 9년 전 | 411 | ||
| 7953 | 9년 전 | 458 | ||
| 7952 | 9년 전 | 382 | ||
| 7951 | 9년 전 | 517 | ||
| 7950 | 9년 전 | 413 | ||
| 7949 | 9년 전 | 408 | ||
| 7948 | 9년 전 | 343 | ||
| 7947 | 9년 전 | 954 | ||
| 7946 | 9년 전 | 467 | ||
| 7945 | 9년 전 | 420 | ||
| 7944 | 9년 전 | 466 | ||
| 7943 | 9년 전 | 404 | ||
| 7942 | 9년 전 | 424 | ||
| 7941 | 9년 전 | 415 | ||
| 7940 | 9년 전 | 917 | ||
| 7939 | 9년 전 | 391 | ||
| 7938 | 9년 전 | 421 | ||
| 7937 | 9년 전 | 307 | ||
| 7936 | 9년 전 | 901 | ||
| 7935 | 9년 전 | 482 | ||
| 7934 | 9년 전 | 456 | ||
| 7933 | 9년 전 | 571 | ||
| 7932 | 9년 전 | 522 | ||
| 7931 | 9년 전 | 575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