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crontab 사용 설명입니다.

· 11년 전 · 963

** 지정

쉘 상에서 crontab -e 명령을 합니다.

그러면 vi 편집기의 인터페이스가 열리면서 예약할 작업들을 적어넣을 수 있습니다.

각 항목은 스페이스로 구분되며 시간 단위는 분단위까지 가능합니다.

 

** 항목 및 사용법

분(minute) 시(hour) 일(day_of_month) 월(month) weekday(요일) command(명령)

 

필드에서 사용하는 값들의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minute) : 0-59

시(hour) : 0-23

일(day_of_month) : 1-31

월(month) : 1-12

요일(weekday) : 0-6 (일요일~토요일)

명령(command) : 쉘 명령

 

예를 들어서 백업하는 명령어를 /home/root 에 backup 이라는 이름으로 스크립트를 만들었다고 하고 매주 일요일에 백업을 하려면

00 00 * * 0 /home/root/backup

과 같은 식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매주 월요일과 매달 15일에 백업을 하려면

00 00 15 * 1 /home/root/backup

과 같이 해주시고,

 

매주 월요일과 매달 1일, 15일에 백업을 하려면

00 00 1,15 * 1 /home/root/backup

과 같이 해주시면 됩니다. 스페이스 없이 콤마(,)로 날짜를 구분했음에 유의하세요.

 

*는 와일드 카드로... "모든"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아실 겁니다.

즉, 위의 세가지 예제들은 모두 0시 0분을 기준으로 백업을 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앞에서 cron의 사용법으로 많이 나왔던

00 06 * * * /home/root/backup

과 같은 경우는 모든 요일, 모든 월, 모든 날, 매주 06시 00분에 백업을 행한다는 의미입니다.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27980
7164
31729
31726
31725
31720
31711
7159
27974
19734
19730
19729
27969
7142
19728
19725
7130
19722
19719
7124
19718
19717
19716
19715
7122
30959
19714
31710
31709
19713
7117
19712
7111
31708
31707
19710
31706
31705
31704
19709
19707
31703
19706
31702
19705
31701
19704
31700
31699
31698
7107
19703
31697
31696
19702
19701
31695
27965
31694
19700
31693
19699
31692
31691
19698
19697
19696
19694
19693
19692
19691
19690
19689
19688
19687
7105
30955
7100
19681
7097
19678
7089
7086
7084
7082
19677
30953
7080
7077
7071
7070
7066
19676
19674
27961
7063
7061
19669
7060
20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