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v id="이름">
#이름 { 넣고 싶은 속성을 전부 넣음 }
<div class="이름1 이름2 이름3">
.이름1 {}
.이름2 {}
.이름3 {}
요즘 CSS를 만들다가 이 부분을 id로 한 다음에 밑에 class 로도 작업해 보고 있네요..
이 두가지 ㅡㅡ; 속도나 차이점이 있을까요??
페이지에 형태를 딱 하나 밖에 없을때는 id
중복된 형태를 띨때는 class 를 쓰는데
요즘 폰트 속성이나, block 의 border, float 속성 같은 경우는 중복이 너무 많아서 class로 작업중인데
과연 다 만들고 나서 후회 할까바 걱정이네용...... 아 고민이네용 ㅡㅡ;;;;
#이름 { 넣고 싶은 속성을 전부 넣음 }
<div class="이름1 이름2 이름3">
.이름1 {}
.이름2 {}
.이름3 {}
요즘 CSS를 만들다가 이 부분을 id로 한 다음에 밑에 class 로도 작업해 보고 있네요..
이 두가지 ㅡㅡ; 속도나 차이점이 있을까요??
페이지에 형태를 딱 하나 밖에 없을때는 id
중복된 형태를 띨때는 class 를 쓰는데
요즘 폰트 속성이나, block 의 border, float 속성 같은 경우는 중복이 너무 많아서 class로 작업중인데
과연 다 만들고 나서 후회 할까바 걱정이네용...... 아 고민이네용 ㅡㅡ;;;;
댓글 11개
12년 전
흠 앞뒤 코드는 모르겠지만... 가시밭길을 가시는 것 같은데요? ㅠㅠ
kiplayer
12년 전
아래 댓글에 달아주셨네요. class의 재사용에 관한 내용입니다.
1.
.fs-11 {font-size:11px;}
.fw-b {font-weight:bold;}
<span class="fs-11 fw-b">
2.
#name {font-size:11px;font-weight:bold;}
<span id="name">
그냥 예로 보여드리는데 과연 효율상 1번이 좋을지 아니면 2번이 좋을지 적당히 섞어서 써야 겠지만, 그 적당히라는게 어렵네용 ㅠ
1.
.fs-11 {font-size:11px;}
.fw-b {font-weight:bold;}
<span class="fs-11 fw-b">
2.
#name {font-size:11px;font-weight:bold;}
<span id="name">
그냥 예로 보여드리는데 과연 효율상 1번이 좋을지 아니면 2번이 좋을지 적당히 섞어서 써야 겠지만, 그 적당히라는게 어렵네용 ㅠ
12년 전
1번처럼 쓰고 계실까봐 가시밭길을 가시는 것 같다고 썼던 것입니다.
2번이 좋습니다. 글로 설명드릴 실력은 안 되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ㅠㅠ
2번이 좋습니다. 글로 설명드릴 실력은 안 되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ㅠㅠ
kiplayer
12년 전
ㅎㅎ 2번이 역시 좋군요 만들기에도 2번이 참 편하더라구용~~
근데 ㅠㅠ;; 실력이 딸리는지 자꾸 이름이 중복되구 엉키구 ㅠㅠ
근데 ㅠㅠ;; 실력이 딸리는지 자꾸 이름이 중복되구 엉키구 ㅠㅠ
lainfox
12년 전
멀티클래스 경우 지운아빠님이 말씀하신대로 가시밭길이 될 수도 있습니다 x(
다만
디자인의 가이드가 확실해진 상태에서
사용할 컴포넌트의 마크업과 css 를 완성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약간의 수정이 들어가는 변형 컴포넌트가 생길 경우 ( 섹션의 성격이 약간 다를 경우 디자인에서 원하는 것이라던지 하는 경우가 발생하겠죠 )
이때 베이스 컴포넌트를 사용하면서 멀티클래스로 약간의 수정을 해 주는 것은 만들면서도 편하고 즐거울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백엔드 개발에서 클래스를 상속받아 확장하는 개념처럼요)
--
2번으로 시작을 하고. 필요할때 1번을 이용 ;p
다만
디자인의 가이드가 확실해진 상태에서
사용할 컴포넌트의 마크업과 css 를 완성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약간의 수정이 들어가는 변형 컴포넌트가 생길 경우 ( 섹션의 성격이 약간 다를 경우 디자인에서 원하는 것이라던지 하는 경우가 발생하겠죠 )
이때 베이스 컴포넌트를 사용하면서 멀티클래스로 약간의 수정을 해 주는 것은 만들면서도 편하고 즐거울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백엔드 개발에서 클래스를 상속받아 확장하는 개념처럼요)
--
2번으로 시작을 하고. 필요할때 1번을 이용 ;p
12년 전
저도 많이 관심이 있는 분야네요.. ^^
일단 id 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 빠른 것은 사실이고요..
클래스 정도까지는, 코드 재사용성을 통한 css 절약이 있으니, 잘 사용하면 이득이라 생각합니다.
몇몇 글에서 봤는데,
div#id { }, #id div span a {} 등
#id 를 사용하는 경우, 다른 일반 tag 실렉터와 같이 사용하는 것은 속도면에서 안좋다고 하네요.
그리고 특히 [...] 형태의 실렉터는, 개발자의 편리를 위해서 속도를 희생하는 것이라고 지적하더군요.. ^^
일단 id 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 빠른 것은 사실이고요..
클래스 정도까지는, 코드 재사용성을 통한 css 절약이 있으니, 잘 사용하면 이득이라 생각합니다.
몇몇 글에서 봤는데,
div#id { }, #id div span a {} 등
#id 를 사용하는 경우, 다른 일반 tag 실렉터와 같이 사용하는 것은 속도면에서 안좋다고 하네요.
그리고 특히 [...] 형태의 실렉터는, 개발자의 편리를 위해서 속도를 희생하는 것이라고 지적하더군요.. ^^
kiplayer
12년 전
ㅎㅎㅎ class 절약이 좋은것 같긴 한데 이것도 또 하다가 보니 ㅡㅡ;;
재사용 용? class가 너무 많이 생기기도 하는것 같고... 좌절입니당 ㅠㅠ
재사용 용? class가 너무 많이 생기기도 하는것 같고... 좌절입니당 ㅠㅠ
12년 전
환경이 되시면, less나 sass를 사용해보시는 것도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css 코딩이 한결 편해질 것 같아서요.. ^^
css 코딩이 한결 편해질 것 같아서요.. ^^
12년 전
처음 할때는 css를 계획적으로(?) 작성하게 되는다 어느순간 막코딩이 되네요.
12년 전
상황에 따라 다름ㅇㅅㅇ
반응형할때 1번섞어주면 좋음
반응형할때 1번섞어주면 좋음
돼지코구뇽
12년 전
제이쿼리 명령어와 같이 쓸땐 id 로 중복처리할때 사용하구요 저는
class를 자주 씁니다.
하지만 한 페이지에 코드 섞인 부분이 있을까봐 나뉘어질땐
상단 id 안에 클래스와 하단 id안에 클래스로 구분짓습니다 ㅎ..
id='body'
#body .good {
id='tail'
#tail .good {
class를 자주 씁니다.
하지만 한 페이지에 코드 섞인 부분이 있을까봐 나뉘어질땐
상단 id 안에 클래스와 하단 id안에 클래스로 구분짓습니다 ㅎ..
id='body'
#body .good {
id='tail'
#tail .good {
게시판 목록
프로그램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30 |
아우겐나이스
|
21년 전 | 4041 | |
| 29 |
아우겐나이스
|
21년 전 | 4431 | |
| 28 |
아우겐나이스
|
21년 전 | 3454 | |
| 27 | 21년 전 | 5820 | ||
| 26 | 21년 전 | 3090 | ||
| 25 | 21년 전 | 6069 | ||
| 24 | 18년 전 | 3642 | ||
| 23 | 21년 전 | 3629 | ||
| 22 | 21년 전 | 4238 | ||
| 21 | 21년 전 | 3812 | ||
| 20 | 21년 전 | 4211 | ||
| 19 | 21년 전 | 6672 | ||
| 18 | 21년 전 | 4729 | ||
| 17 | 21년 전 | 6978 | ||
| 16 | 21년 전 | 4164 | ||
| 15 | 21년 전 | 2620 | ||
| 14 | 21년 전 | 4961 | ||
| 13 | 21년 전 | 3394 | ||
| 12 |
Recluse
|
21년 전 | 3866 | |
| 11 |
아우겐나이스
|
21년 전 | 3561 | |
| 10 |
Recluse
|
21년 전 | 3387 | |
| 9 | 21년 전 | 3970 | ||
| 8 | 21년 전 | 5155 | ||
| 7 | 21년 전 | 4753 | ||
| 6 | 21년 전 | 5669 | ||
| 5 | 21년 전 | 4104 | ||
| 4 | 21년 전 | 4826 | ||
| 3 | 21년 전 | 4733 | ||
| 2 | 21년 전 | 3232 | ||
| 1 | 22년 전 | 4333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