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활용 (가상커서) 목차
개요
가상커서는 인터넷 문서와 PDF 문서를 시각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읽을 수 있도록 캐럿 기능을 중심으로 재구성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인터넷 문서란 파일 확장자가 '.html'이나 '.htm'인 문서들 뿐만 아니라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익스플로러가 사용된 모든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가상커서 기능이 동작하는 프로그램들 종류에는 윈도우즈 도움말, 아웃룩 익스프레스,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의 프로그램이 대표적입니다.이런 프로그램들은 센스리더 환경 세부설정의 '가상커서 자동 사용' 옵션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프로그램 실행과 함께 가상커서가 자동으로 동작하게 됩니다.
가상커서의 설정이나 기능키를 변경하려면 가상커서가 실행 중인 상태에서 <Ctrl-Shift-F9> 키를 눌러 팝업 메뉴를 열고 각각 [설정] 메뉴와 [기능키 설정] 메뉴를 실행하도록 합니다.
가상커서는 내용 읽기 기능, 이동 기능, 목록 기능, 찾기 기능 등의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내용 읽기 기능
가상커서에서 제공하는 내용 읽기 기능을 사용해 현재 웹페이지를 글자단위, 단어단위, 줄단위로 읽을 수 있습니다. 가상커서를 이용해 웹페이지를 읽을 때는 기본적으로 위/아래 방향키를 활용하며, 각종 이동 기능을 이용할 경우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이전 글자로<왼쪽 방향키>
- 현재 가상 커서 위치의 이전 글자를 읽고 가상 커서를 이전 글자로 이동합니다
- 현재 글자 읽기<Ctrl - Shift - ,(쉼표)>
- 현재 가상커서가 위치한 글자를 읽습니다. 캐럿의 현재 글자 읽기와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 다음 글자로<오른쪽 방향키>
- 현재 가상 커서의 다음 글자를 읽고 가상 커서를 이동 합니다
- 이전 단어로<Ctrl - 왼쪽 방향키>
- 현재 가상커서 위치의 이전 단어를 읽고 가상 커서를 해당 위치로 이동합니다
- 현재 단어 읽기<Ctrl - Shift - K>
- 현재 가상커서가 위차한 단어를 읽습니다. 캐럿의 현재 단어 읽기 기능과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 다음 단어로<Ctrl - 오른쪽 방향키>
- 현재 가상 커서의 다음 단어를 읽고 가상 커서를 이동합니다
- 이전 줄로<위쪽 방향키>
- 현재 가상 커서의 윗줄을 읽고 가상커서를 이동합니다
- 현재 줄 읽기 <Ctrl-Shift-I>
- 현재 가상커서가 위치한 줄을 읽습니다. 캐럿 현재 줄 읽기와 동일합니다
- 다음 줄로<아래 방향키>
- 가상 커서의 다음 줄을 읽고 가상 커서를 이동합니다
- 줄 처음으로<Home>
- 현재 가상커서가 위치한 줄의 처음 글자로 이동하고 처음 글자를 읽습니다
- 줄 끝으로<End>
- 현재 가상 커서가 위치한 줄의 끝 글자로 이동하고 해당 글자를 읽습니다
- 이전 25줄 이동 <Page udd>
- 현재 가상 커서 위치의 25줄 이전으로 이동하고 해당 줄을 읽습니다
- 다음 25줄 이동<Page down>
- 현재 가상 커서 위치의 25줄 다음으로 이동하고 해당 줄을 읽습니다
- 현재 페이지 처음으로<Ctrl - Home>
- 현재 열려 있는 웹페이지의 처음으로 가상커서를 이동합니다
- 현재 페이지 끝으로<Ctrl - End>
- 현재 열려 있는 웹페이지의 끝으로 가상커서를 이동합니다.
이동 기능
가상커서에서는 방대한 항목으로 구성된 웹페이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이동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동 기능을 활용하면 원하는 항목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 객체 이동 <Tab>, <Shift-Tab>
- 현재 가상커서 위치의 다음, 이전 객체로 이동합니다. 객체의 종류에는 링크, 버튼, 콤보상자, 편집창 등이 있습니다.
- 프레임 이동 <Ctrl-Tab>, <Ctrl-Shift-Tab>
- 현재 가상커서 위치의 다음, 이전 프레임으로 이동합니다.
- 폼 콘트롤 이동 <Ctrl-F2>, <Ctrl-Shift-F2>
- 현재 가상커서 위치의 다음, 이전 폼 컨트롤로 이동합니다. 폼 콘트롤에는 편집창, 버튼, 체크상자 등이 포함됩니다.
- 테이블 간 이동 <Ctrl-F3>, <Ctrl-Shift-F3>
- 현재 가상커서 의치의 다음, 이전 테이블로 이동합니다
- 텍스트 간 이동 <Ctrl-F4>, <Ctrl-Shift-F4>
- 현재 가상커서 위치의 다음, 이전 텍스트로 이동합니다. (2글자 이상의 목록항목도 포함)
- 헤딩 간 이동 <Ctrl-F6>, <Ctrl-Shift-F6>
- 현재 가상커서 위치의 다음, 이전 헤딩으로 이동합니다. 기능키를 지정하여 세부적인 헤딩 이동도 가능합니다.
- 외부 객체 이동 <Ctrl-F7>, <Ctrl-Shift-F7>
- 현재 페이지 내의 다음, 이전 외부 객체로 이동합니다. 외부 객체는 플래시, 플렉스, 실버라이트, 미디어컨트롤 등을 포함합니다.
- 편집창 이동 <Ctrl-F8>, <Ctrl-Shift-F8>
- 현재 가상커서 위치의 다음, 이전 편집창으로 이동합니다. 이동 가능한 편집창의 종류는 편집창, 멀티라인 편집창, 입력 가능 프레임 등이 포함됩니다.
- 링크 이동 <Ctrl-'(어포스트로피)>, <Ctrl-Shift-'(어포스트로피)>
- 현재 가상커서 위치의 다음, 이전 링크로 이동합니다
- 방문한 링크 이동 <Ctrl-;>, <Ctrl-Shift-;>
- 현재 가상커서 위치의 다음, 이전의 방문한 링크로 이동합니다.
- 윈도우 이동 <Ctrl-Pageup>, <Ctrl-Pagedown>
- 현재 열려있는 윈도우의 이전, 다음 윈도우로 이동합니다. 윈도우의 기본 도움말이나 익스플로러에서 미디어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여러 개의 윈도우가 열리는데 윈도우 이동 기능을 사용하여 문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폼 이동
- 콘트롤 배치를 위해 사용된 다음, 이전 폼으로 이동합니다
- 필드셋 이동
- 현재 페이지의 다음, 이전 필드셋으로 이동합니다
- 목록 이동 <Ctrl-I>, <Ctrl-K>
- 현재 가상커서 위치의 이전, 다음 목록으로 이동합니다
테이블 이동/읽기 기능
가상커서의 기본적인 탐색 방법으로는 테이블의 구조를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가상커서는 복잡한 테이블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테이블 이동/읽기 기능을 지원합니다.
이동 기능은 실제 가상커서의 셀단위로 이동되며, 읽기 기능은 가상커서는 움직이지 않고 관련된 셀만 읽어줍니다.
테이블에 summary 속성이 있는 경우 ‘테이블 설명’으로 음성이 출력되고, caption 속성은 ‘테이블 제목’으로 음성이 출력됩니다. 또한, 제목 셀(TH, SCOPE) 태그가 사용된 경우 셀 이동시 셀 제목과 내용을 함께 읽어줍니다.
* 가상커서는 행이나 열의 갯수가 1인 경우 정상적인 테이블이 아니고 레이아웃을 위한 테이블로 간주하여 테이블 표시에서 제외합니다.
- 테이블 행 이동 <Ctrl-Alt-위/아래 방향키>
- 테이블의 현재 셀에서 위, 아래 셀로 이동합니다.
- 테이블 열 이동 <Ctrl-Alt-왼쪽/오른쪽 방향키>
- 테이블의 현재 셀에서 왼쪽, 오른쪽 셀로 이동합니다.
- 현재 행 첫 열, 마지막 열로 이동 <Ctrl-Alt-Home/End>
- 테이블의 현재 행 처음 열, 마지막 열로 이동합니다.
- 현재 열 첫 행, 마지막 행으로 이동 <Ctrl-Alt-Pageup/PageDown>
- 테이블의 현재 열 처음 행, 마지막 행으로 이동합니다.
- 테이블 위, 아래 셀 읽기 <Ctrl-Alt-Shift-위/아래 방향키>
- 현재 셀 위치의 위, 아래 셀을 읽어줍니다.
- 테이블 왼쪽, 오른쪽 셀 읽기 <Ctrl-Alt-Shift-왼쪽/오른쪽 방향키>
- 현재 셀의 왼쪽, 오른쪽 셀을 읽어줍니다.
- 현재 행 첫 열, 마지막 열 읽기 <Ctrl-Alt-Shift-Home/End>
- 현재 행의 처음 열, 마지막 열을 읽어줍니다.
- 현재 열 첫 행, 마지막 행 읽기 <Ctrl-Alt-Shift-Pageup/PageDown>
- 현재 열의 처음 행, 마지막 행을 읽어줍니다.
- 표 정보 읽기 <Ctrl-Alt-Enter>
- 현재 위치한 표의 전체 행/열 정보와 현재 셀의 위치 정보를 알려줍니다.
- 테이블 모드 선택/해제 <Ctrl-T>, <Ctrl-U>
- 테이블 모드란 테이블을 안정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테이블 모드 상태에서는 가상커서의 포인터가 테이블을 벗어나지 않습니다.
목록 기능
목록 기능은 가상커서에서 링크와 프레임을 목록으로 구성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인 기능입니다.
- 링크 목록 <Ctrl-L>
- 현재 페이지의 링크를 추출해서 목록으로 보여줍니다. 원하는 목록에서 엔터키를 누르면 해당 링크가 열립니다.
링크 목록 대화상자 - 프레임 목록 <Alt-Shift-W>
- 현재 페이지의 프레임을 추출해서 목록으로 보여줍니다. 원하는 프레임 목록에서 엔터키를 누르면 해당 프레임으로 가상커서가 이동됩니다.
프레임 목록 대화상자
찾기 기능
가상커서에서는 웹페이지의 내용을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찾기 기능을 제공합니다. 아래의 찾기 기능을 이용하면 문서의 내용을 보다 빠르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
- 문자열 찾기 <Ctrl-F>
- 일반 문서 편집기와 마찬가지로 가상커서 내의 문자열을 검색하는 기능입니다. 현재 가상커서가 위치한 줄부터 찾기를 실행합니다. 찾기 방향과 대, 소문자의 구별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다시 찾기 <F3>
- 이전에 사용했던 찾기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여 다음 결과 값을 찾아 이동합니다.
- 반대로 찾기 <Shift-F3>
- 다시 찾기를 반대방향으로 실행합니다.
- 이전 링크 문자열 찾기 <Ctrl-~(그레이브)>
- 이전에 진입한 링크의 텍스트로 문자열 찾기를 실행합니다. 게시판이나 신문기사를 읽을 때 사용하면 유용합니다.
- 이전 링크 문자열 뒤로 찾기 <Ctrl-Shift-~(그레이브>
- 이전 링크 문자열 찾기를 반대방향으로 실행합니다.
블럭 기능
가상커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블럭 기능을 제공합니다.
- 전체 선택 <Ctrl-A>
- 현재 열려진 페이지의 모든 내용을 선택합니다.
전체 선택 이후 가상커서 포커스는 문서의 마지막으로 이동합니다. - 블럭지정 <Alt-L>
- 블럭 지정을 원하는 처음 위치의 글자로 이동 후 <Alt-L>키를 누르고 마지막 글자까지 이동해서 다시 <Alt-L>키를 누르면 그 만큼의 내용이 블럭으로 선택됩니다. 이렇게 블럭을 지정한 상태에서는 다른 곳으로 이동해도 블럭이 해제되지 않습니다.
- 블럭지정 <Shift-방향키>
- 윈도우의 기본키인 <Shift-방향키>로 블럭을 설정합니다.
이방법으로 블럭 설정을 한 후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블럭이 해제됩니다. - 복사 <Ctrl-C>
- 현재 블럭으로 선택된 내용을 복사하며 이전 클립보드의 내용은 모두 사라집니다.
- 이어 붙이기 <Ctrl-R>
- 현재 블럭으로 선택된 내용을 클립보드에 추가합니다. 이 기능은 클립보드의 이전 내용을 그대로 보전한다는 점이 복사<Ctrl-C>와 다릅니다.
행동 기능
웹페이지 내의 폼필드에 대해 다음의 행동을 적용합니다.
- <Enter>
-
- 1) 링크나 버튼에 포커스되었을 때는 해당 링크나 버튼을 실행합니다.
- 2) 그외의 객체에서는 가상커서를 해제합니다. 멀티라인 편집창의 경우 반드시 가상커서를 해제해야 입력 내용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trl-Shift-Enter>
- 링크 진입 후 링크의 문자열로 찾아가서 연속읽기를 실행합니다. <Enter> 기능과 <Ctrl-~>과 <F11> 기능을 한꺼번에 수행하는 기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게시물이나 신문 기사 읽기시 유용한 기능입니다.
- <Space>
-
- 객체의 경우 해당 객체에 포커스를 이동 시킵니다.
- 체크박스에서는 선택과 해제를 토글합니다.
- 라디오버튼의 경우 해당 라디오 버튼을 선택합니다.
- 이미지에서는 그 이미지의 가운데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합니다.
- <Alt-위/아래 방향키>
- 콤보상자나 리스트박스에서 항목간을 위, 아래로 이동합니다. 항목을 선택하려면 <Alt-Enter>키를 눌러야 합니다. 익스플로러상의 실제 포커스가 이동되는 기능은 아니고 해당항목을 음성으로만 출력하고 <Alt-Enter>를 눌렀을때 선택됩니다.
- <Alt-Enter>
-
- 콤보상자나 리스트박스에서 이동 중인 항목을 선택합니다.
- 키보드로 실행되지 않는 항목을 마우스로 클릭합니다.
- <Ctrl-위/아래 방향키>
- 콤보상자나 리스트박스에서 항목 간을 위, 아래로 이동합니다. 화면상의 포커스가 같이 이동하기 때문에 별도로 선택할 필요는 없습니다. 해당 항목에 링크가 되어있는 경우 바로 이동하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며 그런 경우엔 <Alt-위/아래 방향키>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Ctrl-Del>
- 편집창의 내용을 지웁니다.
마크 기능
마크 기능은 자주 방문하는 페이지의 특정 라인을 기억시켜 두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웹페이지 단위로 정보가 저장되며, 라인의 번호를 기억하기 때문에 웹페이지가 갱신되어 라인수가 달라지게 되면 마크 위치가 변할 수 있습니다.
마크 기능은 마크 지정과 저장으로 구분됩니다. 마크 지정은 특정 라인을 임시로 기억하는 것으로 익스플로러를 종료하면 마크가 사라집니다. 이에 비해 마크 저장은 마크 정보를 파일로 보관하게 되어 사용자가 삭제하기 전까지 마크 정보를 유지하게 됩니다.
- 마크 지정/저장 <Ctrl-M>
-
- 마크가 없는 라인의 경우 마크를 지정합니다.
- 마크가 지정된 라인에서는 마크를 저장합니다.
예: 특정 라인을 바로 마크 저장하고 싶다면, 연속해서 기능키를 두 번 누릅니다.
- 마크가 없는 라인의 경우 마크를 지정합니다.
- 마크 이동 <Ctrl 1~0>
- 저장된 1~10번 마크로 이동하여 해당 라인을 읽어줍니다.
- 이전/다음 마크로 이동 <Ctrl-F5>, <Ctrl-Shift-F5>
- 이전/다음 마크로 이동합니다.
- 마크목록 <Ctrl-J>
-
현재 페이지의 마크를 목록으로 나타내고 삭제나 이동을 합니다.
- 마크 삭제: 해당 목록에서 <Alt-D> 키를 누르면 해당 마크가 삭제됩니다. 삭제 이후 <닫기> 버튼을 눌러 창을 닫습니다.
- 마크 이동: 원하는 목록에서 <Enter> 키를 누르면 해당 마크로 이동됩니다.
토글 기능
가상커서에서는 웹페이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읽기 위한 다음과 같은 토글 기능을 제공합니다.
아래의 토글 기능 중 중요도가 비교적 높은 기능에는 단축키가 정의되어 있지만 그 외의 기능들에는 단축키가 정의되어 있지 않습니다.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있을 경우 직접 기능키를 정의해 주도록 합니다. (기능키 설정 참조)
- 링크 속성 읽기 토글
- '방문한 링크' 등의 링크 속성을 읽을 것인가 여부를 선택합니다.
- 자동 포커스 토글 <Ctrl-.(마침표)>
- 현재 페이지의 자동 포커스를 선택할 것인가 여부를 설정합니다.
- 툴팁 읽기 토글
- 툴팁을 읽을 것인가, 읽지 않을 것인가 선택합니다.
- 새 페이지 자동 읽기 토글
- 새로운 페이지가 열릴 경우, 읽을 것인가 여부를 선택합니다.
- 숨김 내용 읽기 토글 <Ctrl-/>
- 숨김 내용을 읽을 것인가 여부를 선택합니다.
- 이미지 읽기 토글 <Ctrl-,(쉼표)>
- 이미지를 읽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이미지 읽기는 전체 읽기, 레이블된 이미지 읽기, 읽지 않기의 3단계가 있습니다.
- 단축키 읽기 토글
- 단축키가 정의되어 있는 경우 단축키를 읽어줄 것인가 선택합니다.
- 생략어, 두문자어 읽기 토글
- 생략어, 두문자어가 지정된 경우 읽을 것인가를 선택합니다.
- 외부 개체 시작, 끝 읽기 토글
- 웹페이지 내에 삽입된 외부 개체의 시작과 끝을 읽어줄 것인지 선택합니다. 외부개체에는 Flash, Silverlight,미디어 콘트롤 등을 포함합니다.
- 폼 시작, 끝 읽기 토글
- 폼의 시작과 끝을 알려줄지 여부를 선택합니다.
- 필드셋 시작, 끝 읽기 토글
- 필드셋의 시작과 끝을 읽어줄지 여부를 선택합니다.
- 헤딩 읽기 토글
- 헤딩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이를 읽어줄 것인가를 선택합니다.
- 언어 변경 시작, 끝 읽기 토글
- 언어가 지정된 경우 시작과 끝을 알려줄지 여부를 선택합니다.
- 목록 시작, 끝 읽기 토글
- 목록의 시작과 끝을 읽어줄 것인가 선택합니다.
- 표 시작, 끝 읽기 토글
- 표의 시작과 끝을 읽어줄 것인가 여부를 선택합니다.
- 셀 주소읽기 토글
- <Ctrl-Alt-방향키>로 테이블의 내용을 읽을 때 현재 셀의 주소를 읽어줄 것인가 선택합니다. 읽지 않기, 앞에 읽기, 뒤에 읽기의 3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미디어 객체 읽기 토글
- 화면에 표시 되지 않도록 구성된 미디어 컨트롤의 버튼을 가상커서로 표시할 것인가를 선택합니다.
- 새창 링크 읽기 토글
- 새창으로 열리는 링크의 속성을 음성출력할 것인가 여부를 선택합니다.
- 변경 내용 자동 구성 토글
- FLASH나 AJAX 등으로 구성된 페이지에서 웹페이지의 내용이 변경된 경우 이를 가상커서에서 갱신해서 표시해줄 것인가를 선택합니다.
- 숨긴 콘트롤 알림 토글
- 웹페이지 내에서 숨겨져있거나 비활성화 되어있는 폼컨트을 "사용불가"로 음성출력할 것인가를 선택합니다. display:none이나 disable 속성을 가진 항목을 포함하며 텍스트는 제외됩니다.
미디어 재생 기능
홈페이지 내에서 미디어 플레이어 모듈로 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미디어 제어 기능을 이용하여 재생 및 위치 이동, 속도 조절 등의 기능 제어가 가능합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소리도서관, 사이버방송센터, 온소리, 소리책 등의 사이트에서 편리하게 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미디어 재생 <Ctrl-]>
-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합니다.
- 미디어 중지 <Ctrl-[>
-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정지합니다.
- 미디어 앞으로 <Alt-]>
- 미디어 콘텐츠를 3초 앞으로 이동합니다.
- 미디어 이전으로 <Alt-[>
- 미디어 콘텐츠를 3초 뒤로 후진합니다.
- 미디어 이동 시간 <Alt-'(어퍼스트로피)>
- 미디어 앞으로, 이전으로 기능 사용시 이동할 시간을 설정합니다. 기본값은 3초이며, 기능키를 한 번 누를 때마다 3초, 5초, 10초, 1분, 5분 등으로 설정값이 변경됩니다.
- 미디어 볼륨 크게 <Alt-Shift-]>
- 미디어 재생 볼륨을 크게 합니다.
- 미디어 볼륨 작게 <Alt-Shift-[>
- 미디어 볼륨을 줄입니다.
- 미디어 속도 빠르게 <Ctrl-Shift-]>
- 미디어의 재생 속도를 빠르게 합니다.
- 미디어 속도 느리게 <Ctrl-Shift-[>
- 미디어의 재생 속도를 빠르게 합니다.
- 미디어 정상 속도로 <Ctrl-Alt-]>
- 미디어의 재생 속도를 정상으로 조정합니다.
- 미디어 URL 복사<Ctrl-Alt-[>
- 현재 미디어의 URL을 복사합니다. 메일이나 인터넷을 통해 다른 사람과 미디어를 공유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유용합니다.
- 미디어 정보 <Ctrl-Alt-Shift-]>
- 현재 미디어의 정보를 음성출력합니다.
- 활성 미디어 변경 <Ctrl-Alt-Shift-[>
- 미디어 콘텐츠가 여러 개인 경우 활성 미디어를 변경합니다.
기타 기능
가상커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추가 기능을 제공합니다.
- 가상 커서 설정 <Ctrl-Shift-F9>
- '가상 커서 설정' 기능을 참고하십시요
- 기능키 설정 <Ctrl-Shift-F9>
- 가상커서의 기능키를 정의합니다
- 현재 페이지 정보 <Ctrl-F9>
- 현재 열려진 페이지의 프레임 수, 링크 수, 총 라인 수, 현재 위치한 라인 수, 현재 익스플로러 창/전체 익스플로러 창의 수와 같은 형태로 페이지 정보를 읽어줍니다
- 가상 커서를 읽기 포인터 위치로 이동 <Ctrl-F11>
- 현재 읽기 포인터 위치로 가상커서 위치를 이동시킵니다. 약시자가 실제 마우스를 사용하거나 읽기포인터로 인터넷 화면을 읽다가 해당 위치로 가상커서 포인터를 맞출 때 사용합니다. 동적으로 변하는 페이지에서는 약간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레이블 설정 <Ctrl-G>
- 현재 가상커서가 위치한 이미지에 레이블을 붙입니다. 이 기능은 그래픽 레이블과는 다른 것이며, 가상커서상의 이미지에만 적용되는 것입니다
이미지 레이블이 저장되는 위치는 센스리더 폴더 내의 'setimagelabel' 폴더입니다. 센스리더를 삭제하고 재설치하시는 경우 중요한 이미지 레이블은 해당 폴더를 백업해 두십시오 - 가상 커서 사용 선택 <Ctrl-Shift-F11>
- 가상커서 사용이 가능한 곳에서 가상커서를 실행합니다. 멀티라인 편집창의 경우, 가상커서를 해제한 상태에서 편집을 하며, 편집 후에는 이 기능을 사용하여 가상커서를 다시 실행합니다
- 가상 커서 사용 해제 <Ctrl-Shift-F12>
- 가상커서가 동작 중인 상황에서 가상커서 사용을 해제합니다. 멀티라인 편집창이나 아웃룩의 프레임 편집창에서 내용을 입력하려면 이 기능을 사용해 가상커서를 해제해 주어야 합니다
- 연속 읽기 <F11>
- 센스리더의 연속읽기 기능과 동일하나, 링크를 만났을 때 <Enter>키를 누르면 연속읽기를 중단하고 해당 링크를 열어줍니다
- 현재 프레임 전체 읽기 <Alt-F11>
- 현재 가상커서가 위치한 프레임 내의 모든 내용을 읽어줍니다
- 기능키 무시 <Ctrl-N>
- 센스리더와 익스플로러의 기능키가 중복된 경우 기능키 무시 이후의 키입력에 대해 센스리더가 처리하지 않습니다
- 툴팁 읽기 <Ctrl-Alt-Shift-T>
- 현재 객체의 label, title, alt 속성들을 읽어줍니다.
가상커서 설정 <Ctrl-Shift-F9>
가상커서의 세부 환경을 설정합니다.
기능키를 누른 후, 가상커서 설정 대화상자가 나타나면 <설정> 버튼을 누릅니다. 대화상자의 각 항목 설정을 변경하고자 한다면 해당 목록에 위치한 후 <Space>키를 누르면 됩니다. 변경 후에는 반드시 <확인>키를 눌러야 합니다. 가상커서의 환경은 전역적으로 적용되며, <확인>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변경 사항이 적용됩니다.
가상커서 설정의 구성항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링크 속성 읽기 선택/해제
- 링크를 만났을 때 속성을 포함하여 읽을 것인지 선택합니다. 속성의 종류에는 방문함, 메일, 뉴스, FTdd 등이 있습니다.
예: 선택인 경우 "검색 방문한 링크", 해제된 경우 "검색 링크"
* '링크' 문자열을 앞에 읽고 싶다면 센스리더 메인창의 [도구] -> [소리 및 문자열 설정] 메뉴를 실행합니다.
대화상자가 나타나면 <포커스> -> <링크> 트리뷰 항목을 선택한 뒤, 팝업 키를 눌러 [문자열 설정] 메뉴를 실행합니다. 앞에 읽기, 읽지않기, 뒤에 읽기 등의 3가지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 자동 포커스 선택/해제 <Ctrl-.(마침표)>
- 자동 포커스는 HTML 문서나 인터넷 등에서 포커스 가능한 객체에 화면상 실제 포커스를 표시할 것인가 선택하는 옵션입니다. 자동 포커스를 선택하면 처리해야 할 데이터량이 증가함으로 속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마우스를 사용하는 약시자의 경우나 정안인과 그래픽 레이블 작업을 할 경우 포커스된 객체와 가상커서가 일치함으로 가상커서의 위치를 화면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 가상 커서시 편집창 입력
- 가상커서 상태에서 편집창과 암호 편집창에 데이터를 바로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이 옵션이 해제된 경우 <Space> 키를 누르면 편집창이 입력 가능 상태로 전환됩니다. <Tab> 등의 키를 눌러 가상 커서 포커스가 이동되면 입력 불가능 상태로 다시 전환됩니다.
- 이미지 읽기 <Ctrl-,(쉼표)>
- 가상커서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의 읽기 방식을 선택합니다. 일반적으로 '전체'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게시판이나 신문 기사 등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없애고 본문 내용을 깔끔하게 읽고 싶다면 '레이블된 이미지' 옵션이나 '읽지 않기' 옵션을 선택해서 사용해도 됩니다.
- 이동 페이지 줄
- 페이지단위 이동시(Pageup/Pagedn) 적용될 한 페이지의 라인수를 설정합니다. 5에서 50 사이의 값을 선택할 수 있으며, <Space>키를 누를 때마다 수치가 증가됩니다. 변경 단위는 5입니다.
- 줄 크기
- 가상커서에서 한 줄의 크기를 지정합니다. 50에서 500 사이의 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Space>키를 누를 때마다 50씩 수치가 증가됩니다.
- 툴팁 읽기 선택/해제
- 현재 가상커서 위치의 툴팁을 읽을 것인가 여부를 선택합니다. 툴팁이란 HTML 태그의 title 속성을 의미합니다. 홈페이지에 따라서 툴팁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음으로 적절히 사용 여부를 선택합니다.
- 새 페이지 자동 읽기 선택/해제
- 페이지가 새로 열릴 때 자동으로 문서 내용을 읽을 것인가를 선택합니다.
- 숨긴 내용 읽기 선택/해제 <Ctrl-/>
- 숨김 속성(display:none)이 지정되어 있는 객체를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합니다. 이 옵션을 해제하면 불필요한 객체를 표시하지 않아 좀 더 깔끔하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으나, 페이지에 따라서는 이 옵션이 선택되어 있어야 정상적인 인터넷 활용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 단축키 읽기
- accesskey 속성으로 단축키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단축키를 읽어줄 것인가 설정합니다.
- 생략어, 두문자어 읽기
- abbr, acronym 태그를 사용해서 단축말이나 생략어를 지정한 경우 이를 읽어줄 것인가를 설정합니다.
- 생략어, 두문자어 설명 읽기
- abbr, acronym 태그에 title 속성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이를 읽어줄 것인가 설정합니다.
- 외부 개체 시작, 끝 읽기 토글
- 웹페이지 내에 삽입된 외부 개체의 시작과 끝을 읽어줄 것인지 선택합니다. 외부개체에는 Flash, Silverlight,미디어 콘트롤 등을 포함합니다.
- 폼 시작, 끝 읽기
- 콘트롤을 배치할 때 사용되는 form 태그의 시작과 끝을 알려줄지 여부를 선택합니다.
- 필드셋 시작, 끝 읽기
- 구성요소를 그룹화할 때 사용되는 fieldset 태그가 지정된 경우 이를 알려줄지 여부를 선택합니다.
- 헤딩 읽기
- 헤딩(H1, H2, H3...)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이를 읽어줄지 여부를 설정합니다.
- 언어 변경시 엔진 변경
- lang 속성으로 언어가 지정된 경우 해당 언어에 맞는 음성엔진으로 변환하여 음성을 출력할 것인가를 선택합니다.
- 언어 변경 시작, 끝 읽기
- lang 속성으로 언어가 지정된 경우, 해당 언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줍니다.
- 목록 시작, 끝 읽기
- ul, ol, dl 등의 태그를 사용하여 목록을 지정한 경우 목록의 시작과 끝을 알려줄지 여부를 선택합니다.
- 이미지 설명 읽기
- img 태그에서 longdesc 속성으로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이를 알려줍니다. 옵션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Alt-Enter> 키를 누르면 해당 페이지가 새로운 창으로 열립니다.
- 표 시작, 끝 읽기 토글
- 표의 시작과 끝을 읽어줄 것인가 여부를 선택합니다.
- 셀 주소읽기 토글
- <Ctrl-Alt-방향키>로 테이블의 내용을 읽을 때 현재 셀의 주소를 읽어줄 것인가 선택합니다. 읽지 않기, 앞에 읽기, 뒤에 읽기의 3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미디어 객체 읽기 토글
- 화면에 표시 되지 않도록 구성된 미디어 컨트롤의 버튼을 가상커서로 표시할 것인가를 선택합니다.
- 새창 링크 읽기 토글
- 새창으로 열리는 링크의 속성을 음성출력할 것인가 여부를 선택합니다.
- 변경 내용 자동 구성 토글
- FLASH나 AJAX 등으로 구성된 페이지에서 웹페이지의 내용이 변경된 경우 이를 가상커서에서 갱신해서 표시해줄 것인가를 선택합니다.
- 숨긴 콘트롤 알림 토글
- 웹페이지 내에서 숨겨져있거나 비활성화 되어있는 폼컨트을 "사용불가"로 음성출력할 것인가를 선택합니다. display:none이나 disable 속성을 가진 항목을 포함하며 텍스트는 제외됩니다.
- 미디어 이동 시간
- 미디어 앞으로, 이전으로 기능 사용시 이동할 시간을 설정합니다. 기본값은 3초이며,키를 한 번 누를 때마다 3초, 5초, 10초, 1분, 5분 등으로 설정값이 변경됩니다.
기능키 설정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포함한 가상커서에서의 센스리더 기능키를 정의합니다. 센스리더에서 기본 기능키와 가상커서가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키가 중복되어 사용할 수 없을 경우나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해 기능키 지정이 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자 임의로 기능키를 지정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기능키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가상커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Ctrl-Shift-F9> 키를 누르고 메뉴가 나오면 <기능키 설정> 버튼을 누르도록 합니다.
기능키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기능키 설정 대화상자>가 나타나며, 대화상자에는 다음과 같은 콘트롤들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콘트롤을 이동하기 위해서는 <Tab> 키를 누릅니다.
- 기능 정의 목록상자
- 가상커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변경이나 삭제를 원하는 기능 목록을 위, 아래 방향키를 이용하여 선택합니다.
- 키값 읽기전용 편집창
- 변경 및 삭제를 원하는 기능 목록에 위치한 다음 <Tab> 키를 누르면 해당 기능에 설정된 키값이 표시됩니다.
- 등록 및 변경 버튼
- 등록 및 변경을 원하는 기능 목록에 위치한 후, 이 버튼을 누르면 새로운 키값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사용할 키를 입력하십시요"라는 음성 메세지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하고 싶은 키값을 누르도록 합니다. 정상적으로 키값이 지정되었다면 키값 편집창에 사용자가 지정한 키값이 표시됩니다.
- 삭제 버튼
- 현재 포커스되어 있는 기능 목록의 키값을 삭제합니다.
- 확인 버튼
- 사용자가 지정한 기능키 설정을 적용합니다. <확인> 버튼을 누르면 별도의 환경 저장이 필요없이 현재의 설정이 그대로 적용됩니다.
- 취소 버튼
- 현재 대화상자의 설정을 취소하고 대화상자를 닫습니다.
PDF 문서를 읽으려면
PDF 문서는 인터넷 문서와 마찬가지로 가상커서 기능을 사용하게 됩니다.
PDF 문서를 읽으려면 Adobe Reader가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 센스리더 프로그램 설치 CD 내의 'Adobe_Reader_9.10_ko_KR.exe' 파일을 찾아설치합니다.
- 탐색기에서 PDF 문서를 찾아 <Enter>키를 누르거나 Adobe Reader를 실행한 다음 [파일] -> [열기] 메뉴를 사용해 PDF 문서를 열 수 있습니다.
- PDF 문서가 열리고 나면 <태그없는문서읽기> 대화상자가 나타납니다. 여기에서는 <시작(S)> 버튼에서 엔터키를 입력합니다.
- 페이지 열림이라는 음성이 출력되면 인터넷의 사용과 동일하게 PDF 문서를 읽을 수 있습니다.
참고사항
- 인터넷상의 PDF 문서인 경우 파일이 열릴 때까지 일정 시간이 필요하며, 다른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거나 메뉴 등을 호출하면 안 됩니다. 컴퓨터 내의 PDF 문서에서는 상관 없습니다.
- PDF 제작시 텍스트를 이미지로 변환한 경우 센스리더로 내용을 읽을 수 없습니다. 텍스트 추출이 가능한 형태의 PDF만 음성출력할 수 있습니다.
- Adobe Reader 설치 후 처음 실행할 때 접근성 관련 설정이 나오게 됩니다. 이때는 <다음> 버튼만 계속 눌러주시면 됩니다.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