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를 포함한 거의 모든 유닉스는 대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비슷한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고 있다.
/bin : 일반적으로 bin은 binary의 약자로 실행코드를 가진 파일들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일반 명령어 파일들이 들어있다(ex cp, mv, rm, cat등)
/sbin : System binary의 약자, 주로 시스템 관리에 대한 명령어 들이 있다.
이런 명령어들은 root권한을 가진 user가 사용한다. (fdisk, useradd, reboot 등)
/home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로 개개인의 유져디렉토리가 있다. 우리가 리눅스를 이용한 웹호스팅을 할때도
이디렉토리에 안의 자신의 아이디의 이름을 가진 디렉토리가 자신의 home디렉토리이다.
useradd 명령어로 계정추가를 하면 기본적으로 이디렉토리에 home디렉토리가 생성된다.
/etc :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 및 부팅과 관련된 여러가지 스크립트 파일이 존재하므로 임의대로 삭제하거나
수정해서는 안된다. (ex : /etc/passwd, /etc/shadow, /etc/rc.d/init.d(service)등)
/lib : 프로그램의 실제 구현된 함수모듈들을 모아놓은 library파일들이 존재하는 곳이다.(windows의 dll파일과 비슷)
/proc : 가상 파일시스템으로 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서의 상태정보 및 기타 스시템 정보를 담고 있다.
윤진한 님이 작성하신 http://sir.co.kr/?doc=bbs/gnuboard.php&bo_table=lp_linux&page=1&wr_id=2
글의 파일들이 모두 /proc에 있죠? 참조하시면 될것입니다.
/dev : 하드디스크, cdrom, 포트, 모뎀, 마우스등과 같이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적인 장치등을 파일화하여 관리하는 디렉토리이다.
ls /dev | grep cdrom 하여 확인 하여보십시오. 그냥 ls /dev 하시면 무지하게 많이 뜨니깐 찾아보시고 싶은 장치를 이와 같이 해보세요.(/dev/hda, /dev/fd0, dev/cdrom등)
/root : 시스템 관리자인 root사용자 홈디렉토리 영역.
/tmp : 임시지정 디렉토리로서 각종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서 작업을 할때 임시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며 이디렉토리는 보통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mnt : 시디롬이나 플로피디스크 기타 외부파티션 (weindow 등) 을 접근할때 사용하는 디렉토리이다.
/user : 윈도우로 말하면 응용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이다. x-window, 커널소스, c컴파일러, 아파치, msql등 이모두가 이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에 설치된다.
/var : 시스템 관리에 대한 여러가지 영역이 존재하는 곳으로 /usr디렉토리와 거의 비슷한 역할을 하는 곳으로 /usr은 정적이라면 /var을 유동적이라고 할수 있다. (ex 로그파일, 기타 스풀링 공간)
/boot: 부팅이미지 파일이나 커널 정보가 포함된 디렉토리이다.
/lost+found : fsck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복구할 때 작업하는 디렉토리이다.
/opt : 응용프로그램들의 설치를 위해 남겨둔 디렉토리이다.
역할에 따라 파티션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bin : 일반적으로 bin은 binary의 약자로 실행코드를 가진 파일들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일반 명령어 파일들이 들어있다(ex cp, mv, rm, cat등)
/sbin : System binary의 약자, 주로 시스템 관리에 대한 명령어 들이 있다.
이런 명령어들은 root권한을 가진 user가 사용한다. (fdisk, useradd, reboot 등)
/home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로 개개인의 유져디렉토리가 있다. 우리가 리눅스를 이용한 웹호스팅을 할때도
이디렉토리에 안의 자신의 아이디의 이름을 가진 디렉토리가 자신의 home디렉토리이다.
useradd 명령어로 계정추가를 하면 기본적으로 이디렉토리에 home디렉토리가 생성된다.
/etc :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 및 부팅과 관련된 여러가지 스크립트 파일이 존재하므로 임의대로 삭제하거나
수정해서는 안된다. (ex : /etc/passwd, /etc/shadow, /etc/rc.d/init.d(service)등)
/lib : 프로그램의 실제 구현된 함수모듈들을 모아놓은 library파일들이 존재하는 곳이다.(windows의 dll파일과 비슷)
/proc : 가상 파일시스템으로 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서의 상태정보 및 기타 스시템 정보를 담고 있다.
윤진한 님이 작성하신 http://sir.co.kr/?doc=bbs/gnuboard.php&bo_table=lp_linux&page=1&wr_id=2
글의 파일들이 모두 /proc에 있죠? 참조하시면 될것입니다.
/dev : 하드디스크, cdrom, 포트, 모뎀, 마우스등과 같이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적인 장치등을 파일화하여 관리하는 디렉토리이다.
ls /dev | grep cdrom 하여 확인 하여보십시오. 그냥 ls /dev 하시면 무지하게 많이 뜨니깐 찾아보시고 싶은 장치를 이와 같이 해보세요.(/dev/hda, /dev/fd0, dev/cdrom등)
/root : 시스템 관리자인 root사용자 홈디렉토리 영역.
/tmp : 임시지정 디렉토리로서 각종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서 작업을 할때 임시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며 이디렉토리는 보통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mnt : 시디롬이나 플로피디스크 기타 외부파티션 (weindow 등) 을 접근할때 사용하는 디렉토리이다.
/user : 윈도우로 말하면 응용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이다. x-window, 커널소스, c컴파일러, 아파치, msql등 이모두가 이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에 설치된다.
/var : 시스템 관리에 대한 여러가지 영역이 존재하는 곳으로 /usr디렉토리와 거의 비슷한 역할을 하는 곳으로 /usr은 정적이라면 /var을 유동적이라고 할수 있다. (ex 로그파일, 기타 스풀링 공간)
/boot: 부팅이미지 파일이나 커널 정보가 포함된 디렉토리이다.
/lost+found : fsck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복구할 때 작업하는 디렉토리이다.
/opt : 응용프로그램들의 설치를 위해 남겨둔 디렉토리이다.
역할에 따라 파티션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게시판 목록
프로그램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8230 | 9년 전 | 145 | ||
| 8229 | 9년 전 | 126 | ||
| 8228 |
커네드커네드
|
9년 전 | 168 | |
| 8227 | 9년 전 | 213 | ||
| 8226 | 9년 전 | 228 | ||
| 8225 | 9년 전 | 206 | ||
| 8224 | 9년 전 | 213 | ||
| 8223 | 9년 전 | 181 | ||
| 8222 |
|
9년 전 | 253 | |
| 8221 | 9년 전 | 163 | ||
| 8220 | 9년 전 | 193 | ||
| 8219 | 9년 전 | 162 | ||
| 8218 | 9년 전 | 198 | ||
| 8217 |
star3840
|
9년 전 | 176 | |
| 8216 | 9년 전 | 242 | ||
| 8215 | 9년 전 | 186 | ||
| 8214 | 9년 전 | 294 | ||
| 8213 | 9년 전 | 254 | ||
| 8212 | 9년 전 | 164 | ||
| 8211 | 9년 전 | 339 | ||
| 8210 | 9년 전 | 338 | ||
| 8209 | 9년 전 | 413 | ||
| 8208 | 9년 전 | 300 | ||
| 8207 | 9년 전 | 306 | ||
| 8206 |
|
9년 전 | 259 | |
| 8205 | 9년 전 | 239 | ||
| 8204 | 9년 전 | 220 | ||
| 8203 | 9년 전 | 290 | ||
| 8202 | 9년 전 | 207 | ||
| 8201 | 9년 전 | 252 | ||
| 8200 | 9년 전 | 258 | ||
| 8199 | 9년 전 | 273 | ||
| 8198 | 9년 전 | 236 | ||
| 8197 | 9년 전 | 226 | ||
| 8196 | 9년 전 | 640 | ||
| 8195 | 9년 전 | 240 | ||
| 8194 | 9년 전 | 351 | ||
| 8193 | 9년 전 | 254 | ||
| 8192 | 9년 전 | 268 | ||
| 8191 | 9년 전 | 218 | ||
| 8190 | 9년 전 | 212 | ||
| 8189 | 9년 전 | 276 | ||
| 8188 | 9년 전 | 208 | ||
| 8187 | 9년 전 | 212 | ||
| 8186 | 9년 전 | 215 | ||
| 8185 | 9년 전 | 378 | ||
| 8184 | 9년 전 | 168 | ||
| 8183 | 9년 전 | 389 | ||
| 8182 | 9년 전 | 250 | ||
| 8181 | 9년 전 | 201 | ||
| 8180 | 9년 전 | 779 | ||
| 8179 | 9년 전 | 549 | ||
| 8178 | 9년 전 | 407 | ||
| 8177 |
kiplayer
|
9년 전 | 406 | |
| 8176 | 9년 전 | 438 | ||
| 8175 | 9년 전 | 328 | ||
| 8174 | 9년 전 | 321 | ||
| 8173 | 9년 전 | 408 | ||
| 8172 | 9년 전 | 290 | ||
| 8171 | 9년 전 | 252 | ||
| 8170 | 9년 전 | 373 | ||
| 8169 |
커네드커네드
|
9년 전 | 324 | |
| 8168 | 9년 전 | 405 | ||
| 8167 | 9년 전 | 397 | ||
| 8166 | 9년 전 | 297 | ||
| 8165 | 9년 전 | 242 | ||
| 8164 | 9년 전 | 371 | ||
| 8163 | 9년 전 | 369 | ||
| 8162 | 9년 전 | 369 | ||
| 8161 | 9년 전 | 386 | ||
| 8160 |
|
9년 전 | 587 | |
| 8159 | 9년 전 | 529 | ||
| 8158 | 9년 전 | 330 | ||
| 8157 | 9년 전 | 442 | ||
| 8156 | 9년 전 | 329 | ||
| 8155 | 9년 전 | 323 | ||
| 8154 |
00년생용띠
|
9년 전 | 660 | |
| 8153 | 9년 전 | 304 | ||
| 8152 |
|
9년 전 | 484 | |
| 8151 | 9년 전 | 484 | ||
| 8150 | 9년 전 | 585 | ||
| 8149 |
Jangfolk
|
9년 전 | 443 | |
| 8148 | 9년 전 | 257 | ||
| 8147 | 9년 전 | 447 | ||
| 8146 | 9년 전 | 531 | ||
| 8145 | 9년 전 | 483 | ||
| 8144 | 9년 전 | 448 | ||
| 8143 | 9년 전 | 283 | ||
| 8142 | 9년 전 | 494 | ||
| 8141 | 9년 전 | 446 | ||
| 8140 | 9년 전 | 1002 | ||
| 8139 | 9년 전 | 354 | ||
| 8138 |
전갈자리남자
|
9년 전 | 457 | |
| 8137 | 9년 전 | 498 | ||
| 8136 | 9년 전 | 822 | ||
| 8135 |
|
9년 전 | 860 | |
| 8134 |
PlayPixel
|
9년 전 | 602 | |
| 8133 |
|
9년 전 | 508 | |
| 8132 | 9년 전 | 548 | ||
| 8131 | 9년 전 | 904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