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를 포함한 거의 모든 유닉스는 대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비슷한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고 있다.
/bin : 일반적으로 bin은 binary의 약자로 실행코드를 가진 파일들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일반 명령어 파일들이 들어있다(ex cp, mv, rm, cat등)
/sbin : System binary의 약자, 주로 시스템 관리에 대한 명령어 들이 있다.
이런 명령어들은 root권한을 가진 user가 사용한다. (fdisk, useradd, reboot 등)
/home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로 개개인의 유져디렉토리가 있다. 우리가 리눅스를 이용한 웹호스팅을 할때도
이디렉토리에 안의 자신의 아이디의 이름을 가진 디렉토리가 자신의 home디렉토리이다.
useradd 명령어로 계정추가를 하면 기본적으로 이디렉토리에 home디렉토리가 생성된다.
/etc :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 및 부팅과 관련된 여러가지 스크립트 파일이 존재하므로 임의대로 삭제하거나
수정해서는 안된다. (ex : /etc/passwd, /etc/shadow, /etc/rc.d/init.d(service)등)
/lib : 프로그램의 실제 구현된 함수모듈들을 모아놓은 library파일들이 존재하는 곳이다.(windows의 dll파일과 비슷)
/proc : 가상 파일시스템으로 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서의 상태정보 및 기타 스시템 정보를 담고 있다.
윤진한 님이 작성하신 http://sir.co.kr/?doc=bbs/gnuboard.php&bo_table=lp_linux&page=1&wr_id=2
글의 파일들이 모두 /proc에 있죠? 참조하시면 될것입니다.
/dev : 하드디스크, cdrom, 포트, 모뎀, 마우스등과 같이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적인 장치등을 파일화하여 관리하는 디렉토리이다.
ls /dev | grep cdrom 하여 확인 하여보십시오. 그냥 ls /dev 하시면 무지하게 많이 뜨니깐 찾아보시고 싶은 장치를 이와 같이 해보세요.(/dev/hda, /dev/fd0, dev/cdrom등)
/root : 시스템 관리자인 root사용자 홈디렉토리 영역.
/tmp : 임시지정 디렉토리로서 각종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서 작업을 할때 임시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며 이디렉토리는 보통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mnt : 시디롬이나 플로피디스크 기타 외부파티션 (weindow 등) 을 접근할때 사용하는 디렉토리이다.
/user : 윈도우로 말하면 응용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이다. x-window, 커널소스, c컴파일러, 아파치, msql등 이모두가 이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에 설치된다.
/var : 시스템 관리에 대한 여러가지 영역이 존재하는 곳으로 /usr디렉토리와 거의 비슷한 역할을 하는 곳으로 /usr은 정적이라면 /var을 유동적이라고 할수 있다. (ex 로그파일, 기타 스풀링 공간)
/boot: 부팅이미지 파일이나 커널 정보가 포함된 디렉토리이다.
/lost+found : fsck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복구할 때 작업하는 디렉토리이다.
/opt : 응용프로그램들의 설치를 위해 남겨둔 디렉토리이다.
역할에 따라 파티션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bin : 일반적으로 bin은 binary의 약자로 실행코드를 가진 파일들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일반 명령어 파일들이 들어있다(ex cp, mv, rm, cat등)
/sbin : System binary의 약자, 주로 시스템 관리에 대한 명령어 들이 있다.
이런 명령어들은 root권한을 가진 user가 사용한다. (fdisk, useradd, reboot 등)
/home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로 개개인의 유져디렉토리가 있다. 우리가 리눅스를 이용한 웹호스팅을 할때도
이디렉토리에 안의 자신의 아이디의 이름을 가진 디렉토리가 자신의 home디렉토리이다.
useradd 명령어로 계정추가를 하면 기본적으로 이디렉토리에 home디렉토리가 생성된다.
/etc :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 및 부팅과 관련된 여러가지 스크립트 파일이 존재하므로 임의대로 삭제하거나
수정해서는 안된다. (ex : /etc/passwd, /etc/shadow, /etc/rc.d/init.d(service)등)
/lib : 프로그램의 실제 구현된 함수모듈들을 모아놓은 library파일들이 존재하는 곳이다.(windows의 dll파일과 비슷)
/proc : 가상 파일시스템으로 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서의 상태정보 및 기타 스시템 정보를 담고 있다.
윤진한 님이 작성하신 http://sir.co.kr/?doc=bbs/gnuboard.php&bo_table=lp_linux&page=1&wr_id=2
글의 파일들이 모두 /proc에 있죠? 참조하시면 될것입니다.
/dev : 하드디스크, cdrom, 포트, 모뎀, 마우스등과 같이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적인 장치등을 파일화하여 관리하는 디렉토리이다.
ls /dev | grep cdrom 하여 확인 하여보십시오. 그냥 ls /dev 하시면 무지하게 많이 뜨니깐 찾아보시고 싶은 장치를 이와 같이 해보세요.(/dev/hda, /dev/fd0, dev/cdrom등)
/root : 시스템 관리자인 root사용자 홈디렉토리 영역.
/tmp : 임시지정 디렉토리로서 각종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서 작업을 할때 임시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며 이디렉토리는 보통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mnt : 시디롬이나 플로피디스크 기타 외부파티션 (weindow 등) 을 접근할때 사용하는 디렉토리이다.
/user : 윈도우로 말하면 응용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이다. x-window, 커널소스, c컴파일러, 아파치, msql등 이모두가 이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에 설치된다.
/var : 시스템 관리에 대한 여러가지 영역이 존재하는 곳으로 /usr디렉토리와 거의 비슷한 역할을 하는 곳으로 /usr은 정적이라면 /var을 유동적이라고 할수 있다. (ex 로그파일, 기타 스풀링 공간)
/boot: 부팅이미지 파일이나 커널 정보가 포함된 디렉토리이다.
/lost+found : fsck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복구할 때 작업하는 디렉토리이다.
/opt : 응용프로그램들의 설치를 위해 남겨둔 디렉토리이다.
역할에 따라 파티션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게시판 목록
프로그램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8030 | 9년 전 | 359 | ||
| 8029 | 9년 전 | 299 | ||
| 8028 | 9년 전 | 260 | ||
| 8027 | 9년 전 | 273 | ||
| 8026 | 9년 전 | 327 | ||
| 8025 | 9년 전 | 375 | ||
| 8024 | 9년 전 | 338 | ||
| 8023 | 9년 전 | 386 | ||
| 8022 | 9년 전 | 315 | ||
| 8021 | 9년 전 | 325 | ||
| 8020 | 9년 전 | 313 | ||
| 8019 | 9년 전 | 337 | ||
| 8018 | 9년 전 | 441 | ||
| 8017 | 9년 전 | 534 | ||
| 8016 | 9년 전 | 323 | ||
| 8015 | 9년 전 | 383 | ||
| 8014 | 9년 전 | 320 | ||
| 8013 | 9년 전 | 232 | ||
| 8012 | 9년 전 | 239 | ||
| 8011 | 9년 전 | 442 | ||
| 8010 | 9년 전 | 296 | ||
| 8009 | 9년 전 | 281 | ||
| 8008 | 9년 전 | 283 | ||
| 8007 | 9년 전 | 424 | ||
| 8006 | 9년 전 | 459 | ||
| 8005 |
|
9년 전 | 966 | |
| 8004 | 9년 전 | 350 | ||
| 8003 | 9년 전 | 415 | ||
| 8002 | 9년 전 | 321 | ||
| 8001 |
|
9년 전 | 664 | |
| 8000 | 9년 전 | 412 | ||
| 7999 | 9년 전 | 372 | ||
| 7998 | 9년 전 | 423 | ||
| 7997 | 9년 전 | 306 | ||
| 7996 | 9년 전 | 530 | ||
| 7995 | 9년 전 | 453 | ||
| 7994 | 9년 전 | 322 | ||
| 7993 | 9년 전 | 381 | ||
| 7992 | 9년 전 | 502 | ||
| 7991 | 9년 전 | 246 | ||
| 7990 | 9년 전 | 275 | ||
| 7989 | 9년 전 | 297 | ||
| 7988 | 9년 전 | 720 | ||
| 7987 | 9년 전 | 418 | ||
| 7986 | 9년 전 | 409 | ||
| 7985 | 9년 전 | 506 | ||
| 7984 | 9년 전 | 426 | ||
| 7983 | 9년 전 | 656 | ||
| 7982 | 9년 전 | 509 | ||
| 7981 | 9년 전 | 461 | ||
| 7980 | 9년 전 | 488 | ||
| 7979 | 9년 전 | 461 | ||
| 7978 | 9년 전 | 443 | ||
| 7977 | 9년 전 | 385 | ||
| 7976 | 9년 전 | 846 | ||
| 7975 | 9년 전 | 357 | ||
| 7974 | 9년 전 | 387 | ||
| 7973 | 9년 전 | 592 | ||
| 7972 | 9년 전 | 377 | ||
| 7971 | 9년 전 | 455 | ||
| 7970 | 9년 전 | 290 | ||
| 7969 | 9년 전 | 537 | ||
| 7968 | 9년 전 | 378 | ||
| 7967 | 9년 전 | 363 | ||
| 7966 | 9년 전 | 366 | ||
| 7965 |
|
9년 전 | 1009 | |
| 7964 | 9년 전 | 395 | ||
| 7963 | 9년 전 | 388 | ||
| 7962 | 9년 전 | 368 | ||
| 7961 |
전갈자리남자
|
9년 전 | 502 | |
| 7960 | 9년 전 | 959 | ||
| 7959 | 9년 전 | 550 | ||
| 7958 | 9년 전 | 405 | ||
| 7957 | 9년 전 | 363 | ||
| 7956 | 9년 전 | 365 | ||
| 7955 | 9년 전 | 446 | ||
| 7954 | 9년 전 | 373 | ||
| 7953 | 9년 전 | 422 | ||
| 7952 | 9년 전 | 352 | ||
| 7951 | 9년 전 | 501 | ||
| 7950 | 9년 전 | 384 | ||
| 7949 | 9년 전 | 383 | ||
| 7948 | 9년 전 | 321 | ||
| 7947 | 9년 전 | 927 | ||
| 7946 | 9년 전 | 424 | ||
| 7945 | 9년 전 | 391 | ||
| 7944 | 9년 전 | 417 | ||
| 7943 | 9년 전 | 370 | ||
| 7942 | 9년 전 | 401 | ||
| 7941 | 9년 전 | 384 | ||
| 7940 | 9년 전 | 877 | ||
| 7939 | 9년 전 | 348 | ||
| 7938 | 9년 전 | 380 | ||
| 7937 | 9년 전 | 273 | ||
| 7936 | 9년 전 | 880 | ||
| 7935 | 9년 전 | 442 | ||
| 7934 | 9년 전 | 412 | ||
| 7933 | 9년 전 | 504 | ||
| 7932 | 9년 전 | 475 | ||
| 7931 | 9년 전 | 525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