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를 포함한 거의 모든 유닉스는 대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비슷한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고 있다.
/bin : 일반적으로 bin은 binary의 약자로 실행코드를 가진 파일들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일반 명령어 파일들이 들어있다(ex cp, mv, rm, cat등)
/sbin : System binary의 약자, 주로 시스템 관리에 대한 명령어 들이 있다.
이런 명령어들은 root권한을 가진 user가 사용한다. (fdisk, useradd, reboot 등)
/home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로 개개인의 유져디렉토리가 있다. 우리가 리눅스를 이용한 웹호스팅을 할때도
이디렉토리에 안의 자신의 아이디의 이름을 가진 디렉토리가 자신의 home디렉토리이다.
useradd 명령어로 계정추가를 하면 기본적으로 이디렉토리에 home디렉토리가 생성된다.
/etc :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 및 부팅과 관련된 여러가지 스크립트 파일이 존재하므로 임의대로 삭제하거나
수정해서는 안된다. (ex : /etc/passwd, /etc/shadow, /etc/rc.d/init.d(service)등)
/lib : 프로그램의 실제 구현된 함수모듈들을 모아놓은 library파일들이 존재하는 곳이다.(windows의 dll파일과 비슷)
/proc : 가상 파일시스템으로 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서의 상태정보 및 기타 스시템 정보를 담고 있다.
윤진한 님이 작성하신 http://sir.co.kr/?doc=bbs/gnuboard.php&bo_table=lp_linux&page=1&wr_id=2
글의 파일들이 모두 /proc에 있죠? 참조하시면 될것입니다.
/dev : 하드디스크, cdrom, 포트, 모뎀, 마우스등과 같이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적인 장치등을 파일화하여 관리하는 디렉토리이다.
ls /dev | grep cdrom 하여 확인 하여보십시오. 그냥 ls /dev 하시면 무지하게 많이 뜨니깐 찾아보시고 싶은 장치를 이와 같이 해보세요.(/dev/hda, /dev/fd0, dev/cdrom등)
/root : 시스템 관리자인 root사용자 홈디렉토리 영역.
/tmp : 임시지정 디렉토리로서 각종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서 작업을 할때 임시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며 이디렉토리는 보통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mnt : 시디롬이나 플로피디스크 기타 외부파티션 (weindow 등) 을 접근할때 사용하는 디렉토리이다.
/user : 윈도우로 말하면 응용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이다. x-window, 커널소스, c컴파일러, 아파치, msql등 이모두가 이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에 설치된다.
/var : 시스템 관리에 대한 여러가지 영역이 존재하는 곳으로 /usr디렉토리와 거의 비슷한 역할을 하는 곳으로 /usr은 정적이라면 /var을 유동적이라고 할수 있다. (ex 로그파일, 기타 스풀링 공간)
/boot: 부팅이미지 파일이나 커널 정보가 포함된 디렉토리이다.
/lost+found : fsck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복구할 때 작업하는 디렉토리이다.
/opt : 응용프로그램들의 설치를 위해 남겨둔 디렉토리이다.
역할에 따라 파티션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bin : 일반적으로 bin은 binary의 약자로 실행코드를 가진 파일들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일반 명령어 파일들이 들어있다(ex cp, mv, rm, cat등)
/sbin : System binary의 약자, 주로 시스템 관리에 대한 명령어 들이 있다.
이런 명령어들은 root권한을 가진 user가 사용한다. (fdisk, useradd, reboot 등)
/home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로 개개인의 유져디렉토리가 있다. 우리가 리눅스를 이용한 웹호스팅을 할때도
이디렉토리에 안의 자신의 아이디의 이름을 가진 디렉토리가 자신의 home디렉토리이다.
useradd 명령어로 계정추가를 하면 기본적으로 이디렉토리에 home디렉토리가 생성된다.
/etc :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 및 부팅과 관련된 여러가지 스크립트 파일이 존재하므로 임의대로 삭제하거나
수정해서는 안된다. (ex : /etc/passwd, /etc/shadow, /etc/rc.d/init.d(service)등)
/lib : 프로그램의 실제 구현된 함수모듈들을 모아놓은 library파일들이 존재하는 곳이다.(windows의 dll파일과 비슷)
/proc : 가상 파일시스템으로 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서의 상태정보 및 기타 스시템 정보를 담고 있다.
윤진한 님이 작성하신 http://sir.co.kr/?doc=bbs/gnuboard.php&bo_table=lp_linux&page=1&wr_id=2
글의 파일들이 모두 /proc에 있죠? 참조하시면 될것입니다.
/dev : 하드디스크, cdrom, 포트, 모뎀, 마우스등과 같이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적인 장치등을 파일화하여 관리하는 디렉토리이다.
ls /dev | grep cdrom 하여 확인 하여보십시오. 그냥 ls /dev 하시면 무지하게 많이 뜨니깐 찾아보시고 싶은 장치를 이와 같이 해보세요.(/dev/hda, /dev/fd0, dev/cdrom등)
/root : 시스템 관리자인 root사용자 홈디렉토리 영역.
/tmp : 임시지정 디렉토리로서 각종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서 작업을 할때 임시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며 이디렉토리는 보통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mnt : 시디롬이나 플로피디스크 기타 외부파티션 (weindow 등) 을 접근할때 사용하는 디렉토리이다.
/user : 윈도우로 말하면 응용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이다. x-window, 커널소스, c컴파일러, 아파치, msql등 이모두가 이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에 설치된다.
/var : 시스템 관리에 대한 여러가지 영역이 존재하는 곳으로 /usr디렉토리와 거의 비슷한 역할을 하는 곳으로 /usr은 정적이라면 /var을 유동적이라고 할수 있다. (ex 로그파일, 기타 스풀링 공간)
/boot: 부팅이미지 파일이나 커널 정보가 포함된 디렉토리이다.
/lost+found : fsck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복구할 때 작업하는 디렉토리이다.
/opt : 응용프로그램들의 설치를 위해 남겨둔 디렉토리이다.
역할에 따라 파티션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게시판 목록
프로그램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7830 | 9년 전 | 423 | ||
| 7829 |
|
9년 전 | 617 | |
| 7828 | 9년 전 | 542 | ||
| 7827 | 9년 전 | 435 | ||
| 7826 | 9년 전 | 435 | ||
| 7825 | 10년 전 | 482 | ||
| 7824 | 10년 전 | 446 | ||
| 7823 | 10년 전 | 383 | ||
| 7822 | 10년 전 | 362 | ||
| 7821 | 10년 전 | 311 | ||
| 7820 | 10년 전 | 349 | ||
| 7819 |
|
10년 전 | 752 | |
| 7818 | 10년 전 | 391 | ||
| 7817 | 10년 전 | 523 | ||
| 7816 | 10년 전 | 410 | ||
| 7815 | 10년 전 | 608 | ||
| 7814 | 10년 전 | 435 | ||
| 7813 | 10년 전 | 377 | ||
| 7812 | 10년 전 | 403 | ||
| 7811 | 10년 전 | 394 | ||
| 7810 | 10년 전 | 565 | ||
| 7809 | 10년 전 | 498 | ||
| 7808 | 10년 전 | 380 | ||
| 7807 | 10년 전 | 408 | ||
| 7806 |
프로그래머7
|
10년 전 | 1335 | |
| 7805 | 10년 전 | 1276 | ||
| 7804 |
zahir1312
|
10년 전 | 779 | |
| 7803 |
|
10년 전 | 1376 | |
| 7802 | 10년 전 | 460 | ||
| 7801 | 10년 전 | 864 | ||
| 7800 | 10년 전 | 1087 | ||
| 7799 | 10년 전 | 559 | ||
| 7798 | 10년 전 | 514 | ||
| 7797 | 10년 전 | 513 | ||
| 7796 | 10년 전 | 354 | ||
| 7795 | 10년 전 | 506 | ||
| 7794 | 10년 전 | 558 | ||
| 7793 | 10년 전 | 1060 | ||
| 7792 | 10년 전 | 477 | ||
| 7791 | 10년 전 | 557 | ||
| 7790 | 10년 전 | 509 | ||
| 7789 |
fbastore
|
10년 전 | 1449 | |
| 7788 | 10년 전 | 546 | ||
| 7787 | 10년 전 | 402 | ||
| 7786 | 10년 전 | 595 | ||
| 7785 | 10년 전 | 586 | ||
| 7784 | 10년 전 | 646 | ||
| 7783 | 10년 전 | 453 | ||
| 7782 | 10년 전 | 494 | ||
| 7781 | 10년 전 | 900 | ||
| 7780 | 10년 전 | 818 | ||
| 7779 | 10년 전 | 776 | ||
| 7778 | 10년 전 | 364 | ||
| 7777 | 10년 전 | 456 | ||
| 7776 | 10년 전 | 462 | ||
| 7775 | 10년 전 | 411 | ||
| 7774 | 10년 전 | 631 | ||
| 7773 | 10년 전 | 385 | ||
| 7772 | 10년 전 | 735 | ||
| 7771 | 10년 전 | 391 | ||
| 7770 | 10년 전 | 647 | ||
| 7769 | 10년 전 | 386 | ||
| 7768 | 10년 전 | 613 | ||
| 7767 | 10년 전 | 1174 | ||
| 7766 | 10년 전 | 492 | ||
| 7765 | 10년 전 | 530 | ||
| 7764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394 | |
| 7763 |
|
10년 전 | 1460 | |
| 7762 |
Tosea
|
10년 전 | 1057 | |
| 7761 | 10년 전 | 650 | ||
| 7760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681 | |
| 7759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511 | |
| 7758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595 | |
| 7757 | 10년 전 | 1246 | ||
| 7756 |
ITBANK
|
10년 전 | 1253 | |
| 7755 | 10년 전 | 1930 | ||
| 7754 | 10년 전 | 1057 | ||
| 7753 | 10년 전 | 886 | ||
| 7752 | 10년 전 | 1394 | ||
| 7751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534 | |
| 7750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479 | |
| 7749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490 | |
| 7748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498 | |
| 7747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592 | |
| 7746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681 | |
| 7745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919 | |
| 7744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419 | |
| 7743 | 10년 전 | 947 | ||
| 7742 |
starbros
|
10년 전 | 843 | |
| 7741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676 | |
| 7740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547 | |
| 7739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466 | |
| 7738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536 | |
| 7737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504 | |
| 7736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523 | |
| 7735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851 | |
| 7734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432 | |
| 7733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546 | |
| 7732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701 | |
| 7731 |
잘살아보자
|
10년 전 | 627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