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를 포함한 거의 모든 유닉스는 대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비슷한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고 있다.
/bin : 일반적으로 bin은 binary의 약자로 실행코드를 가진 파일들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일반 명령어 파일들이 들어있다(ex cp, mv, rm, cat등)
/sbin : System binary의 약자, 주로 시스템 관리에 대한 명령어 들이 있다.
이런 명령어들은 root권한을 가진 user가 사용한다. (fdisk, useradd, reboot 등)
/home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로 개개인의 유져디렉토리가 있다. 우리가 리눅스를 이용한 웹호스팅을 할때도
이디렉토리에 안의 자신의 아이디의 이름을 가진 디렉토리가 자신의 home디렉토리이다.
useradd 명령어로 계정추가를 하면 기본적으로 이디렉토리에 home디렉토리가 생성된다.
/etc :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 및 부팅과 관련된 여러가지 스크립트 파일이 존재하므로 임의대로 삭제하거나
수정해서는 안된다. (ex : /etc/passwd, /etc/shadow, /etc/rc.d/init.d(service)등)
/lib : 프로그램의 실제 구현된 함수모듈들을 모아놓은 library파일들이 존재하는 곳이다.(windows의 dll파일과 비슷)
/proc : 가상 파일시스템으로 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서의 상태정보 및 기타 스시템 정보를 담고 있다.
윤진한 님이 작성하신 http://sir.co.kr/?doc=bbs/gnuboard.php&bo_table=lp_linux&page=1&wr_id=2
글의 파일들이 모두 /proc에 있죠? 참조하시면 될것입니다.
/dev : 하드디스크, cdrom, 포트, 모뎀, 마우스등과 같이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적인 장치등을 파일화하여 관리하는 디렉토리이다.
ls /dev | grep cdrom 하여 확인 하여보십시오. 그냥 ls /dev 하시면 무지하게 많이 뜨니깐 찾아보시고 싶은 장치를 이와 같이 해보세요.(/dev/hda, /dev/fd0, dev/cdrom등)
/root : 시스템 관리자인 root사용자 홈디렉토리 영역.
/tmp : 임시지정 디렉토리로서 각종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서 작업을 할때 임시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며 이디렉토리는 보통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mnt : 시디롬이나 플로피디스크 기타 외부파티션 (weindow 등) 을 접근할때 사용하는 디렉토리이다.
/user : 윈도우로 말하면 응용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이다. x-window, 커널소스, c컴파일러, 아파치, msql등 이모두가 이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에 설치된다.
/var : 시스템 관리에 대한 여러가지 영역이 존재하는 곳으로 /usr디렉토리와 거의 비슷한 역할을 하는 곳으로 /usr은 정적이라면 /var을 유동적이라고 할수 있다. (ex 로그파일, 기타 스풀링 공간)
/boot: 부팅이미지 파일이나 커널 정보가 포함된 디렉토리이다.
/lost+found : fsck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복구할 때 작업하는 디렉토리이다.
/opt : 응용프로그램들의 설치를 위해 남겨둔 디렉토리이다.
역할에 따라 파티션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bin : 일반적으로 bin은 binary의 약자로 실행코드를 가진 파일들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일반 명령어 파일들이 들어있다(ex cp, mv, rm, cat등)
/sbin : System binary의 약자, 주로 시스템 관리에 대한 명령어 들이 있다.
이런 명령어들은 root권한을 가진 user가 사용한다. (fdisk, useradd, reboot 등)
/home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로 개개인의 유져디렉토리가 있다. 우리가 리눅스를 이용한 웹호스팅을 할때도
이디렉토리에 안의 자신의 아이디의 이름을 가진 디렉토리가 자신의 home디렉토리이다.
useradd 명령어로 계정추가를 하면 기본적으로 이디렉토리에 home디렉토리가 생성된다.
/etc :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 및 부팅과 관련된 여러가지 스크립트 파일이 존재하므로 임의대로 삭제하거나
수정해서는 안된다. (ex : /etc/passwd, /etc/shadow, /etc/rc.d/init.d(service)등)
/lib : 프로그램의 실제 구현된 함수모듈들을 모아놓은 library파일들이 존재하는 곳이다.(windows의 dll파일과 비슷)
/proc : 가상 파일시스템으로 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서의 상태정보 및 기타 스시템 정보를 담고 있다.
윤진한 님이 작성하신 http://sir.co.kr/?doc=bbs/gnuboard.php&bo_table=lp_linux&page=1&wr_id=2
글의 파일들이 모두 /proc에 있죠? 참조하시면 될것입니다.
/dev : 하드디스크, cdrom, 포트, 모뎀, 마우스등과 같이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적인 장치등을 파일화하여 관리하는 디렉토리이다.
ls /dev | grep cdrom 하여 확인 하여보십시오. 그냥 ls /dev 하시면 무지하게 많이 뜨니깐 찾아보시고 싶은 장치를 이와 같이 해보세요.(/dev/hda, /dev/fd0, dev/cdrom등)
/root : 시스템 관리자인 root사용자 홈디렉토리 영역.
/tmp : 임시지정 디렉토리로서 각종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서 작업을 할때 임시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며 이디렉토리는 보통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mnt : 시디롬이나 플로피디스크 기타 외부파티션 (weindow 등) 을 접근할때 사용하는 디렉토리이다.
/user : 윈도우로 말하면 응용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이다. x-window, 커널소스, c컴파일러, 아파치, msql등 이모두가 이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에 설치된다.
/var : 시스템 관리에 대한 여러가지 영역이 존재하는 곳으로 /usr디렉토리와 거의 비슷한 역할을 하는 곳으로 /usr은 정적이라면 /var을 유동적이라고 할수 있다. (ex 로그파일, 기타 스풀링 공간)
/boot: 부팅이미지 파일이나 커널 정보가 포함된 디렉토리이다.
/lost+found : fsck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복구할 때 작업하는 디렉토리이다.
/opt : 응용프로그램들의 설치를 위해 남겨둔 디렉토리이다.
역할에 따라 파티션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게시판 목록
프로그램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530 |
|
19년 전 | 1233 | |
| 529 |
|
19년 전 | 1415 | |
| 528 |
|
19년 전 | 1978 | |
| 527 |
사랑과우정
|
19년 전 | 2389 | |
| 526 | 19년 전 | 2871 | ||
| 525 |
|
19년 전 | 2298 | |
| 524 |
|
19년 전 | 1804 | |
| 523 | 19년 전 | 7040 | ||
| 522 |
|
19년 전 | 3729 | |
| 521 | 19년 전 | 2340 | ||
| 520 | 19년 전 | 2378 | ||
| 519 | 19년 전 | 2874 | ||
| 518 |
|
19년 전 | 5784 | |
| 517 |
|
19년 전 | 5559 | |
| 516 |
|
19년 전 | 2263 | |
| 515 |
|
19년 전 | 3303 | |
| 514 | 19년 전 | 2867 | ||
| 513 | 19년 전 | 2220 | ||
| 512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730 | |
| 511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585 | |
| 510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741 | |
| 509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847 | |
| 508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009 | |
| 507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687 | |
| 506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808 | |
| 505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776 | |
| 504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857 | |
| 503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521 | |
| 502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652 | |
| 501 | 19년 전 | 2001 | ||
| 500 | 19년 전 | 3240 | ||
| 499 | 19년 전 | 3272 | ||
| 498 | 19년 전 | 2528 | ||
| 497 | 19년 전 | 2602 | ||
| 496 | 19년 전 | 2444 | ||
| 495 | 19년 전 | 2700 | ||
| 494 | 19년 전 | 2680 | ||
| 493 | 19년 전 | 3182 | ||
| 492 | 19년 전 | 2896 | ||
| 491 | 19년 전 | 5310 | ||
| 490 |
|
19년 전 | 2127 | |
| 489 |
|
19년 전 | 2213 | |
| 488 |
|
19년 전 | 2008 | |
| 487 |
|
19년 전 | 1946 | |
| 486 |
|
19년 전 | 1941 | |
| 485 |
|
19년 전 | 2142 | |
| 484 |
|
19년 전 | 3215 | |
| 483 |
|
19년 전 | 3098 | |
| 482 |
|
19년 전 | 2855 | |
| 481 |
|
19년 전 | 2548 | |
| 480 |
|
19년 전 | 2636 | |
| 479 |
|
19년 전 | 2297 | |
| 478 |
|
19년 전 | 2329 | |
| 477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593 | |
| 476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311 | |
| 475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661 | |
| 474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660 | |
| 473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969 | |
| 472 | 19년 전 | 2739 | ||
| 471 | 19년 전 | 1733 | ||
| 470 | 19년 전 | 1829 | ||
| 469 |
|
19년 전 | 2731 | |
| 468 |
|
19년 전 | 2222 | |
| 467 |
|
19년 전 | 3997 | |
| 466 |
|
19년 전 | 2513 | |
| 465 | 19년 전 | 2380 | ||
| 464 | 19년 전 | 3528 | ||
| 463 |
|
19년 전 | 3103 | |
| 462 |
|
19년 전 | 2243 | |
| 461 |
|
19년 전 | 3038 | |
| 460 |
|
19년 전 | 2241 | |
| 459 |
|
19년 전 | 3109 | |
| 458 |
|
19년 전 | 3534 | |
| 457 |
|
19년 전 | 5217 | |
| 456 |
|
19년 전 | 3136 | |
| 455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3132 | |
| 454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722 | |
| 453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468 | |
| 452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723 | |
| 451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450 | |
| 450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569 | |
| 449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366 | |
| 448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693 | |
| 447 | 19년 전 | 2960 | ||
| 446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3245 | |
| 445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7048 | |
| 444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5170 | |
| 443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429 | |
| 442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5166 | |
| 441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3105 | |
| 440 |
|
19년 전 | 2465 | |
| 439 | 19년 전 | 2160 | ||
| 438 | 19년 전 | 3568 | ||
| 437 |
|
19년 전 | 2870 | |
| 436 |
|
19년 전 | 3250 | |
| 435 |
|
19년 전 | 2892 | |
| 434 | 19년 전 | 3385 | ||
| 433 |
sjsjin
|
19년 전 | 2712 | |
| 432 |
sjsjin
|
19년 전 | 3456 | |
| 431 |
sjsjin
|
19년 전 | 2417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