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를 포함한 거의 모든 유닉스는 대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비슷한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고 있다.
/bin : 일반적으로 bin은 binary의 약자로 실행코드를 가진 파일들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일반 명령어 파일들이 들어있다(ex cp, mv, rm, cat등)
/sbin : System binary의 약자, 주로 시스템 관리에 대한 명령어 들이 있다.
이런 명령어들은 root권한을 가진 user가 사용한다. (fdisk, useradd, reboot 등)
/home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로 개개인의 유져디렉토리가 있다. 우리가 리눅스를 이용한 웹호스팅을 할때도
이디렉토리에 안의 자신의 아이디의 이름을 가진 디렉토리가 자신의 home디렉토리이다.
useradd 명령어로 계정추가를 하면 기본적으로 이디렉토리에 home디렉토리가 생성된다.
/etc :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 및 부팅과 관련된 여러가지 스크립트 파일이 존재하므로 임의대로 삭제하거나
수정해서는 안된다. (ex : /etc/passwd, /etc/shadow, /etc/rc.d/init.d(service)등)
/lib : 프로그램의 실제 구현된 함수모듈들을 모아놓은 library파일들이 존재하는 곳이다.(windows의 dll파일과 비슷)
/proc : 가상 파일시스템으로 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서의 상태정보 및 기타 스시템 정보를 담고 있다.
윤진한 님이 작성하신 http://sir.co.kr/?doc=bbs/gnuboard.php&bo_table=lp_linux&page=1&wr_id=2
글의 파일들이 모두 /proc에 있죠? 참조하시면 될것입니다.
/dev : 하드디스크, cdrom, 포트, 모뎀, 마우스등과 같이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적인 장치등을 파일화하여 관리하는 디렉토리이다.
ls /dev | grep cdrom 하여 확인 하여보십시오. 그냥 ls /dev 하시면 무지하게 많이 뜨니깐 찾아보시고 싶은 장치를 이와 같이 해보세요.(/dev/hda, /dev/fd0, dev/cdrom등)
/root : 시스템 관리자인 root사용자 홈디렉토리 영역.
/tmp : 임시지정 디렉토리로서 각종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서 작업을 할때 임시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며 이디렉토리는 보통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mnt : 시디롬이나 플로피디스크 기타 외부파티션 (weindow 등) 을 접근할때 사용하는 디렉토리이다.
/user : 윈도우로 말하면 응용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이다. x-window, 커널소스, c컴파일러, 아파치, msql등 이모두가 이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에 설치된다.
/var : 시스템 관리에 대한 여러가지 영역이 존재하는 곳으로 /usr디렉토리와 거의 비슷한 역할을 하는 곳으로 /usr은 정적이라면 /var을 유동적이라고 할수 있다. (ex 로그파일, 기타 스풀링 공간)
/boot: 부팅이미지 파일이나 커널 정보가 포함된 디렉토리이다.
/lost+found : fsck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복구할 때 작업하는 디렉토리이다.
/opt : 응용프로그램들의 설치를 위해 남겨둔 디렉토리이다.
역할에 따라 파티션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bin : 일반적으로 bin은 binary의 약자로 실행코드를 가진 파일들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일반 명령어 파일들이 들어있다(ex cp, mv, rm, cat등)
/sbin : System binary의 약자, 주로 시스템 관리에 대한 명령어 들이 있다.
이런 명령어들은 root권한을 가진 user가 사용한다. (fdisk, useradd, reboot 등)
/home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로 개개인의 유져디렉토리가 있다. 우리가 리눅스를 이용한 웹호스팅을 할때도
이디렉토리에 안의 자신의 아이디의 이름을 가진 디렉토리가 자신의 home디렉토리이다.
useradd 명령어로 계정추가를 하면 기본적으로 이디렉토리에 home디렉토리가 생성된다.
/etc :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 및 부팅과 관련된 여러가지 스크립트 파일이 존재하므로 임의대로 삭제하거나
수정해서는 안된다. (ex : /etc/passwd, /etc/shadow, /etc/rc.d/init.d(service)등)
/lib : 프로그램의 실제 구현된 함수모듈들을 모아놓은 library파일들이 존재하는 곳이다.(windows의 dll파일과 비슷)
/proc : 가상 파일시스템으로 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세서의 상태정보 및 기타 스시템 정보를 담고 있다.
윤진한 님이 작성하신 http://sir.co.kr/?doc=bbs/gnuboard.php&bo_table=lp_linux&page=1&wr_id=2
글의 파일들이 모두 /proc에 있죠? 참조하시면 될것입니다.
/dev : 하드디스크, cdrom, 포트, 모뎀, 마우스등과 같이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적인 장치등을 파일화하여 관리하는 디렉토리이다.
ls /dev | grep cdrom 하여 확인 하여보십시오. 그냥 ls /dev 하시면 무지하게 많이 뜨니깐 찾아보시고 싶은 장치를 이와 같이 해보세요.(/dev/hda, /dev/fd0, dev/cdrom등)
/root : 시스템 관리자인 root사용자 홈디렉토리 영역.
/tmp : 임시지정 디렉토리로서 각종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서 작업을 할때 임시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며 이디렉토리는 보통 모든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mnt : 시디롬이나 플로피디스크 기타 외부파티션 (weindow 등) 을 접근할때 사용하는 디렉토리이다.
/user : 윈도우로 말하면 응용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이다. x-window, 커널소스, c컴파일러, 아파치, msql등 이모두가 이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에 설치된다.
/var : 시스템 관리에 대한 여러가지 영역이 존재하는 곳으로 /usr디렉토리와 거의 비슷한 역할을 하는 곳으로 /usr은 정적이라면 /var을 유동적이라고 할수 있다. (ex 로그파일, 기타 스풀링 공간)
/boot: 부팅이미지 파일이나 커널 정보가 포함된 디렉토리이다.
/lost+found : fsck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복구할 때 작업하는 디렉토리이다.
/opt : 응용프로그램들의 설치를 위해 남겨둔 디렉토리이다.
역할에 따라 파티션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게시판 목록
프로그램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430 | 19년 전 | 4097 | ||
| 429 | 19년 전 | 3295 | ||
| 428 | 19년 전 | 4131 | ||
| 427 | 19년 전 | 3466 | ||
| 426 | 19년 전 | 3100 | ||
| 425 | 19년 전 | 3399 | ||
| 424 | 19년 전 | 2438 | ||
| 423 | 19년 전 | 2858 | ||
| 422 | 19년 전 | 2345 | ||
| 421 | 19년 전 | 3704 | ||
| 420 | 19년 전 | 4732 | ||
| 419 | 19년 전 | 3792 | ||
| 418 |
|
19년 전 | 1739 | |
| 417 | 19년 전 | 2743 | ||
| 416 | 19년 전 | 2387 | ||
| 415 | 19년 전 | 2605 | ||
| 414 | 19년 전 | 4406 | ||
| 413 |
|
19년 전 | 2594 | |
| 412 | 19년 전 | 3042 | ||
| 411 |
|
19년 전 | 2990 | |
| 410 |
|
19년 전 | 3679 | |
| 409 |
|
19년 전 | 3631 | |
| 408 |
|
19년 전 | 1852 | |
| 407 | 19년 전 | 2225 | ||
| 406 | 19년 전 | 2780 | ||
| 405 | 19년 전 | 2442 | ||
| 404 | 19년 전 | 4296 | ||
| 403 | 19년 전 | 3300 | ||
| 402 |
NeoGenesis
|
19년 전 | 4088 | |
| 401 | 19년 전 | 2604 | ||
| 400 |
|
19년 전 | 2489 | |
| 399 | 19년 전 | 2952 | ||
| 398 | 19년 전 | 2482 | ||
| 397 | 19년 전 | 2778 | ||
| 396 | 19년 전 | 2470 | ||
| 395 | 19년 전 | 3176 | ||
| 394 | 19년 전 | 1712 | ||
| 393 | 19년 전 | 2988 | ||
| 392 | 19년 전 | 2249 | ||
| 391 | 19년 전 | 2174 | ||
| 390 | 19년 전 | 2283 | ||
| 389 | 19년 전 | 2641 | ||
| 388 | 19년 전 | 2163 | ||
| 387 | 19년 전 | 4481 | ||
| 386 |
|
19년 전 | 2686 | |
| 385 |
|
19년 전 | 2478 | |
| 384 | 19년 전 | 3005 | ||
| 383 | 19년 전 | 3047 | ||
| 382 | 19년 전 | 3101 | ||
| 381 |
|
19년 전 | 2628 | |
| 380 |
|
19년 전 | 3013 | |
| 379 | 19년 전 | 2545 | ||
| 378 | 19년 전 | 2203 | ||
| 377 | 19년 전 | 2775 | ||
| 376 | 19년 전 | 2466 | ||
| 375 |
|
19년 전 | 2554 | |
| 374 | 19년 전 | 3814 | ||
| 373 | 19년 전 | 3263 | ||
| 372 | 19년 전 | 4984 | ||
| 371 |
세은아빠2
|
19년 전 | 2411 | |
| 370 | 19년 전 | 4495 | ||
| 369 | 19년 전 | 3108 | ||
| 368 | 19년 전 | 2895 | ||
| 367 | 19년 전 | 3721 | ||
| 366 | 19년 전 | 2645 | ||
| 365 | 19년 전 | 3732 | ||
| 364 | 19년 전 | 4009 | ||
| 363 | 19년 전 | 3434 | ||
| 362 | 19년 전 | 3474 | ||
| 361 | 19년 전 | 4103 | ||
| 360 |
hwatta
|
19년 전 | 2357 | |
| 359 | 19년 전 | 5098 | ||
| 358 | 19년 전 | 3653 | ||
| 357 | 19년 전 | 2593 | ||
| 356 |
sdesign1s
|
19년 전 | 2274 | |
| 355 | 20년 전 | 2744 | ||
| 354 | 20년 전 | 3026 | ||
| 353 | 20년 전 | 2786 | ||
| 352 |
|
20년 전 | 5768 | |
| 351 |
|
20년 전 | 2699 | |
| 350 |
|
20년 전 | 4287 | |
| 349 |
hwatta
|
20년 전 | 2179 | |
| 348 | 20년 전 | 7306 | ||
| 347 | 20년 전 | 2412 | ||
| 346 | 20년 전 | 3498 | ||
| 345 | 20년 전 | 4304 | ||
| 344 | 20년 전 | 2640 | ||
| 343 | 20년 전 | 3918 | ||
| 342 | 20년 전 | 3063 | ||
| 341 | 20년 전 | 4082 | ||
| 340 |
|
20년 전 | 5133 | |
| 339 |
|
20년 전 | 4231 | |
| 338 | 20년 전 | 5865 | ||
| 337 | 20년 전 | 2039 | ||
| 336 |
|
20년 전 | 3314 | |
| 335 |
|
20년 전 | 3536 | |
| 334 |
|
20년 전 | 2917 | |
| 333 |
hwatta
|
20년 전 | 2428 | |
| 332 | 20년 전 | 4652 | ||
| 331 | 20년 전 | 2267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