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rsync 백업

백업 서버가 별도로 있는 경우
rsync 와 cron 을 이용해
주기적으로 백업을 할 수 있습니다.

--------------------------------------------------------------------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백업을 받을때 rsync 로 받는 방법과
NFS 로 원본 디스크를 마운트 해 놓고 카피 하는 방법 두가지 중에
NFS 가 속도도 빠르고 서버에 부하도 적게 걸리는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다만 NFS 가 보안상 좋지가 않아 .. 조금 찝찝하다고 하는데
아직까지 제가 해 본 바로는 문제는 없었습니다.
---------------------------------------------------------------------


rsync 홈페이지 - http://rsync.samba.org/


Redhat 7.3 에는 기본적으로 rsync 가 설치 됩니다.
( 생각해 보니 이 말도 좀 어패가 있군요. 설치할때 선택 안하면 안깔릴 수도 있는데 ..
여하간.. 기본적인 설치가 되어 있다는 전제 하에 설명 드립니다. )

또한

원본서버 : 123.123.123.1
백업서버 : 123.123.123.2

라고 가정하고 .. 1번 서버에 있는 파일들을 2번 서버에 주기적으로 백업하는
작업을 구성해 보겠습니다.


설치 확인

[root@myserver]# rpm -qa|grep rsync
rsync-2.5.4-2


우선 원본서버 ( 123.123.123.1 ) 에 /etc/rsyncd.conf 파일을 생성합니다.

------------------ /etc/rsyncd.conf -------------------
[origin]
path = /home/www
comment = webserver1
uid = nobody
gid = nobody
use chroot = yes
read only = yes
hosts allow = 123.123.123.2
max connections = 3
timeout 600
--------------------------------------------------------

맨 위에 [origin] 은 2번 서버 세팅시 필요한 부분입니다.
path 는 백업을 받을 디렉토리를 설정 하는 부분입니다.
hosts allow 는 rsync 접속을 허용할 IP 입니다.


그리고 나서 /etc/xinetd.d/rsync 파일을 편집합니다.

----------------- /etc/xinetd.d/rsync ------------------------------------
# default: off
# description: The rsync server is a good addition to am ftp server, as it \
# allows crc checksumming etc.
service rsync
{
disable = no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bin/rsync
server_args = --daemon
log_on_failure += USERID
-------------------------------------------------------------------------

disable 을 no 로 설정 해 주면 데몬 사용 허가로 설정 됩니다.

이제 rsync 데몬을 실행 합니다.

[root@myserver]# /etc/rc.d/init.d/xinetd reload
Reloading configuration: [ OK ]


rsync 데몬이 정상적으로 떠 있는지 확인 해 봅니다.
rsync 데몬은 873 포트를 이용하니


[root@myserver]# telnet localhost 873
Trying 127.0.0.1...
Connected to localhost.
Escape character is '^]'.
@RSYNCD: 26


rsync 데몬이 정상 반응 하는것을 확인 했습니다.


이제 백업 서버 ( 123.123.123.2 ) 서버에서 cron 설정을 해 주면 됩니다.

일주일에 두번 백업을 하는것을 세팅 해 봅니다. ( 일요일, 목요일 )


백업 디렉토리를 만들고 , 그 하위에 두개의 디렉토리를 다시 생성합니다.


[root@myserver]# mkdir /backup
[root@myserver]# cd /backup
[root@myserver]# mkdir back1
[root@myserver]# mkdir back2


위의 설정은 일요일에는 back1 에 백업을 받고
목요일에는 back2 에 백업을 받도록 하기 위한것입니다.


백업 스크립트를 저장할 공간을 /etc 아래에 생성합니다.

[root@myserver]# cd /etc
[root@myserver]# mkdir backup


일요일 백업 스크립트를 작성합니다.

----------------- /etc/backup/sun.sh -----------------------

#!/bin/sh
rm -rf /backup/back1/*
rsync -avz 123.123.123.1::origin /backup/back1

--------------------------------------------------------------

목요일 백업 스크립트도 작성합니다.

----------------- /etc/backup/thu.sh -----------------------

#!/bin/sh
rm -rf /backup/back2/*
rsync -avz 123.123.123.1::origin /backup/back2

--------------------------------------------------------------

스크립트가 실행 가능하도록 퍼미션을 조정해 줍니다.

[root@myserver]# ; chmod 777 /etc/backup/*.sh


rsync 명령에서 아이피 뒤에 " ::origin " 이 부분은
123.123.123.1 번 서버의 /etc/rsyncd.conf 파일에서 [] 안에
있는 단어입니다.

:: <- 두개입니다. 주의 하세요


백업 스크립트는 .. 보시다시피
기존의 백업 내용을 삭제 하고
새로 받아오는 내용입니다.

이렇게 하면 월요일날 백업 받는 도중에 문제가 발생하더래도
목요일것으로 복구 하면 되고 .. 이런 방식이죠.

데이터가 중요하면 매일 백업을 받도록 세팅 하실 수도 있겠죠 ?
디렉토리를 7개 만들어서 매일 백업 받도록 하면 되겠죠.


주기적인 백업을 위해 cron 설정을 합니다.
crontab 파일을 편집해서 아래의 내용을 추가합니다.


---------------- /etc/crontab -------------------------

SHELL=/bin/bash
PATH=/sbin:/bin:/usr/sbin:/usr/bin
MAILTO=dream@praise.co.kr
HOME=/

00 4 * * 0 root /etc/backup/sun.sh
00 4 * * 4 root /etc/backup/thu.sh

-------------------------------------------------------

일요일 (다섯번째 항목의 0) 과 목요일 (4)
새벽 4시 정각 ( 첫번째 항목 (분) 두번째 항목 (시) ) 에
sun.sh 와 thu.sh 를 실행하는 명령입니다.

mail to 항목에 자신의 email 을 넣어서
cron 데몬이 실행될때 자신에게 메일이 오도록 하는게 좋겠죠.

cron 데몬을 재시작합니다.

[root@myserver]# /etc/rc.d/init.d/crond restart
Stopping crond: [ OK ]
Starting crond: [ OK ]


이제 주기적으로 rsync 로 백업하는 설정을 마쳤습니다.

잘 되는지 안되는지는.. 일요일 새벽까지 기다려 봐야겠네요 .. ㅋㅋ


------------------------------------------------------------------
진우네집 http://www.praise.co.kr<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8050
8048
19969
19968
19967
19966
19965
19964
19963
19962
19961
28345
31017
19960
19959
19958
19957
8039
8035
8029
28344
28339
8019
28338
8017
8010
8007
8004
8003
28332
28322
7999
28317
20956
7992
20945
28314
20936
20931
7986
20925
7982
7979
7978
7975
28307
7973
7966
28305
7963
28300
7961
28297
28295
7959
19948
19947
28292
31016
19946
19945
28286
7958
7956
7952
7946
28285
28283
19943
7944
7936
7931
28279
24666
24663
7928
7923
19941
28274
28257
28249
28248
7914
7912
7911
20912
7908
31755
28233
28232
28228
7903
28217
20900
24662
20891
20882
19936
20853
3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