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ntab 사용하기 (정기 작업)
]#crontab -l <-- 크론의 설정내용을 출력함
]#crontab -e <-- 설정 내용을 수정함
]#crontab -r <--설정 내용을 삭제함
-----------------------------------------------------------------------------
cron은 일정관리 명령어로서 일정관리 파일(crontab)에 따라 주기적인 명령을
수행한다. 이 일정관리 파일에는 명령이 수행될 시간, 수행할 로그인명 등이
포함된다. 시스템에 따라서 /usr/lib/crontab이나 /etc/crontab파일이 있으며
crontab디렉토리가 따로 존재할 수도 있다.
crontab은 7개의 필드로 구성되는데 6번째 필드는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
| 분 | 시간 | 날짜 | 달 | 요일 | 사용자 | 명령 |
+----------------------------------------------+
상기의 형식에서 사용자필드는 명령이 수행될 사용자명을 지정하고 명령필드는
수행하고자 하는 명령어와 인자를 적어주면 된다. 시간을 나타내는 1~5번째의
필드는 그 시간들을 무시하고자 할때 *로 표시하게 된다. 요일필드의 경우에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를 나타내며 순서대로 1~5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필드에 중복된 내용을 기재하고자 하면 콤마(,)로 구분하면 된다. 연속된 내용을
기록하고자 하면 하이픈(-)을 이용하여 기간을 나타낸다. 또한 슬래쉬(/)를 사용한
내용도 있는데 이는 시간의 경우에 23-7/2라면 23시부터 07시까지 매 2시간마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시간필드에서 */2라면 매 2시간마다라고 해석하면 된다.
0,30 * 1,15 * 1-5 fsck -y
상기의 예에서 보면 매달 1일과 15일날 30분마다 요일에 관계없이 fsck -y명령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위의 예는 있을 수 없는 상황이겠지만 예로 들어본다.)
이러한 방식으로 명령어필드에 여러가지의 내용을 넣을 수 있다.
20 1 * * * root find /tmp -atime +3 -exec rm -f () ';'
매일 새벽 1시 20분에 3일간 접근하지 않은 /tmp내의 파일을 삭제하는 내용
0 4 * * * root find / -xdev -name core +7 -exec rm -f {}';'
매일 새벽 4시 정각에 지난 일주일간 접근하지 않은 core파일들을 삭제한다.
-xdev옵션은 독립형시스템이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수정하는 방법은 리눅스의 경우에는 crontab -e명령으로 에디팅을 할 수 있다.
수정하기 전에 지금 등록된 crontab을 보고자 하면 -l옵션을 사용하고 등록된
내용을 삭제하려면 -d옵션을 사용하면 된다.(-r옵션을 사용하는 유닉스도 있다.)
실행결과는 메일로 알려주게 되므로 자신의 메일을 읽어보면 된다.
crontab을 직접 고칠 수 없는 상황이면 crontab을 -l옵션을 사용하여 새로운
화일명으로 리다이렉션 받아서 편집한 뒤에 crontab filename의 형태로 등록하면
된다.
리눅스의 경우에는 /var/spool/cron/crontabs/에 자신의 계정을 화일명으로
crontab이 존재하고 있다.
이를 수정하여 자신에게 맞추거나 또는 새롭게 생성하
면 되겠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crontab -l <-- 크론의 설정내용을 출력함
]#crontab -e <-- 설정 내용을 수정함
]#crontab -r <--설정 내용을 삭제함
-----------------------------------------------------------------------------
cron은 일정관리 명령어로서 일정관리 파일(crontab)에 따라 주기적인 명령을
수행한다. 이 일정관리 파일에는 명령이 수행될 시간, 수행할 로그인명 등이
포함된다. 시스템에 따라서 /usr/lib/crontab이나 /etc/crontab파일이 있으며
crontab디렉토리가 따로 존재할 수도 있다.
crontab은 7개의 필드로 구성되는데 6번째 필드는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
| 분 | 시간 | 날짜 | 달 | 요일 | 사용자 | 명령 |
+----------------------------------------------+
상기의 형식에서 사용자필드는 명령이 수행될 사용자명을 지정하고 명령필드는
수행하고자 하는 명령어와 인자를 적어주면 된다. 시간을 나타내는 1~5번째의
필드는 그 시간들을 무시하고자 할때 *로 표시하게 된다. 요일필드의 경우에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를 나타내며 순서대로 1~5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필드에 중복된 내용을 기재하고자 하면 콤마(,)로 구분하면 된다. 연속된 내용을
기록하고자 하면 하이픈(-)을 이용하여 기간을 나타낸다. 또한 슬래쉬(/)를 사용한
내용도 있는데 이는 시간의 경우에 23-7/2라면 23시부터 07시까지 매 2시간마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시간필드에서 */2라면 매 2시간마다라고 해석하면 된다.
0,30 * 1,15 * 1-5 fsck -y
상기의 예에서 보면 매달 1일과 15일날 30분마다 요일에 관계없이 fsck -y명령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위의 예는 있을 수 없는 상황이겠지만 예로 들어본다.)
이러한 방식으로 명령어필드에 여러가지의 내용을 넣을 수 있다.
20 1 * * * root find /tmp -atime +3 -exec rm -f () ';'
매일 새벽 1시 20분에 3일간 접근하지 않은 /tmp내의 파일을 삭제하는 내용
0 4 * * * root find / -xdev -name core +7 -exec rm -f {}';'
매일 새벽 4시 정각에 지난 일주일간 접근하지 않은 core파일들을 삭제한다.
-xdev옵션은 독립형시스템이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수정하는 방법은 리눅스의 경우에는 crontab -e명령으로 에디팅을 할 수 있다.
수정하기 전에 지금 등록된 crontab을 보고자 하면 -l옵션을 사용하고 등록된
내용을 삭제하려면 -d옵션을 사용하면 된다.(-r옵션을 사용하는 유닉스도 있다.)
실행결과는 메일로 알려주게 되므로 자신의 메일을 읽어보면 된다.
crontab을 직접 고칠 수 없는 상황이면 crontab을 -l옵션을 사용하여 새로운
화일명으로 리다이렉션 받아서 편집한 뒤에 crontab filename의 형태로 등록하면
된다.
리눅스의 경우에는 /var/spool/cron/crontabs/에 자신의 계정을 화일명으로
crontab이 존재하고 있다.
이를 수정하여 자신에게 맞추거나 또는 새롭게 생성하
면 되겠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게시판 목록
프로그램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8130 | 9년 전 | 524 | ||
| 8129 |
|
9년 전 | 656 | |
| 8128 | 9년 전 | 521 | ||
| 8127 |
|
9년 전 | 577 | |
| 8126 | 9년 전 | 510 | ||
| 8125 | 9년 전 | 773 | ||
| 8124 |
|
9년 전 | 528 | |
| 8123 | 9년 전 | 510 | ||
| 8122 | 9년 전 | 440 | ||
| 8121 | 9년 전 | 547 | ||
| 8120 | 9년 전 | 470 | ||
| 8119 | 9년 전 | 553 | ||
| 8118 |
|
9년 전 | 636 | |
| 8117 |
|
9년 전 | 410 | |
| 8116 |
PASKRAN
|
9년 전 | 472 | |
| 8115 | 9년 전 | 460 | ||
| 8114 |
kiplayer
|
9년 전 | 601 | |
| 8113 | 9년 전 | 455 | ||
| 8112 |
|
9년 전 | 560 | |
| 8111 | 9년 전 | 412 | ||
| 8110 | 9년 전 | 446 | ||
| 8109 | 9년 전 | 379 | ||
| 8108 |
|
9년 전 | 547 | |
| 8107 |
|
9년 전 | 443 | |
| 8106 |
|
9년 전 | 445 | |
| 8105 | 9년 전 | 479 | ||
| 8104 |
|
9년 전 | 439 | |
| 8103 |
|
9년 전 | 438 | |
| 8102 |
|
9년 전 | 407 | |
| 8101 |
snshero
|
9년 전 | 793 | |
| 8100 | 9년 전 | 847 | ||
| 8099 | 9년 전 | 818 | ||
| 8098 | 9년 전 | 716 | ||
| 8097 | 9년 전 | 524 | ||
| 8096 | 9년 전 | 719 | ||
| 8095 | 9년 전 | 852 | ||
| 8094 | 9년 전 | 523 | ||
| 8093 | 9년 전 | 807 | ||
| 8092 | 9년 전 | 763 | ||
| 8091 | 9년 전 | 1149 | ||
| 8090 | 9년 전 | 774 | ||
| 8089 | 9년 전 | 980 | ||
| 8088 | 9년 전 | 654 | ||
| 8087 | 9년 전 | 773 | ||
| 8086 | 9년 전 | 526 | ||
| 8085 | 9년 전 | 493 | ||
| 8084 | 9년 전 | 615 | ||
| 8083 | 9년 전 | 582 | ||
| 8082 | 9년 전 | 765 | ||
| 8081 | 9년 전 | 475 | ||
| 8080 | 9년 전 | 574 | ||
| 8079 | 9년 전 | 534 | ||
| 8078 | 9년 전 | 456 | ||
| 8077 | 9년 전 | 536 | ||
| 8076 | 9년 전 | 414 | ||
| 8075 | 9년 전 | 448 | ||
| 8074 | 9년 전 | 406 | ||
| 8073 | 9년 전 | 462 | ||
| 8072 | 9년 전 | 458 | ||
| 8071 |
o1o111
|
9년 전 | 903 | |
| 8070 | 9년 전 | 410 | ||
| 8069 | 9년 전 | 347 | ||
| 8068 | 9년 전 | 599 | ||
| 8067 | 9년 전 | 400 | ||
| 8066 | 9년 전 | 430 | ||
| 8065 | 9년 전 | 391 | ||
| 8064 | 9년 전 | 376 | ||
| 8063 | 9년 전 | 344 | ||
| 8062 | 9년 전 | 313 | ||
| 8061 | 9년 전 | 354 | ||
| 8060 | 9년 전 | 397 | ||
| 8059 | 9년 전 | 335 | ||
| 8058 | 9년 전 | 259 | ||
| 8057 | 9년 전 | 392 | ||
| 8056 | 9년 전 | 315 | ||
| 8055 | 9년 전 | 359 | ||
| 8054 | 9년 전 | 370 | ||
| 8053 | 9년 전 | 418 | ||
| 8052 | 9년 전 | 296 | ||
| 8051 | 9년 전 | 341 | ||
| 8050 | 9년 전 | 398 | ||
| 8049 | 9년 전 | 330 | ||
| 8048 | 9년 전 | 441 | ||
| 8047 | 9년 전 | 370 | ||
| 8046 | 9년 전 | 317 | ||
| 8045 | 9년 전 | 268 | ||
| 8044 | 9년 전 | 352 | ||
| 8043 | 9년 전 | 301 | ||
| 8042 | 9년 전 | 299 | ||
| 8041 | 9년 전 | 362 | ||
| 8040 | 9년 전 | 281 | ||
| 8039 | 9년 전 | 324 | ||
| 8038 | 9년 전 | 274 | ||
| 8037 | 9년 전 | 413 | ||
| 8036 | 9년 전 | 496 | ||
| 8035 | 9년 전 | 440 | ||
| 8034 | 9년 전 | 398 | ||
| 8033 | 9년 전 | 356 | ||
| 8032 | 9년 전 | 451 | ||
| 8031 | 9년 전 | 359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