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ntab 사용하기 (정기 작업)
]#crontab -l <-- 크론의 설정내용을 출력함
]#crontab -e <-- 설정 내용을 수정함
]#crontab -r <--설정 내용을 삭제함
-----------------------------------------------------------------------------
cron은 일정관리 명령어로서 일정관리 파일(crontab)에 따라 주기적인 명령을
수행한다. 이 일정관리 파일에는 명령이 수행될 시간, 수행할 로그인명 등이
포함된다. 시스템에 따라서 /usr/lib/crontab이나 /etc/crontab파일이 있으며
crontab디렉토리가 따로 존재할 수도 있다.
crontab은 7개의 필드로 구성되는데 6번째 필드는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
| 분 | 시간 | 날짜 | 달 | 요일 | 사용자 | 명령 |
+----------------------------------------------+
상기의 형식에서 사용자필드는 명령이 수행될 사용자명을 지정하고 명령필드는
수행하고자 하는 명령어와 인자를 적어주면 된다. 시간을 나타내는 1~5번째의
필드는 그 시간들을 무시하고자 할때 *로 표시하게 된다. 요일필드의 경우에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를 나타내며 순서대로 1~5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필드에 중복된 내용을 기재하고자 하면 콤마(,)로 구분하면 된다. 연속된 내용을
기록하고자 하면 하이픈(-)을 이용하여 기간을 나타낸다. 또한 슬래쉬(/)를 사용한
내용도 있는데 이는 시간의 경우에 23-7/2라면 23시부터 07시까지 매 2시간마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시간필드에서 */2라면 매 2시간마다라고 해석하면 된다.
0,30 * 1,15 * 1-5 fsck -y
상기의 예에서 보면 매달 1일과 15일날 30분마다 요일에 관계없이 fsck -y명령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위의 예는 있을 수 없는 상황이겠지만 예로 들어본다.)
이러한 방식으로 명령어필드에 여러가지의 내용을 넣을 수 있다.
20 1 * * * root find /tmp -atime +3 -exec rm -f () ';'
매일 새벽 1시 20분에 3일간 접근하지 않은 /tmp내의 파일을 삭제하는 내용
0 4 * * * root find / -xdev -name core +7 -exec rm -f {}';'
매일 새벽 4시 정각에 지난 일주일간 접근하지 않은 core파일들을 삭제한다.
-xdev옵션은 독립형시스템이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수정하는 방법은 리눅스의 경우에는 crontab -e명령으로 에디팅을 할 수 있다.
수정하기 전에 지금 등록된 crontab을 보고자 하면 -l옵션을 사용하고 등록된
내용을 삭제하려면 -d옵션을 사용하면 된다.(-r옵션을 사용하는 유닉스도 있다.)
실행결과는 메일로 알려주게 되므로 자신의 메일을 읽어보면 된다.
crontab을 직접 고칠 수 없는 상황이면 crontab을 -l옵션을 사용하여 새로운
화일명으로 리다이렉션 받아서 편집한 뒤에 crontab filename의 형태로 등록하면
된다.
리눅스의 경우에는 /var/spool/cron/crontabs/에 자신의 계정을 화일명으로
crontab이 존재하고 있다.
이를 수정하여 자신에게 맞추거나 또는 새롭게 생성하
면 되겠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crontab -l <-- 크론의 설정내용을 출력함
]#crontab -e <-- 설정 내용을 수정함
]#crontab -r <--설정 내용을 삭제함
-----------------------------------------------------------------------------
cron은 일정관리 명령어로서 일정관리 파일(crontab)에 따라 주기적인 명령을
수행한다. 이 일정관리 파일에는 명령이 수행될 시간, 수행할 로그인명 등이
포함된다. 시스템에 따라서 /usr/lib/crontab이나 /etc/crontab파일이 있으며
crontab디렉토리가 따로 존재할 수도 있다.
crontab은 7개의 필드로 구성되는데 6번째 필드는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
| 분 | 시간 | 날짜 | 달 | 요일 | 사용자 | 명령 |
+----------------------------------------------+
상기의 형식에서 사용자필드는 명령이 수행될 사용자명을 지정하고 명령필드는
수행하고자 하는 명령어와 인자를 적어주면 된다. 시간을 나타내는 1~5번째의
필드는 그 시간들을 무시하고자 할때 *로 표시하게 된다. 요일필드의 경우에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를 나타내며 순서대로 1~5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필드에 중복된 내용을 기재하고자 하면 콤마(,)로 구분하면 된다. 연속된 내용을
기록하고자 하면 하이픈(-)을 이용하여 기간을 나타낸다. 또한 슬래쉬(/)를 사용한
내용도 있는데 이는 시간의 경우에 23-7/2라면 23시부터 07시까지 매 2시간마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시간필드에서 */2라면 매 2시간마다라고 해석하면 된다.
0,30 * 1,15 * 1-5 fsck -y
상기의 예에서 보면 매달 1일과 15일날 30분마다 요일에 관계없이 fsck -y명령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위의 예는 있을 수 없는 상황이겠지만 예로 들어본다.)
이러한 방식으로 명령어필드에 여러가지의 내용을 넣을 수 있다.
20 1 * * * root find /tmp -atime +3 -exec rm -f () ';'
매일 새벽 1시 20분에 3일간 접근하지 않은 /tmp내의 파일을 삭제하는 내용
0 4 * * * root find / -xdev -name core +7 -exec rm -f {}';'
매일 새벽 4시 정각에 지난 일주일간 접근하지 않은 core파일들을 삭제한다.
-xdev옵션은 독립형시스템이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수정하는 방법은 리눅스의 경우에는 crontab -e명령으로 에디팅을 할 수 있다.
수정하기 전에 지금 등록된 crontab을 보고자 하면 -l옵션을 사용하고 등록된
내용을 삭제하려면 -d옵션을 사용하면 된다.(-r옵션을 사용하는 유닉스도 있다.)
실행결과는 메일로 알려주게 되므로 자신의 메일을 읽어보면 된다.
crontab을 직접 고칠 수 없는 상황이면 crontab을 -l옵션을 사용하여 새로운
화일명으로 리다이렉션 받아서 편집한 뒤에 crontab filename의 형태로 등록하면
된다.
리눅스의 경우에는 /var/spool/cron/crontabs/에 자신의 계정을 화일명으로
crontab이 존재하고 있다.
이를 수정하여 자신에게 맞추거나 또는 새롭게 생성하
면 되겠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게시판 목록
프로그램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530 |
|
19년 전 | 1230 | |
| 529 |
|
19년 전 | 1412 | |
| 528 |
|
19년 전 | 1977 | |
| 527 |
사랑과우정
|
19년 전 | 2387 | |
| 526 | 19년 전 | 2869 | ||
| 525 |
|
19년 전 | 2292 | |
| 524 |
|
19년 전 | 1796 | |
| 523 | 19년 전 | 7036 | ||
| 522 |
|
19년 전 | 3727 | |
| 521 | 19년 전 | 2337 | ||
| 520 | 19년 전 | 2371 | ||
| 519 | 19년 전 | 2866 | ||
| 518 |
|
19년 전 | 5779 | |
| 517 |
|
19년 전 | 5551 | |
| 516 |
|
19년 전 | 2257 | |
| 515 |
|
19년 전 | 3294 | |
| 514 | 19년 전 | 2863 | ||
| 513 | 19년 전 | 2216 | ||
| 512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728 | |
| 511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582 | |
| 510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738 | |
| 509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837 | |
| 508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005 | |
| 507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684 | |
| 506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804 | |
| 505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772 | |
| 504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851 | |
| 503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521 | |
| 502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648 | |
| 501 | 19년 전 | 1993 | ||
| 500 | 19년 전 | 3236 | ||
| 499 | 19년 전 | 3264 | ||
| 498 | 19년 전 | 2521 | ||
| 497 | 19년 전 | 2600 | ||
| 496 | 19년 전 | 2439 | ||
| 495 | 19년 전 | 2697 | ||
| 494 | 19년 전 | 2678 | ||
| 493 | 19년 전 | 3176 | ||
| 492 | 19년 전 | 2887 | ||
| 491 | 19년 전 | 5300 | ||
| 490 |
|
19년 전 | 2123 | |
| 489 |
|
19년 전 | 2212 | |
| 488 |
|
19년 전 | 2007 | |
| 487 |
|
19년 전 | 1943 | |
| 486 |
|
19년 전 | 1938 | |
| 485 |
|
19년 전 | 2135 | |
| 484 |
|
19년 전 | 3210 | |
| 483 |
|
19년 전 | 3089 | |
| 482 |
|
19년 전 | 2852 | |
| 481 |
|
19년 전 | 2541 | |
| 480 |
|
19년 전 | 2629 | |
| 479 |
|
19년 전 | 2295 | |
| 478 |
|
19년 전 | 2327 | |
| 477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588 | |
| 476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308 | |
| 475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657 | |
| 474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653 | |
| 473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966 | |
| 472 | 19년 전 | 2731 | ||
| 471 | 19년 전 | 1723 | ||
| 470 | 19년 전 | 1826 | ||
| 469 |
|
19년 전 | 2725 | |
| 468 |
|
19년 전 | 2219 | |
| 467 |
|
19년 전 | 3993 | |
| 466 |
|
19년 전 | 2506 | |
| 465 | 19년 전 | 2376 | ||
| 464 | 19년 전 | 3522 | ||
| 463 |
|
19년 전 | 3100 | |
| 462 |
|
19년 전 | 2239 | |
| 461 |
|
19년 전 | 3032 | |
| 460 |
|
19년 전 | 2240 | |
| 459 |
|
19년 전 | 3095 | |
| 458 |
|
19년 전 | 3525 | |
| 457 |
|
19년 전 | 5211 | |
| 456 |
|
19년 전 | 3131 | |
| 455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3130 | |
| 454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718 | |
| 453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460 | |
| 452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717 | |
| 451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442 | |
| 450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560 | |
| 449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362 | |
| 448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690 | |
| 447 | 19년 전 | 2959 | ||
| 446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3243 | |
| 445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7048 | |
| 444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5166 | |
| 443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423 | |
| 442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5158 | |
| 441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3098 | |
| 440 |
|
19년 전 | 2459 | |
| 439 | 19년 전 | 2153 | ||
| 438 | 19년 전 | 3565 | ||
| 437 |
|
19년 전 | 2869 | |
| 436 |
|
19년 전 | 3247 | |
| 435 |
|
19년 전 | 2885 | |
| 434 | 19년 전 | 3381 | ||
| 433 |
sjsjin
|
19년 전 | 2709 | |
| 432 |
sjsjin
|
19년 전 | 3453 | |
| 431 |
sjsjin
|
19년 전 | 2416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