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ntab 사용하기 (정기 작업)
]#crontab -l <-- 크론의 설정내용을 출력함
]#crontab -e <-- 설정 내용을 수정함
]#crontab -r <--설정 내용을 삭제함
-----------------------------------------------------------------------------
cron은 일정관리 명령어로서 일정관리 파일(crontab)에 따라 주기적인 명령을
수행한다. 이 일정관리 파일에는 명령이 수행될 시간, 수행할 로그인명 등이
포함된다. 시스템에 따라서 /usr/lib/crontab이나 /etc/crontab파일이 있으며
crontab디렉토리가 따로 존재할 수도 있다.
crontab은 7개의 필드로 구성되는데 6번째 필드는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
| 분 | 시간 | 날짜 | 달 | 요일 | 사용자 | 명령 |
+----------------------------------------------+
상기의 형식에서 사용자필드는 명령이 수행될 사용자명을 지정하고 명령필드는
수행하고자 하는 명령어와 인자를 적어주면 된다. 시간을 나타내는 1~5번째의
필드는 그 시간들을 무시하고자 할때 *로 표시하게 된다. 요일필드의 경우에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를 나타내며 순서대로 1~5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필드에 중복된 내용을 기재하고자 하면 콤마(,)로 구분하면 된다. 연속된 내용을
기록하고자 하면 하이픈(-)을 이용하여 기간을 나타낸다. 또한 슬래쉬(/)를 사용한
내용도 있는데 이는 시간의 경우에 23-7/2라면 23시부터 07시까지 매 2시간마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시간필드에서 */2라면 매 2시간마다라고 해석하면 된다.
0,30 * 1,15 * 1-5 fsck -y
상기의 예에서 보면 매달 1일과 15일날 30분마다 요일에 관계없이 fsck -y명령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위의 예는 있을 수 없는 상황이겠지만 예로 들어본다.)
이러한 방식으로 명령어필드에 여러가지의 내용을 넣을 수 있다.
20 1 * * * root find /tmp -atime +3 -exec rm -f () ';'
매일 새벽 1시 20분에 3일간 접근하지 않은 /tmp내의 파일을 삭제하는 내용
0 4 * * * root find / -xdev -name core +7 -exec rm -f {}';'
매일 새벽 4시 정각에 지난 일주일간 접근하지 않은 core파일들을 삭제한다.
-xdev옵션은 독립형시스템이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수정하는 방법은 리눅스의 경우에는 crontab -e명령으로 에디팅을 할 수 있다.
수정하기 전에 지금 등록된 crontab을 보고자 하면 -l옵션을 사용하고 등록된
내용을 삭제하려면 -d옵션을 사용하면 된다.(-r옵션을 사용하는 유닉스도 있다.)
실행결과는 메일로 알려주게 되므로 자신의 메일을 읽어보면 된다.
crontab을 직접 고칠 수 없는 상황이면 crontab을 -l옵션을 사용하여 새로운
화일명으로 리다이렉션 받아서 편집한 뒤에 crontab filename의 형태로 등록하면
된다.
리눅스의 경우에는 /var/spool/cron/crontabs/에 자신의 계정을 화일명으로
crontab이 존재하고 있다.
이를 수정하여 자신에게 맞추거나 또는 새롭게 생성하
면 되겠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crontab -l <-- 크론의 설정내용을 출력함
]#crontab -e <-- 설정 내용을 수정함
]#crontab -r <--설정 내용을 삭제함
-----------------------------------------------------------------------------
cron은 일정관리 명령어로서 일정관리 파일(crontab)에 따라 주기적인 명령을
수행한다. 이 일정관리 파일에는 명령이 수행될 시간, 수행할 로그인명 등이
포함된다. 시스템에 따라서 /usr/lib/crontab이나 /etc/crontab파일이 있으며
crontab디렉토리가 따로 존재할 수도 있다.
crontab은 7개의 필드로 구성되는데 6번째 필드는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
| 분 | 시간 | 날짜 | 달 | 요일 | 사용자 | 명령 |
+----------------------------------------------+
상기의 형식에서 사용자필드는 명령이 수행될 사용자명을 지정하고 명령필드는
수행하고자 하는 명령어와 인자를 적어주면 된다. 시간을 나타내는 1~5번째의
필드는 그 시간들을 무시하고자 할때 *로 표시하게 된다. 요일필드의 경우에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를 나타내며 순서대로 1~5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필드에 중복된 내용을 기재하고자 하면 콤마(,)로 구분하면 된다. 연속된 내용을
기록하고자 하면 하이픈(-)을 이용하여 기간을 나타낸다. 또한 슬래쉬(/)를 사용한
내용도 있는데 이는 시간의 경우에 23-7/2라면 23시부터 07시까지 매 2시간마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시간필드에서 */2라면 매 2시간마다라고 해석하면 된다.
0,30 * 1,15 * 1-5 fsck -y
상기의 예에서 보면 매달 1일과 15일날 30분마다 요일에 관계없이 fsck -y명령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위의 예는 있을 수 없는 상황이겠지만 예로 들어본다.)
이러한 방식으로 명령어필드에 여러가지의 내용을 넣을 수 있다.
20 1 * * * root find /tmp -atime +3 -exec rm -f () ';'
매일 새벽 1시 20분에 3일간 접근하지 않은 /tmp내의 파일을 삭제하는 내용
0 4 * * * root find / -xdev -name core +7 -exec rm -f {}';'
매일 새벽 4시 정각에 지난 일주일간 접근하지 않은 core파일들을 삭제한다.
-xdev옵션은 독립형시스템이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수정하는 방법은 리눅스의 경우에는 crontab -e명령으로 에디팅을 할 수 있다.
수정하기 전에 지금 등록된 crontab을 보고자 하면 -l옵션을 사용하고 등록된
내용을 삭제하려면 -d옵션을 사용하면 된다.(-r옵션을 사용하는 유닉스도 있다.)
실행결과는 메일로 알려주게 되므로 자신의 메일을 읽어보면 된다.
crontab을 직접 고칠 수 없는 상황이면 crontab을 -l옵션을 사용하여 새로운
화일명으로 리다이렉션 받아서 편집한 뒤에 crontab filename의 형태로 등록하면
된다.
리눅스의 경우에는 /var/spool/cron/crontabs/에 자신의 계정을 화일명으로
crontab이 존재하고 있다.
이를 수정하여 자신에게 맞추거나 또는 새롭게 생성하
면 되겠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게시판 목록
프로그램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230 | 20년 전 | 2044 | ||
| 229 | 20년 전 | 3131 | ||
| 228 | 20년 전 | 3322 | ||
| 227 | 20년 전 | 2384 | ||
| 226 | 20년 전 | 5466 | ||
| 225 | 20년 전 | 2512 | ||
| 224 | 20년 전 | 2960 | ||
| 223 | 20년 전 | 4198 | ||
| 222 | 20년 전 | 2598 | ||
| 221 | 20년 전 | 2284 | ||
| 220 | 20년 전 | 3672 | ||
| 219 | 20년 전 | 2065 | ||
| 218 | 20년 전 | 3557 | ||
| 217 | 20년 전 | 2473 | ||
| 216 | 20년 전 | 2901 | ||
| 215 | 20년 전 | 2211 | ||
| 214 | 20년 전 | 3327 | ||
| 213 | 20년 전 | 2909 | ||
| 212 | 20년 전 | 3041 | ||
| 211 | 20년 전 | 2142 | ||
| 210 | 20년 전 | 1886 | ||
| 209 | 20년 전 | 2339 | ||
| 208 | 20년 전 | 1969 | ||
| 207 | 20년 전 | 1670 | ||
| 206 | 20년 전 | 1849 | ||
| 205 | 20년 전 | 3940 | ||
| 204 | 20년 전 | 1672 | ||
| 203 | 20년 전 | 2004 | ||
| 202 | 20년 전 | 2352 | ||
| 201 | 20년 전 | 1818 | ||
| 200 | 20년 전 | 2948 | ||
| 199 | 20년 전 | 2004 | ||
| 198 | 20년 전 | 2081 | ||
| 197 | 20년 전 | 3643 | ||
| 196 | 20년 전 | 2973 | ||
| 195 | 20년 전 | 2087 | ||
| 194 | 20년 전 | 10238 | ||
| 193 | 20년 전 | 2239 | ||
| 192 | 20년 전 | 1588 | ||
| 191 | 20년 전 | 2657 | ||
| 190 | 20년 전 | 2283 | ||
| 189 | 20년 전 | 1676 | ||
| 188 | 20년 전 | 1469 | ||
| 187 | 20년 전 | 1903 | ||
| 186 | 20년 전 | 1701 | ||
| 185 | 20년 전 | 1741 | ||
| 184 | 20년 전 | 2338 | ||
| 183 | 20년 전 | 1544 | ||
| 182 | 20년 전 | 1477 | ||
| 181 | 20년 전 | 1618 | ||
| 180 | 20년 전 | 2713 | ||
| 179 | 20년 전 | 1793 | ||
| 178 | 20년 전 | 1847 | ||
| 177 | 20년 전 | 1973 | ||
| 176 | 20년 전 | 1794 | ||
| 175 | 20년 전 | 1868 | ||
| 174 | 20년 전 | 1691 | ||
| 173 | 20년 전 | 2054 | ||
| 172 | 20년 전 | 1780 | ||
| 171 | 20년 전 | 2551 | ||
| 170 | 20년 전 | 2264 | ||
| 169 | 20년 전 | 2541 | ||
| 168 | 20년 전 | 1469 | ||
| 167 | 20년 전 | 1571 | ||
| 166 | 20년 전 | 2142 | ||
| 165 | 20년 전 | 1612 | ||
| 164 | 20년 전 | 3757 | ||
| 163 | 20년 전 | 2651 | ||
| 162 | 20년 전 | 2070 | ||
| 161 | 20년 전 | 2779 | ||
| 160 | 20년 전 | 1723 | ||
| 159 | 20년 전 | 1598 | ||
| 158 | 20년 전 | 2557 | ||
| 157 | 20년 전 | 1483 | ||
| 156 | 20년 전 | 1723 | ||
| 155 | 20년 전 | 3225 | ||
| 154 | 20년 전 | 1883 | ||
| 153 | 20년 전 | 1615 | ||
| 152 | 20년 전 | 4944 | ||
| 151 | 20년 전 | 4566 | ||
| 150 | 20년 전 | 3506 | ||
| 149 | 20년 전 | 3773 | ||
| 148 | 20년 전 | 7060 | ||
| 147 | 20년 전 | 3545 | ||
| 146 | 20년 전 | 2610 | ||
| 145 | 20년 전 | 2607 | ||
| 144 | 20년 전 | 7164 | ||
| 143 | 20년 전 | 4591 | ||
| 142 | 20년 전 | 1892 | ||
| 141 | 20년 전 | 3247 | ||
| 140 | 20년 전 | 1953 | ||
| 139 | 20년 전 | 1559 | ||
| 138 | 20년 전 | 2290 | ||
| 137 | 20년 전 | 1770 | ||
| 136 | 20년 전 | 1448 | ||
| 135 | 20년 전 | 1782 | ||
| 134 | 20년 전 | 2963 | ||
| 133 | 20년 전 | 2437 | ||
| 132 | 20년 전 | 1703 | ||
| 131 | 20년 전 | 1633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