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ntab 사용하기 (정기 작업)
]#crontab -l <-- 크론의 설정내용을 출력함
]#crontab -e <-- 설정 내용을 수정함
]#crontab -r <--설정 내용을 삭제함
-----------------------------------------------------------------------------
cron은 일정관리 명령어로서 일정관리 파일(crontab)에 따라 주기적인 명령을
수행한다. 이 일정관리 파일에는 명령이 수행될 시간, 수행할 로그인명 등이
포함된다. 시스템에 따라서 /usr/lib/crontab이나 /etc/crontab파일이 있으며
crontab디렉토리가 따로 존재할 수도 있다.
crontab은 7개의 필드로 구성되는데 6번째 필드는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
| 분 | 시간 | 날짜 | 달 | 요일 | 사용자 | 명령 |
+----------------------------------------------+
상기의 형식에서 사용자필드는 명령이 수행될 사용자명을 지정하고 명령필드는
수행하고자 하는 명령어와 인자를 적어주면 된다. 시간을 나타내는 1~5번째의
필드는 그 시간들을 무시하고자 할때 *로 표시하게 된다. 요일필드의 경우에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를 나타내며 순서대로 1~5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필드에 중복된 내용을 기재하고자 하면 콤마(,)로 구분하면 된다. 연속된 내용을
기록하고자 하면 하이픈(-)을 이용하여 기간을 나타낸다. 또한 슬래쉬(/)를 사용한
내용도 있는데 이는 시간의 경우에 23-7/2라면 23시부터 07시까지 매 2시간마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시간필드에서 */2라면 매 2시간마다라고 해석하면 된다.
0,30 * 1,15 * 1-5 fsck -y
상기의 예에서 보면 매달 1일과 15일날 30분마다 요일에 관계없이 fsck -y명령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위의 예는 있을 수 없는 상황이겠지만 예로 들어본다.)
이러한 방식으로 명령어필드에 여러가지의 내용을 넣을 수 있다.
20 1 * * * root find /tmp -atime +3 -exec rm -f () ';'
매일 새벽 1시 20분에 3일간 접근하지 않은 /tmp내의 파일을 삭제하는 내용
0 4 * * * root find / -xdev -name core +7 -exec rm -f {}';'
매일 새벽 4시 정각에 지난 일주일간 접근하지 않은 core파일들을 삭제한다.
-xdev옵션은 독립형시스템이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수정하는 방법은 리눅스의 경우에는 crontab -e명령으로 에디팅을 할 수 있다.
수정하기 전에 지금 등록된 crontab을 보고자 하면 -l옵션을 사용하고 등록된
내용을 삭제하려면 -d옵션을 사용하면 된다.(-r옵션을 사용하는 유닉스도 있다.)
실행결과는 메일로 알려주게 되므로 자신의 메일을 읽어보면 된다.
crontab을 직접 고칠 수 없는 상황이면 crontab을 -l옵션을 사용하여 새로운
화일명으로 리다이렉션 받아서 편집한 뒤에 crontab filename의 형태로 등록하면
된다.
리눅스의 경우에는 /var/spool/cron/crontabs/에 자신의 계정을 화일명으로
crontab이 존재하고 있다.
이를 수정하여 자신에게 맞추거나 또는 새롭게 생성하
면 되겠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crontab -l <-- 크론의 설정내용을 출력함
]#crontab -e <-- 설정 내용을 수정함
]#crontab -r <--설정 내용을 삭제함
-----------------------------------------------------------------------------
cron은 일정관리 명령어로서 일정관리 파일(crontab)에 따라 주기적인 명령을
수행한다. 이 일정관리 파일에는 명령이 수행될 시간, 수행할 로그인명 등이
포함된다. 시스템에 따라서 /usr/lib/crontab이나 /etc/crontab파일이 있으며
crontab디렉토리가 따로 존재할 수도 있다.
crontab은 7개의 필드로 구성되는데 6번째 필드는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
| 분 | 시간 | 날짜 | 달 | 요일 | 사용자 | 명령 |
+----------------------------------------------+
상기의 형식에서 사용자필드는 명령이 수행될 사용자명을 지정하고 명령필드는
수행하고자 하는 명령어와 인자를 적어주면 된다. 시간을 나타내는 1~5번째의
필드는 그 시간들을 무시하고자 할때 *로 표시하게 된다. 요일필드의 경우에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를 나타내며 순서대로 1~5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필드에 중복된 내용을 기재하고자 하면 콤마(,)로 구분하면 된다. 연속된 내용을
기록하고자 하면 하이픈(-)을 이용하여 기간을 나타낸다. 또한 슬래쉬(/)를 사용한
내용도 있는데 이는 시간의 경우에 23-7/2라면 23시부터 07시까지 매 2시간마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시간필드에서 */2라면 매 2시간마다라고 해석하면 된다.
0,30 * 1,15 * 1-5 fsck -y
상기의 예에서 보면 매달 1일과 15일날 30분마다 요일에 관계없이 fsck -y명령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위의 예는 있을 수 없는 상황이겠지만 예로 들어본다.)
이러한 방식으로 명령어필드에 여러가지의 내용을 넣을 수 있다.
20 1 * * * root find /tmp -atime +3 -exec rm -f () ';'
매일 새벽 1시 20분에 3일간 접근하지 않은 /tmp내의 파일을 삭제하는 내용
0 4 * * * root find / -xdev -name core +7 -exec rm -f {}';'
매일 새벽 4시 정각에 지난 일주일간 접근하지 않은 core파일들을 삭제한다.
-xdev옵션은 독립형시스템이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수정하는 방법은 리눅스의 경우에는 crontab -e명령으로 에디팅을 할 수 있다.
수정하기 전에 지금 등록된 crontab을 보고자 하면 -l옵션을 사용하고 등록된
내용을 삭제하려면 -d옵션을 사용하면 된다.(-r옵션을 사용하는 유닉스도 있다.)
실행결과는 메일로 알려주게 되므로 자신의 메일을 읽어보면 된다.
crontab을 직접 고칠 수 없는 상황이면 crontab을 -l옵션을 사용하여 새로운
화일명으로 리다이렉션 받아서 편집한 뒤에 crontab filename의 형태로 등록하면
된다.
리눅스의 경우에는 /var/spool/cron/crontabs/에 자신의 계정을 화일명으로
crontab이 존재하고 있다.
이를 수정하여 자신에게 맞추거나 또는 새롭게 생성하
면 되겠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게시판 목록
프로그램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130 | 20년 전 | 3972 | ||
| 129 | 20년 전 | 2913 | ||
| 128 | 20년 전 | 3648 | ||
| 127 | 20년 전 | 3459 | ||
| 126 | 20년 전 | 3733 | ||
| 125 | 20년 전 | 8564 | ||
| 124 | 20년 전 | 2589 | ||
| 123 | 20년 전 | 3735 | ||
| 122 | 20년 전 | 3194 | ||
| 121 | 20년 전 | 2595 | ||
| 120 | 20년 전 | 2653 | ||
| 119 | 20년 전 | 2568 | ||
| 118 | 20년 전 | 2854 | ||
| 117 |
|
20년 전 | 3040 | |
| 116 | 20년 전 | 5290 | ||
| 115 | 20년 전 | 3900 | ||
| 114 | 20년 전 | 4950 | ||
| 113 | 20년 전 | 6196 | ||
| 112 | 20년 전 | 7317 | ||
| 111 | 20년 전 | 18422 | ||
| 110 | 20년 전 | 6868 | ||
| 109 | 20년 전 | 2868 | ||
| 108 | 20년 전 | 4127 | ||
| 107 |
prosper
|
20년 전 | 2477 | |
| 106 |
prosper
|
20년 전 | 4302 | |
| 105 |
아우겐나이스
|
20년 전 | 2896 | |
| 104 | 20년 전 | 2249 | ||
| 103 | 20년 전 | 2465 | ||
| 102 | 20년 전 | 2227 | ||
| 101 | 20년 전 | 2556 | ||
| 100 | 20년 전 | 1736 | ||
| 99 | 20년 전 | 1558 | ||
| 98 | 20년 전 | 1609 | ||
| 97 | 20년 전 | 2113 | ||
| 96 | 20년 전 | 1863 | ||
| 95 | 20년 전 | 2362 | ||
| 94 | 20년 전 | 3549 | ||
| 93 | 20년 전 | 1547 | ||
| 92 | 20년 전 | 1745 | ||
| 91 | 20년 전 | 3161 | ||
| 90 | 20년 전 | 2334 | ||
| 89 | 20년 전 | 3158 | ||
| 88 | 20년 전 | 2859 | ||
| 87 | 20년 전 | 3284 | ||
| 86 | 20년 전 | 5109 | ||
| 85 | 20년 전 | 2509 | ||
| 84 | 20년 전 | 4812 | ||
| 83 | 20년 전 | 2491 | ||
| 82 | 20년 전 | 3106 | ||
| 81 | 20년 전 | 7610 | ||
| 80 | 20년 전 | 3808 | ||
| 79 | 20년 전 | 3198 | ||
| 78 | 20년 전 | 4680 | ||
| 77 | 20년 전 | 2886 | ||
| 76 | 20년 전 | 6206 | ||
| 75 | 20년 전 | 4462 | ||
| 74 | 20년 전 | 5771 | ||
| 73 | 20년 전 | 3617 | ||
| 72 | 20년 전 | 5956 | ||
| 71 | 20년 전 | 3096 | ||
| 70 | 20년 전 | 2827 | ||
| 69 | 20년 전 | 2623 | ||
| 68 | 20년 전 | 2432 | ||
| 67 | 20년 전 | 2640 | ||
| 66 | 20년 전 | 2659 | ||
| 65 | 20년 전 | 3779 | ||
| 64 | 20년 전 | 2813 | ||
| 63 | 20년 전 | 2445 | ||
| 62 | 20년 전 | 2251 | ||
| 61 | 20년 전 | 3050 | ||
| 60 | 20년 전 | 3122 | ||
| 59 | 20년 전 | 2501 | ||
| 58 | 20년 전 | 2582 | ||
| 57 | 20년 전 | 2955 | ||
| 56 | 20년 전 | 2300 | ||
| 55 | 20년 전 | 2745 | ||
| 54 | 20년 전 | 2112 | ||
| 53 | 20년 전 | 2337 | ||
| 52 | 20년 전 | 2685 | ||
| 51 |
prosper
|
20년 전 | 2336 | |
| 50 |
prosper
|
20년 전 | 2155 | |
| 49 | 20년 전 | 2163 | ||
| 48 | 20년 전 | 2317 | ||
| 47 | 20년 전 | 1917 | ||
| 46 | 20년 전 | 1917 | ||
| 45 | 20년 전 | 2124 | ||
| 44 | 20년 전 | 2350 | ||
| 43 | 21년 전 | 4564 | ||
| 42 |
prosper
|
21년 전 | 2702 | |
| 41 |
prosper
|
21년 전 | 2104 | |
| 40 | 21년 전 | 2169 | ||
| 39 | 21년 전 | 2135 | ||
| 38 | 21년 전 | 2402 | ||
| 37 | 21년 전 | 2551 | ||
| 36 | 21년 전 | 1766 | ||
| 35 | 21년 전 | 4062 | ||
| 34 | 21년 전 | 3839 | ||
| 33 | 21년 전 | 2981 | ||
| 32 |
prosper
|
21년 전 | 2889 | |
| 31 | 21년 전 | 526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