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log/sa
sa01 sa02 ............
--------------------------------------------------------------------------
파일보기 sar [엔터]
--------------------------------------------------------------------------
/etc/cron.d
sysstat <-- 실행됨
-----------------------------------------------------------------------------
sysstat 웹 사이트 (http://perso.wanadoo.fr/sebastien.godard/)
sar는 redhat 7.x 에 기본 들어있는 sysstat 패키지에 있는 프로그램이다. sar 프로그램은 시스템의 다양한 활동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데 모니터링 대상이 상당히 넓은 편이다. 기본값은 CPU 활동에 대한 통계를 출력한다. sar는 각종 활동에 대한 통계를 다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파일로 저장하고 통계치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sar에서 모니터링 가능한 항목은 다음과 같다
- I/O 전송량
- 페이징
- 프로세스 생성 숫자
- 블락 디바이스 활동
- 인터럽트
- 네트워크 통계
- run 큐 및 시스템 부하 평균
- 메모리와 스왑 공간 활용 통계
- 메모리 통계
- CPU 이용도
- 특정 프로세스에 대한 CPU 이용도
- inode, 파일, 기타 커널 테이블에 대한 상태
- 시스템 스위칭 활동(context switch)
- 스와핑 통계
- 특정 프로세스 통계
- 특정 프로세스의 자식 프로세스 통계
- TTY 디바이스 활동
sar 설정하기
# cat /etc/cron.d/sysstat
# run system activity accounting tool every 10 minutes
*/10 * * * * root /usr/lib/sa/sa1 1 1
# generate a daily summary of process accounting at 23:53
53 23 * * * root /usr/lib/sa/sa2 -A
sa1 는 매10분마다 시스템모니터링한 결과를 /var/log/sa/saxx 파일에 바이너리 형태로 기록한다. xx는 기록하는 날짜이다. sa2 -A 는 23시 53분에 바이너리 파일을 읽어서 사람이 편하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를 만든다. /var/log/sa/sarxx 형태로 기록된다. sa1 에서 5 3 이라고 해놓으면 매 10분마다 실행을 하면서 5초동안 3번을 기록한다는 뜻이다. 그러면 매10분마다 15번의 기록이 남는다. sa2 에서 -A는 모든 데이터를 보는 것인데 실제로는 자신에게 필요한 내용만 옵션을 이용하여 뽑아서 보는 것이 편할 것이다
man 페이지의 예를 참고하면 된다.
# 8am-7pm activity reports every 10 minutes during weekdays.
0 8-18 * * 1-5 /usr/lib/sa/sa1 600 6 &
# 7pm-8am activity reports every an hour during weekdays.
0 19-7 * * 1-5 /usr/lib/sa/sa1 &
# Activity reports every an hour on Saturday and Sunday.
0 * * * 0,6 /usr/lib/sa/sa1 &
# Daily summary prepared at 19:05
5 19 * * * /usr/lib/sa/sa2 -A &
서비스에 따라 다르겠지만 sa2 에서 자세히 보아야 할 부분들은 다음과 같다. -r 메모리 및 스왑 스페이스 사용현황, -u CPU 활용량, -W 스와핑 상황. -q load average
# sar -ruW -f sa27 3600 -> 메모리, cpu, 스왑 레포트를 sa27에서 만들며 3600초(1시간) 기준으로 만든다.
# sar -r -f sa25 1800 -s 08:00:00 -e 19:00:00 -> 오전 8시부터 저녁 19시가지 30분간격으로 메모리 모니터링
suse : sar -r -f sa.2003_08_20 1800 | awk 'NF > 0' | grep -vi linux | grep -v memfree | grep -vi average | awk '{printf " used-buffer-cache : %d MB 2003-09-03tmem usage : %d % 2003-09-03tswap usage : %d %
",$3-$6-$7,($3-$6-$7)/10485580*100, $10}'
redhat : memory 1G - sar -r -f /var/log/sa/sa24 -s 15:00:00 -e 17:00:00 | awk 'NF > 0' | grep -vi linux | grep -v memfree | grep -vi average | awk '{printf "%s 2003-10-01 used-buffer-cache : %d MB 2003-10-01tmem usage : %d % 2003-10-01tswap usage : %d %
",$1, $4-$7-$8,($4-$7-$8)/1030532*100, $11}'
sar -r -f /var/log/sa/sa24 -s 15:00:00 -e 17:00:00 | awk 'NF > 0' | grep -vi linux | grep -v memfree | grep -vi average | awk '{printf "%s used-buffer-cache : %d MB 2003-12-012003-12-01 mem usage : %d % 2003-12-01 swap usage : %d %
",$1, $4-$7-$8,($4-$7-$8)/1030532*100, $11}'
redhat 과 suse 의 sar 출력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건 각자 출력을 보고 알아서 조정하면 될 것이다.
시스템상에서 실제 사용하는 메모리는 used-buffer-cache 임. 이에 대한 전체 사용량을 출력하고 스왑 메모리가 사용되는지 확인함
원본:http://tunelinux.pe.kr/wikix/index.php?8,display=Sar<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sa01 sa02 ............
--------------------------------------------------------------------------
파일보기 sar [엔터]
--------------------------------------------------------------------------
/etc/cron.d
sysstat <-- 실행됨
-----------------------------------------------------------------------------
sysstat 웹 사이트 (http://perso.wanadoo.fr/sebastien.godard/)
sar는 redhat 7.x 에 기본 들어있는 sysstat 패키지에 있는 프로그램이다. sar 프로그램은 시스템의 다양한 활동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데 모니터링 대상이 상당히 넓은 편이다. 기본값은 CPU 활동에 대한 통계를 출력한다. sar는 각종 활동에 대한 통계를 다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파일로 저장하고 통계치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sar에서 모니터링 가능한 항목은 다음과 같다
- I/O 전송량
- 페이징
- 프로세스 생성 숫자
- 블락 디바이스 활동
- 인터럽트
- 네트워크 통계
- run 큐 및 시스템 부하 평균
- 메모리와 스왑 공간 활용 통계
- 메모리 통계
- CPU 이용도
- 특정 프로세스에 대한 CPU 이용도
- inode, 파일, 기타 커널 테이블에 대한 상태
- 시스템 스위칭 활동(context switch)
- 스와핑 통계
- 특정 프로세스 통계
- 특정 프로세스의 자식 프로세스 통계
- TTY 디바이스 활동
sar 설정하기
# cat /etc/cron.d/sysstat
# run system activity accounting tool every 10 minutes
*/10 * * * * root /usr/lib/sa/sa1 1 1
# generate a daily summary of process accounting at 23:53
53 23 * * * root /usr/lib/sa/sa2 -A
sa1 는 매10분마다 시스템모니터링한 결과를 /var/log/sa/saxx 파일에 바이너리 형태로 기록한다. xx는 기록하는 날짜이다. sa2 -A 는 23시 53분에 바이너리 파일을 읽어서 사람이 편하게 볼 수 있도록 보고서를 만든다. /var/log/sa/sarxx 형태로 기록된다. sa1 에서 5 3 이라고 해놓으면 매 10분마다 실행을 하면서 5초동안 3번을 기록한다는 뜻이다. 그러면 매10분마다 15번의 기록이 남는다. sa2 에서 -A는 모든 데이터를 보는 것인데 실제로는 자신에게 필요한 내용만 옵션을 이용하여 뽑아서 보는 것이 편할 것이다
man 페이지의 예를 참고하면 된다.
# 8am-7pm activity reports every 10 minutes during weekdays.
0 8-18 * * 1-5 /usr/lib/sa/sa1 600 6 &
# 7pm-8am activity reports every an hour during weekdays.
0 19-7 * * 1-5 /usr/lib/sa/sa1 &
# Activity reports every an hour on Saturday and Sunday.
0 * * * 0,6 /usr/lib/sa/sa1 &
# Daily summary prepared at 19:05
5 19 * * * /usr/lib/sa/sa2 -A &
서비스에 따라 다르겠지만 sa2 에서 자세히 보아야 할 부분들은 다음과 같다. -r 메모리 및 스왑 스페이스 사용현황, -u CPU 활용량, -W 스와핑 상황. -q load average
# sar -ruW -f sa27 3600 -> 메모리, cpu, 스왑 레포트를 sa27에서 만들며 3600초(1시간) 기준으로 만든다.
# sar -r -f sa25 1800 -s 08:00:00 -e 19:00:00 -> 오전 8시부터 저녁 19시가지 30분간격으로 메모리 모니터링
suse : sar -r -f sa.2003_08_20 1800 | awk 'NF > 0' | grep -vi linux | grep -v memfree | grep -vi average | awk '{printf " used-buffer-cache : %d MB 2003-09-03tmem usage : %d % 2003-09-03tswap usage : %d %
",$3-$6-$7,($3-$6-$7)/10485580*100, $10}'
redhat : memory 1G - sar -r -f /var/log/sa/sa24 -s 15:00:00 -e 17:00:00 | awk 'NF > 0' | grep -vi linux | grep -v memfree | grep -vi average | awk '{printf "%s 2003-10-01 used-buffer-cache : %d MB 2003-10-01tmem usage : %d % 2003-10-01tswap usage : %d %
",$1, $4-$7-$8,($4-$7-$8)/1030532*100, $11}'
sar -r -f /var/log/sa/sa24 -s 15:00:00 -e 17:00:00 | awk 'NF > 0' | grep -vi linux | grep -v memfree | grep -vi average | awk '{printf "%s used-buffer-cache : %d MB 2003-12-012003-12-01 mem usage : %d % 2003-12-01 swap usage : %d %
",$1, $4-$7-$8,($4-$7-$8)/1030532*100, $11}'
redhat 과 suse 의 sar 출력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건 각자 출력을 보고 알아서 조정하면 될 것이다.
시스템상에서 실제 사용하는 메모리는 used-buffer-cache 임. 이에 대한 전체 사용량을 출력하고 스왑 메모리가 사용되는지 확인함
원본:http://tunelinux.pe.kr/wikix/index.php?8,display=Sar<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게시판 목록
프로그램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530 |
|
19년 전 | 1223 | |
| 529 |
|
19년 전 | 1404 | |
| 528 |
|
19년 전 | 1971 | |
| 527 |
사랑과우정
|
19년 전 | 2384 | |
| 526 | 19년 전 | 2868 | ||
| 525 |
|
19년 전 | 2289 | |
| 524 |
|
19년 전 | 1793 | |
| 523 | 19년 전 | 7029 | ||
| 522 |
|
19년 전 | 3722 | |
| 521 | 19년 전 | 2327 | ||
| 520 | 19년 전 | 2362 | ||
| 519 | 19년 전 | 2856 | ||
| 518 |
|
19년 전 | 5770 | |
| 517 |
|
19년 전 | 5544 | |
| 516 |
|
19년 전 | 2248 | |
| 515 |
|
19년 전 | 3287 | |
| 514 | 19년 전 | 2855 | ||
| 513 | 19년 전 | 2211 | ||
| 512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723 | |
| 511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578 | |
| 510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735 | |
| 509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828 | |
| 508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000 | |
| 507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679 | |
| 506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800 | |
| 505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767 | |
| 504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844 | |
| 503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518 | |
| 502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639 | |
| 501 | 19년 전 | 1982 | ||
| 500 | 19년 전 | 3234 | ||
| 499 | 19년 전 | 3258 | ||
| 498 | 19년 전 | 2514 | ||
| 497 | 19년 전 | 2598 | ||
| 496 | 19년 전 | 2434 | ||
| 495 | 19년 전 | 2695 | ||
| 494 | 19년 전 | 2674 | ||
| 493 | 19년 전 | 3165 | ||
| 492 | 19년 전 | 2876 | ||
| 491 | 19년 전 | 5291 | ||
| 490 |
|
19년 전 | 2116 | |
| 489 |
|
19년 전 | 2200 | |
| 488 |
|
19년 전 | 2001 | |
| 487 |
|
19년 전 | 1934 | |
| 486 |
|
19년 전 | 1933 | |
| 485 |
|
19년 전 | 2127 | |
| 484 |
|
19년 전 | 3200 | |
| 483 |
|
19년 전 | 3081 | |
| 482 |
|
19년 전 | 2842 | |
| 481 |
|
19년 전 | 2534 | |
| 480 |
|
19년 전 | 2624 | |
| 479 |
|
19년 전 | 2290 | |
| 478 |
|
19년 전 | 2322 | |
| 477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1581 | |
| 476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304 | |
| 475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655 | |
| 474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650 | |
| 473 |
개발자관리자
|
19년 전 | 2960 | |
| 472 | 19년 전 | 2729 | ||
| 471 | 19년 전 | 1715 | ||
| 470 | 19년 전 | 1815 | ||
| 469 |
|
19년 전 | 2715 | |
| 468 |
|
19년 전 | 2214 | |
| 467 |
|
19년 전 | 3987 | |
| 466 |
|
19년 전 | 2495 | |
| 465 | 19년 전 | 2369 | ||
| 464 | 19년 전 | 3514 | ||
| 463 |
|
19년 전 | 3096 | |
| 462 |
|
19년 전 | 2235 | |
| 461 |
|
19년 전 | 3027 | |
| 460 |
|
19년 전 | 2235 | |
| 459 |
|
19년 전 | 3092 | |
| 458 |
|
19년 전 | 3512 | |
| 457 |
|
19년 전 | 5207 | |
| 456 |
|
19년 전 | 3123 | |
| 455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3124 | |
| 454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711 | |
| 453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453 | |
| 452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709 | |
| 451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433 | |
| 450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554 | |
| 449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353 | |
| 448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688 | |
| 447 | 19년 전 | 2955 | ||
| 446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3239 | |
| 445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7041 | |
| 444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5164 | |
| 443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2416 | |
| 442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5149 | |
| 441 |
스마일미디어
|
19년 전 | 3093 | |
| 440 |
|
19년 전 | 2447 | |
| 439 | 19년 전 | 2141 | ||
| 438 | 19년 전 | 3563 | ||
| 437 |
|
19년 전 | 2866 | |
| 436 |
|
19년 전 | 3244 | |
| 435 |
|
19년 전 | 2878 | |
| 434 | 19년 전 | 3374 | ||
| 433 |
sjsjin
|
19년 전 | 2704 | |
| 432 |
sjsjin
|
19년 전 | 3450 | |
| 431 |
sjsjin
|
19년 전 | 241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