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etc 디렉토리 아래의 파일들

· 20년 전 · 3661 · 2
CORBA/==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 Architecture)에 파일을 저장한다
DIR_COLORS==컬러-ls 명령어 표시색의 설정파일
HOSTNAME==FQDN(Fulley Quallified Domain Name)형식으로 호스트명으로 쓰여있는 파일
Muttrc==메일소프트웨어 Mutt의 설정파일
TextConfig==콘솔 화면의 해상도,커서모양,폰트정보
X11==X Window System 설정파일군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adjtime==시각을 설정하는 hwclock의 파라미터 파일
aliases==메일의 앨라이어스 설정파일
aliases.db==메일의 앨라이어스 데이터베이스 파일
amd.conf,amd.net==amd 데몬의 설정 파일
anacrontab==24시간 가동하지 않는 시스템을 위한 cron
at.deny==at 명령어 이용을 금지하는 유저를 기술하는 파일
auto.master==automount 데몬의 설정 파일
auto.misc==automount데몬이 이용하는 맵 파일
bashrc==bash 기동시에 실행되는 설정 파일(~/.bashrc)의 템플릿
cdrecord.conf==cdrecord 명령어의 설정 파일
charsets/==Mutt 캐릭터세터 정의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codepages/==삼바에서 이용하는 codepage 정보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conf.linuxconf==linuxconf의 모듈을 기술한 파일
conf.modules==modeprobe가 이용하는 로더블 모듈 설정 파일(테보리눅스는 modules.conf)
cron.d/==crontable 명령어의설정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cron.daily/==하루에 1회 자동 실행시키고 싶은 스크립트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cron.hourly/==1시간에 1회 자동 실행시키고 싶은 스크립트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cron.monthly/==1개월에 1회 자동 실행시키고 싶은 스크립트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cron.weekly/==1주일에 1회 자동 실행시키고 싶은 스크립트를 저장하는 대렉토리
crontab==crontab명령어의 설정 파일
csh.cshrc==C 쉘 기동시에 실행되는 설정 파일(~/.cshrc)의 디렉토리
csh.login==C 쉘이 로그인시에 시랳하는 설정파일(~/.login)의 디렉토리
default/==신규유저용 디폴트 설정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dhcpc/==DHCP 클라이언트 데몬 dhcpcd가 네트웍 정보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dumpdates==dump명령어로 디스크의 백업을 한 일시와 시각등이 기록된다
enscript.cfg==텍스트 파일을 PostScript로 변환하는 enscript 의 설정 파일
esd.conf==Enlightened Sound Daemon 설정 파일
exports==nfs(Network File System)서버의 설정파일
fb.modes==프레임버퍼 디바이스의 데이타베이스파일(레드햇 리눅스만)
fdprm==플로피 디스크의 패러미터 파일
filesystems==이용할수 있는 파일 시스템의 리스트가 기술된 파일
fnrc==폰터렌더링 라이브러리 fnlib의 설정 파일
fstab==파일 시스템과 마운트 포인터를 기술하는 파일
ftpaccess==ftp서버의 설정 파일
ftpconversions==ftp서버에서 압축/아카이브 전송시의 명령어와 확장자의 설정파일
ftpgroups==ftp서버의 설정 파일
ftphosts==ftp서버에 액세스를 허가/금지하는 호스트를 설정하는 파일
ftpusers==ftp 액세스를 금지하는 유저를 설정하는 파일
gated.conf.sample==동적경로 설정 데몬 gated의 설정 파일 견본
gettydefs==getty가 이용되는 시리얼의 설정 일람
gnome/==GTK+의 국제화 대응 캐릭터 세트 정의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gpm-root.conf==컷&페이스트와 마우스서버(gpm)의 디폴터핸들러의설정파일
group==유저그룹을 정의한 파일
group-==그룹파일의 백업
gshadow==암호화된 그룹 패스워드를 기술한 파일
gshadow-==gshadow의 백업
gtk/==The Gimp Toolkit(GTK+)의 국제화 대응 캐릭터세트 정의 파일을 저장하는 데렉토리
host.conf==name resolve 에 사용되는 방법.우선순위의 설정파일(libc5)
hosts==로컬에서 이름을 해결하기 위한 호스트명,IP 어드레스 정의 파일
hosts.allow==inetd 경유에서 기동된 서버의 액세스 제어 파일,접속 허용 호스트를 기록
hosts.deny==inetd 경유에서 기동ㄷ횐 서버의 액세스 제어파일,접속 불허 호스트를 기록
httpd/==웹서버 Apache의 설정파일 등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identd.conf==개인 인증에 사용되는 identd의 설정 파일
im_palette-small.pal,im_palette-tiny.pal,im_palette.pal,imrc==
화상이미지 묘사 라이브러리 imlib의 파레트 설정 파일
inetd.conf==인터넷 수퍼서버 inetd 설정 파일
info-dir==info명령어가 디폴트로 표시하는 파일
initlog.conf==init가 출력하는 로그인에 관한 설정 파일
inittab==기동시의 런 레벨과 init설정을 기술하는 파일
inputrc==bash등이 이용한느 행입력 컬러 라이브러리의 Readline의 설정 파일
ioctl.save==싱글유저 모드에서 이용하는 콘솔 디바이스 설정(init가 작성한다)
irda/==적외선 통신을 하기위한 irda-utils 패키지의 초기화 스크립트 저장 디렉토리
isapnp.gone==ISA plug&play로 인식할수 없는 리소스를 기술하는 파일
isdn/==ISDN카드 지원 설정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issue==로컬에서 로그인 시 표시하는 메시지
issue.net==리모트에서 로그인 할때 표시하는 메시지
krb5.conf==케로베로스의 설정 파일
ld.so.cache==공유라이브러리를 검색할 떄 이용하는 캐시파일
ld.so.conf==공유라이브러리를 저장하는 디렉토리를 기술하는 파일
ldap.conf==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모듈 nss_ldap 설정 파일
lilo.conf==lilo 설정 파일
linux-terminfo/==사용되고 있는 콘솔에 대한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다
lmhosts==Samba가 NetBios명 해결에 이용하는 호스트명,IP 어드레스 정의 파일
localtime== 머신의 타임존이 쓰여져 있는 바이너리 파일
login.defs==로그인의 설정
logrotate.conf==로그 관리 유틸리티 logrotate의 설정 파일
logrotate.d/==RPM파일에서 인스톨한 데몬을 위한 logrotate설정 파일을 저장한다
ltrace.conf==라이브러리 트레이서의 설정 파일
lvs.cf==레드햇 클러스트링 서비스의 데몬 콘솔 설정 파일
lynx.cfg==텍스트 베이스 웹 브라우저lynx의 설정 파일
mail/==Send mail이 이용한 데이타베이스 파일 등을 저장한다
mail.rc==메일 명령어의 설정 파일
mailcap==metamail 설정 파일
mailcap.vga==metamail 설정 파일(멀티미디어 메일 처리)
man.config==man 명령어의 설정 파일
mc.global==파일 매니저 GNU Midnight Commander의 설정 파일
mesa.conf==OpenGL호환 3D 라이브러리 mesa의 설정 파일
mgetty+sendfax/==mgetty+sendfax 패키지의 설정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midi/==MIDI플레이어의 playmidi 등이 이용한느 음색파일 저장 디렉토리
mime-magic==파일 내용에서 마임 형식을 판단하기 위한 정의 파일
mime-magic.dat==mime-magic에서 만들어진 데이타베이스 파일
mime.types==웹서버 아파치(Apache)가 이용하는 MIME 정의 파일
minicom.users==시리얼통신 프로그램 minicom의 유저 설정 파일
motd==로그인할 때 표시되는 메시지를 기술하는 파일
mtab==마운트 되어있는 파일 시스템의 일람이 쓰여져 있는 파일
mtftpd.conf==리모트 부트 데몬 pxe에서 이용하는 MTFTP서버의 설정 파일
mtools.conf==도스의 패키지를 읽고 쓰는 툴 패키지의 mtools의 설정 파일
named.boot==DNS서버 BIND4의 설정 파일
named.conf==DNS server BIND8의설정 파일
news/==net news server inn의 설정 파일을 저장한다
nmh/==MH를 베이스로 한 메일 툴 패키지 mtools의 설정 파일
nscd.conf==네임서비스 참조개시 데몬 nscd의 설정 파일
nsswitch.conf==시스템데이타베이스와 네임서비스 스위치 설정 파일
ntp/==Network Time Protocol서버 xntp3 패키지가 데이타를 저장
ntp.conf==Network Time Protocol서버 xntpd의 설정 파일
newserv.conf==mars(Netware 에뮬레이터) 설정 파일
newserv.stations==mars용 네트웨어 설정 파일을 저장한다
openldap/==OpenLDAP(Light 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설정 파일 등을 저장
pam.d/==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의 설정 파일을 저장한다
paper.config==용지 크기의 정의 파일
passwd==모든 유저의 유저명,유저id,그룹id등이 기술되어 있는 파일
passwd-==passwd의 백업
pbm2ppa.conf==portable bitmap 이미지 파일을 HP프린터로 사용하는 PPA 파일로 변환하는 툴의 설정 파일
pcmcia/==pcmcia의 설정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phhttpd.conf==http 엑셀레이터 phhttpd의 설정파일
pine.conf==메일/뉴스 리더 pine의 설정 파일
pine.conf.fixed==메일/뉴스리더 pine의 설정 파일
pnm2ppa.conf==portable anymap 이미지 파일을 HP프린터로 사용하는 PPA 파일로 변환하는 툴의 설정 파일
ppp/==ppp데몬의 설정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printcap==프린터의 설정 파일
profile==bash가 로그인 할떄 실행되는 설정 파일
profile.d/==로그인시 프로파일에서 불려나와 실행된 스크립트의 저장 디렉토리
protocols==프로토콜 설정 파일 (변경 불가)
pwdb.conf==pwdb의 설정 파일
pxe.conf==리모트 부트 데몬 pxe의 설정 파일
rc.d/==기동시에 데몬 등을 기동하는 스크립트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redhat-release등==디스트리뷰션의 릴리스명.issue로 전송된다.
resolv.conf==이름 해결 수단의 우선순위 등 리졸버의 설정 파일
rmt@==/sbin/rmt로의 링크,백업때 사용된다
rpc==RPC(Remote Procedure Call)서버 명과 번호의 대응이 기술된 파일
rpm/==RPM명령어 패키지에 이용하는 디렉토리
rpm2html.config==RPM 레포지터리에서 HTML 데이타베이스를 작성하는 rpm2html 설정파일
rpbfind.conf==인터넷상의 RPM 파일을 검색하는 rpm2html 설정파일
rpmlint/==RPM파일의 에러를 체크하는 rpmlint의 설정파일을 저장한다
screenrc==화면관리 프로그램,스크린의 설정파일 템플릿
security/==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에서 이용하는 모듈을 저장
sendmail.cf==sendmail의 동작 설정 파일
sendmail.cw==sendmail에서 호스트 명을 이용하는 경우 별명을 정의 하는 파일
sendmail.mc==sendmail.cf를 만들기 위한 매크로 정의 파일,매크로 프로세서 m4로 이용
services==네트웍 서비스명으로 사용하는 포트,프로토콜의 대응을 정의 하는 파일
shadow==각 유저의 새도우 패스워드에 관한 저옵를 기술하는 파일
shadow-==shadow의 백업 파일
shells==로그인 쉘로서 설정 가능한 쉘을 기술하는 파일
skel/==도트파일의 템플릿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slip/==SLIP(Serial Line Internet Protocol)로그인을 위한 설정 파일 저장
smb.conf==삼바의 설정 파일
smbpasswd==삼바의 패스워드 파일
smbusers==리눅스 유저명과 삼바 유저명을 대응 시키는 설정 파일
smrsh/==sendmail용 제한 쉘로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snmp/==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에이전트의 설정 파일
sound/==GNOME의 이벤트에 나누어 붙인 사운드 파일의 설정 파일을 저장한다
squid/==웹캐시프록시 Squid의 설정 파일을 저장한다
sysconfig/==기동시에 참조된 디바이스 등의 설정 파일을 저장한다
sysctl.conf==기동시에 네트웍을 설정하는 파일
syslog.conf==syslog데몬의 설정 파일
termcap==이전에 사용되어진 단말 정의 데이타베이스 화일
up2date.conf==up2date설정 파일
uucp/==UUCP(Unix To Unix Copy)의 설정파일을 저장한다
vfontcap@==Vflib에서 사용하는 트루타입 폰트의 설정 파일
vga==SVGALIB가 이용하는 트루타입 폰트의 설정 타입
wegtrc==HTTP/FTP대응 파일 다운로드 툴 wfget의 설정 파일
yp.conf==NIS의 설정 파일
ypserv.conf==NIS 서버의 옵션을 기술하는 파일
ytalkrc==ytalk 설정 파일
zlogin,zlogout,zprofile,zshenv,zshrc==zsh의 설정 파일<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2개

와우.. 적느라 고생하셨겠네요..
/boot
/etc
/var
/usr
/proc
디렉토리만 완벽하게 이해해도 리눅스는 거의 다 안다고해도 과언이 아니죠..
감사합니다.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8511
8510
8509
8506
8505
8503
8502
8497
8492
8491
8490
8489
8487
8484
8483
8482
28459
8481
8478
8477
8475
8474
8473
8472
8471
8469
8468
8467
8466
8465
8464
8463
8462
8461
8460
8459
8458
8457
8456
8455
8452
8451
8449
28458
8445
8444
8443
8442
8441
8440
8439
8438
8437
8436
8435
8433
8428
8427
8426
28456
8425
8424
8423
8422
8421
8419
8418
8417
28455
8416
8415
JavaScript 배열함수
8414
8412
JavaScript mktime() 1
28454
8411
28451
8410
JavaScript strrchr()
8409
기타 key()
8406
8405
28450
8404
8403
8402
8401
8400
8399
8391
8390
8389
8387
28447
8386
8384
8382
8380
8379
8377
8376
8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