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초보일지 FC4에서 가상호스트설정과정

· 19년 전 · 3025
초보일지 FC4에서 가상호스트설정과정


한컴리눅스를 잘 사용하던 중 일정한 문제가 발생하여(운영체제가 아닌) FC4로 이

동하는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설치과정은 비교적 잘 진행되었습니다. 설치시 방화벽 ssh를 신뢰하는 그룹처리하

여 서비스를 허용하였습니다. 설치후 로컬콘솔을 이용하거나 한글 putty를 이용하

여 ssh로 로그인하여 다음의 작업을 수행하였습니다.

1. yum -y update 를 콘솔에서 실행하여 업데이트를 시행하였습니다. X-window

를 통한 관리시 도메인이름서버(system-config-bind)는 글자가 깨어져 나오지만

업하면 정상적으로 나타납니다.

2. vi /etc/sysconfig/i18n 를 하여 화일이 열리면 insert키를 누르고 내용 전체를
ANG="ko_KR.eucKR"
SUPPORTED="en_US.UTF-8:en_US:en:ko_KR.eucKR:ko_KR:ko"
SYSFONT="latarcyrheb-sun16"
로 수정, 입력을 완료하였으면 esc키를 누르고 :x 를 하여 저장하면서 vi를 끝냅니

다. EUCKR로 한글코드지원을 확정하고 rebooting을 하였습니다. 과거에 운영하여

온 서버의 자료화일중 한글명이 있어 이를 소화하기 위하여는 과거의 한글코드가

지원되는 형태로 지정하여야 한 것입니다.

3. 리눅스 콘솔명령을 잘 모르는 관계로 콘솔의 사용은 매우 불편하여 원격지원

vnc를 이용X-window를 사용하기로 결정였습니다. FC4에서는

"vnc-server-4.1.1-10.1" 지원됩니다. 이의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콘솔에서
cd /root -> mkdir .vnc -> vncpasswd (암호를 입력 - 암호확인 / 암호화일생성)

-> vi /etc/sysconfig/vncservers (화일이 열리면 insert키를 누르고 다음 부분을

찾아 VNCSERVERS="숫자:사용자이름" 앞의 #을 지우고 숫자부분에 적당한 단위

수를 입력하고 이를 꼭 기억합니다. 그리고 리눅스에 등록된 사용자이를 입력합니

다. 예를 들면 root입니다. 입력을 완료하였으면 esc키를 누르고 :x 를 하여 저장하

면서 vi를 끝냅니다.) -> service vncserver start -> cd .vnc -> vi xstartup (화일

이 열리면 insert키를 누르고 다음 부분의 # unset SESSION_MANAGER #exec

/etc/X11/xinit/xinitrc 각 #들을 제거합니다. 입력을 완료하였으면 esc키를 누르고

:x 를 하여 저장하면서 vi를 끝냅니다.) -> service vncserver restart 를 시행합니

다.

*tightvnc서버를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무관합니다. 사용법은 한글과컴퓨터 리눅스

의 홈피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4. 원격접근을 위한 터미널컴에서 한글 putty를 설치 실행합니다. 이를 통해 터널링

된 ssh 서버접근을 확보하고 난 뒤 vnc터미널로 접근을 시행합니다. 설정 방법은

부를 호스트혹은 아이피를 입력하고 -> 하단의 터널링으로 갑니다. - 원포트는

5900 으로 대상은 위의 호스트 혹은 IP:590?)을 적용 실행하나 ?는 위의 3번 자료

중 숫자이다. -> 접속 -> ID PassWD입력확인 -> vnc터미널 실행 localhost로 접

속 패스워드 입력....

5. 기 운영하여온 자료의 한글을 위해 mysql의 언어를 한글euckr로 설정하는데 이


vi /etc/my.cnf ->
[mysqld]
....
init_connect = 'set names euckr'
character-set-server = euckr
default-character-set = euckr
default-collation = euckr_korean_ci
로 수정, 저장한다.

6. 아파치설정 vi etc/httpd.conf 를 실행하여 서버관리자 및 서버이름등을 설정한

다. 아파치를 실행한다.

7. 도메인이름시스템을 설정한다. 설정후 로컬에서는 확인되나 외부에서 도메인 확

인 안되는 경우 보안수준에서 그 외의 포트에 domain:tcp, domain:udp를 입력확

인처리한다. vi etc/httpd.conf의 virtualhost부분을 설정한다.

8. user홈이 연결되지않는 경우 콘솔로 나가
cd /home 후
chmod a+x 사용자명 하여 사용자권한할당을 한다.

9. 보안수준에서 https를 체크하여 확인한다. (세리눅스는 강화상태로 유지하여도

잘 동작한다.)

10.게시판소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권한설정을 적절히 한다.

* 그누보드의 자료를 참고하여 겨우 설정에 성공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20215
20214
20213
20212
28362
20211
20210
20209
20208
20207
20206
20205
20204
20203
20202
20201
20200
20199
JavaScript 계산기
20198
20197
20196
20195
20194
20193
20192
20191
20190
20189
20188
28361
20187
20186
20185
20184
20183
20182
20181
20180
20179
20177
8183
31027
8181
20176
20175
20174
20173
20172
20171
20170
20169
20168
20156
20154
20153
20152
8177
20151
20149
20148
20147
20146
20145
20144
20143
20142
20141
20140
20139
20137
20135
20134
20133
20129
20128
20126
8172
20123
20122
20121
20117
20116
20115
20114
20113
20112
20111
20110
20109
20108
20107
20106
20104
20103
20102
20101
31024
20100
20099
20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