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일지 FC4에서 가상호스트설정과정
한컴리눅스를 잘 사용하던 중 일정한 문제가 발생하여(운영체제가 아닌) FC4로 이
동하는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설치과정은 비교적 잘 진행되었습니다. 설치시 방화벽 ssh를 신뢰하는 그룹처리하
여 서비스를 허용하였습니다. 설치후 로컬콘솔을 이용하거나 한글 putty를 이용하
여 ssh로 로그인하여 다음의 작업을 수행하였습니다.
1. yum -y update 를 콘솔에서 실행하여 업데이트를 시행하였습니다. X-window
를 통한 관리시 도메인이름서버(system-config-bind)는 글자가 깨어져 나오지만
업하면 정상적으로 나타납니다.
2. vi /etc/sysconfig/i18n 를 하여 화일이 열리면 insert키를 누르고 내용 전체를
ANG="ko_KR.eucKR"
SUPPORTED="en_US.UTF-8:en_US:en:ko_KR.eucKR:ko_KR:ko"
SYSFONT="latarcyrheb-sun16"
로 수정, 입력을 완료하였으면 esc키를 누르고 :x 를 하여 저장하면서 vi를 끝냅니
다. EUCKR로 한글코드지원을 확정하고 rebooting을 하였습니다. 과거에 운영하여
온 서버의 자료화일중 한글명이 있어 이를 소화하기 위하여는 과거의 한글코드가
지원되는 형태로 지정하여야 한 것입니다.
3. 리눅스 콘솔명령을 잘 모르는 관계로 콘솔의 사용은 매우 불편하여 원격지원
vnc를 이용X-window를 사용하기로 결정였습니다. FC4에서는
"vnc-server-4.1.1-10.1" 지원됩니다. 이의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콘솔에서
cd /root -> mkdir .vnc -> vncpasswd (암호를 입력 - 암호확인 / 암호화일생성)
-> vi /etc/sysconfig/vncservers (화일이 열리면 insert키를 누르고 다음 부분을
찾아 VNCSERVERS="숫자:사용자이름" 앞의 #을 지우고 숫자부분에 적당한 단위
수를 입력하고 이를 꼭 기억합니다. 그리고 리눅스에 등록된 사용자이를 입력합니
다. 예를 들면 root입니다. 입력을 완료하였으면 esc키를 누르고 :x 를 하여 저장하
면서 vi를 끝냅니다.) -> service vncserver start -> cd .vnc -> vi xstartup (화일
이 열리면 insert키를 누르고 다음 부분의 # unset SESSION_MANAGER #exec
/etc/X11/xinit/xinitrc 각 #들을 제거합니다. 입력을 완료하였으면 esc키를 누르고
:x 를 하여 저장하면서 vi를 끝냅니다.) -> service vncserver restart 를 시행합니
다.
*tightvnc서버를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무관합니다. 사용법은 한글과컴퓨터 리눅스
의 홈피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4. 원격접근을 위한 터미널컴에서 한글 putty를 설치 실행합니다. 이를 통해 터널링
된 ssh 서버접근을 확보하고 난 뒤 vnc터미널로 접근을 시행합니다. 설정 방법은
부를 호스트혹은 아이피를 입력하고 -> 하단의 터널링으로 갑니다. - 원포트는
5900 으로 대상은 위의 호스트 혹은 IP:590?)을 적용 실행하나 ?는 위의 3번 자료
중 숫자이다. -> 접속 -> ID PassWD입력확인 -> vnc터미널 실행 localhost로 접
속 패스워드 입력....
5. 기 운영하여온 자료의 한글을 위해 mysql의 언어를 한글euckr로 설정하는데 이
는
vi /etc/my.cnf ->
[mysqld]
....
init_connect = 'set names euckr'
character-set-server = euckr
default-character-set = euckr
default-collation = euckr_korean_ci
로 수정, 저장한다.
6. 아파치설정 vi etc/httpd.conf 를 실행하여 서버관리자 및 서버이름등을 설정한
다. 아파치를 실행한다.
7. 도메인이름시스템을 설정한다. 설정후 로컬에서는 확인되나 외부에서 도메인 확
인 안되는 경우 보안수준에서 그 외의 포트에 domain:tcp, domain:udp를 입력확
인처리한다. vi etc/httpd.conf의 virtualhost부분을 설정한다.
8. user홈이 연결되지않는 경우 콘솔로 나가
cd /home 후
chmod a+x 사용자명 하여 사용자권한할당을 한다.
9. 보안수준에서 https를 체크하여 확인한다. (세리눅스는 강화상태로 유지하여도
잘 동작한다.)
10.게시판소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권한설정을 적절히 한다.
* 그누보드의 자료를 참고하여 겨우 설정에 성공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한컴리눅스를 잘 사용하던 중 일정한 문제가 발생하여(운영체제가 아닌) FC4로 이
동하는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설치과정은 비교적 잘 진행되었습니다. 설치시 방화벽 ssh를 신뢰하는 그룹처리하
여 서비스를 허용하였습니다. 설치후 로컬콘솔을 이용하거나 한글 putty를 이용하
여 ssh로 로그인하여 다음의 작업을 수행하였습니다.
1. yum -y update 를 콘솔에서 실행하여 업데이트를 시행하였습니다. X-window
를 통한 관리시 도메인이름서버(system-config-bind)는 글자가 깨어져 나오지만
업하면 정상적으로 나타납니다.
2. vi /etc/sysconfig/i18n 를 하여 화일이 열리면 insert키를 누르고 내용 전체를
ANG="ko_KR.eucKR"
SUPPORTED="en_US.UTF-8:en_US:en:ko_KR.eucKR:ko_KR:ko"
SYSFONT="latarcyrheb-sun16"
로 수정, 입력을 완료하였으면 esc키를 누르고 :x 를 하여 저장하면서 vi를 끝냅니
다. EUCKR로 한글코드지원을 확정하고 rebooting을 하였습니다. 과거에 운영하여
온 서버의 자료화일중 한글명이 있어 이를 소화하기 위하여는 과거의 한글코드가
지원되는 형태로 지정하여야 한 것입니다.
3. 리눅스 콘솔명령을 잘 모르는 관계로 콘솔의 사용은 매우 불편하여 원격지원
vnc를 이용X-window를 사용하기로 결정였습니다. FC4에서는
"vnc-server-4.1.1-10.1" 지원됩니다. 이의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콘솔에서
cd /root -> mkdir .vnc -> vncpasswd (암호를 입력 - 암호확인 / 암호화일생성)
-> vi /etc/sysconfig/vncservers (화일이 열리면 insert키를 누르고 다음 부분을
찾아 VNCSERVERS="숫자:사용자이름" 앞의 #을 지우고 숫자부분에 적당한 단위
수를 입력하고 이를 꼭 기억합니다. 그리고 리눅스에 등록된 사용자이를 입력합니
다. 예를 들면 root입니다. 입력을 완료하였으면 esc키를 누르고 :x 를 하여 저장하
면서 vi를 끝냅니다.) -> service vncserver start -> cd .vnc -> vi xstartup (화일
이 열리면 insert키를 누르고 다음 부분의 # unset SESSION_MANAGER #exec
/etc/X11/xinit/xinitrc 각 #들을 제거합니다. 입력을 완료하였으면 esc키를 누르고
:x 를 하여 저장하면서 vi를 끝냅니다.) -> service vncserver restart 를 시행합니
다.
*tightvnc서버를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무관합니다. 사용법은 한글과컴퓨터 리눅스
의 홈피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4. 원격접근을 위한 터미널컴에서 한글 putty를 설치 실행합니다. 이를 통해 터널링
된 ssh 서버접근을 확보하고 난 뒤 vnc터미널로 접근을 시행합니다. 설정 방법은
부를 호스트혹은 아이피를 입력하고 -> 하단의 터널링으로 갑니다. - 원포트는
5900 으로 대상은 위의 호스트 혹은 IP:590?)을 적용 실행하나 ?는 위의 3번 자료
중 숫자이다. -> 접속 -> ID PassWD입력확인 -> vnc터미널 실행 localhost로 접
속 패스워드 입력....
5. 기 운영하여온 자료의 한글을 위해 mysql의 언어를 한글euckr로 설정하는데 이
는
vi /etc/my.cnf ->
[mysqld]
....
init_connect = 'set names euckr'
character-set-server = euckr
default-character-set = euckr
default-collation = euckr_korean_ci
로 수정, 저장한다.
6. 아파치설정 vi etc/httpd.conf 를 실행하여 서버관리자 및 서버이름등을 설정한
다. 아파치를 실행한다.
7. 도메인이름시스템을 설정한다. 설정후 로컬에서는 확인되나 외부에서 도메인 확
인 안되는 경우 보안수준에서 그 외의 포트에 domain:tcp, domain:udp를 입력확
인처리한다. vi etc/httpd.conf의 virtualhost부분을 설정한다.
8. user홈이 연결되지않는 경우 콘솔로 나가
cd /home 후
chmod a+x 사용자명 하여 사용자권한할당을 한다.
9. 보안수준에서 https를 체크하여 확인한다. (세리눅스는 강화상태로 유지하여도
잘 동작한다.)
10.게시판소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권한설정을 적절히 한다.
* 그누보드의 자료를 참고하여 겨우 설정에 성공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게시판 목록
프로그램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430 | 19년 전 | 4088 | ||
| 429 | 19년 전 | 3284 | ||
| 428 | 19년 전 | 4118 | ||
| 427 | 19년 전 | 3462 | ||
| 426 | 19년 전 | 3093 | ||
| 425 | 19년 전 | 3389 | ||
| 424 | 19년 전 | 2430 | ||
| 423 | 19년 전 | 2841 | ||
| 422 | 19년 전 | 2333 | ||
| 421 | 19년 전 | 3700 | ||
| 420 | 19년 전 | 4723 | ||
| 419 | 19년 전 | 3775 | ||
| 418 |
|
19년 전 | 1723 | |
| 417 | 19년 전 | 2731 | ||
| 416 | 19년 전 | 2379 | ||
| 415 | 19년 전 | 2600 | ||
| 414 | 19년 전 | 4394 | ||
| 413 |
|
19년 전 | 2575 | |
| 412 | 19년 전 | 3025 | ||
| 411 |
|
19년 전 | 2977 | |
| 410 |
|
19년 전 | 3662 | |
| 409 |
|
19년 전 | 3621 | |
| 408 |
|
19년 전 | 1838 | |
| 407 | 19년 전 | 2207 | ||
| 406 | 19년 전 | 2766 | ||
| 405 | 19년 전 | 2433 | ||
| 404 | 19년 전 | 4291 | ||
| 403 | 19년 전 | 3288 | ||
| 402 |
NeoGenesis
|
19년 전 | 4076 | |
| 401 | 19년 전 | 2591 | ||
| 400 |
|
19년 전 | 2475 | |
| 399 | 19년 전 | 2941 | ||
| 398 | 19년 전 | 2474 | ||
| 397 | 19년 전 | 2774 | ||
| 396 | 19년 전 | 2460 | ||
| 395 | 19년 전 | 3165 | ||
| 394 | 19년 전 | 1697 | ||
| 393 | 19년 전 | 2978 | ||
| 392 | 19년 전 | 2240 | ||
| 391 | 19년 전 | 2171 | ||
| 390 | 19년 전 | 2264 | ||
| 389 | 19년 전 | 2628 | ||
| 388 | 19년 전 | 2119 | ||
| 387 | 19년 전 | 4464 | ||
| 386 |
|
19년 전 | 2670 | |
| 385 |
|
19년 전 | 2459 | |
| 384 | 19년 전 | 2974 | ||
| 383 | 19년 전 | 3036 | ||
| 382 | 19년 전 | 3088 | ||
| 381 |
|
19년 전 | 2623 | |
| 380 |
|
19년 전 | 3002 | |
| 379 | 19년 전 | 2538 | ||
| 378 | 19년 전 | 2194 | ||
| 377 | 19년 전 | 2769 | ||
| 376 | 19년 전 | 2463 | ||
| 375 |
|
19년 전 | 2548 | |
| 374 | 19년 전 | 3795 | ||
| 373 | 19년 전 | 3254 | ||
| 372 | 19년 전 | 4974 | ||
| 371 |
세은아빠2
|
19년 전 | 2401 | |
| 370 | 19년 전 | 4490 | ||
| 369 | 19년 전 | 3094 | ||
| 368 | 19년 전 | 2880 | ||
| 367 | 19년 전 | 3717 | ||
| 366 | 19년 전 | 2628 | ||
| 365 | 19년 전 | 3716 | ||
| 364 | 19년 전 | 3994 | ||
| 363 | 19년 전 | 3418 | ||
| 362 | 19년 전 | 3467 | ||
| 361 | 19년 전 | 4088 | ||
| 360 |
hwatta
|
19년 전 | 2346 | |
| 359 | 19년 전 | 5083 | ||
| 358 | 19년 전 | 3637 | ||
| 357 | 19년 전 | 2579 | ||
| 356 |
sdesign1s
|
19년 전 | 2260 | |
| 355 | 20년 전 | 2723 | ||
| 354 | 20년 전 | 3015 | ||
| 353 | 20년 전 | 2781 | ||
| 352 |
|
20년 전 | 5761 | |
| 351 |
|
20년 전 | 2690 | |
| 350 |
|
20년 전 | 4270 | |
| 349 |
hwatta
|
20년 전 | 2160 | |
| 348 | 20년 전 | 7297 | ||
| 347 | 20년 전 | 2403 | ||
| 346 | 20년 전 | 3484 | ||
| 345 | 20년 전 | 4289 | ||
| 344 | 20년 전 | 2613 | ||
| 343 | 20년 전 | 3904 | ||
| 342 | 20년 전 | 3050 | ||
| 341 | 20년 전 | 4075 | ||
| 340 |
|
20년 전 | 5106 | |
| 339 |
|
20년 전 | 4214 | |
| 338 | 20년 전 | 5840 | ||
| 337 | 20년 전 | 2022 | ||
| 336 |
|
20년 전 | 3295 | |
| 335 |
|
20년 전 | 3525 | |
| 334 |
|
20년 전 | 2908 | |
| 333 |
hwatta
|
20년 전 | 2417 | |
| 332 | 20년 전 | 4641 | ||
| 331 | 20년 전 | 2259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