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렌딩 모드는 보통 대표값 몇가지만 자주 사용하기때문에..설명되어있는거 찾기 힘들죠.
nomal - 기본모드, 있는 그대로를 보여줌.
dissolove - 레이어에 투명한 부분이 있거나, 불투명도를 낮추었을대 점이 뿌려진듯
거칠게 나타나는 효과 (투명도 0,100일땐 적용X)
-----------------------------------------
darken - 레이어의 밝은 부분을 투명하게 하여 아래쪽 이미지를 그대로 나타내고
어두운부분은 색과 명도를 혼합하여 어둡게 만듬.
multiply - 아래 레이어와 색상과 명도를 겹치게 하여 어둡게 나타냄.
color burn - 겹치는 레이어중 아주 밝은색과 검정을 제외한부분의
채도는 높이고 명도는 어둡게.
linear burn - 아래 레이어와 겹친부분의 명도가 50%이하일때 명도를 어둡게.
-----------------------------------------
lighten - 아래 레이어의 가장 어두운부분에 겹치는곳만 제외하고 밝게.
screen - 겹친 두 레이어의 밝은부분은 더 밝아지고 어두운 부분은 그대로.
color dodge - 겹친 두 레이어에 흰색과 어두운색 표현, 다른부분은 밝게.
linear dodge - 두 레이어의 겹친 부분의 명도가 50%이상이면 명도를 밝게.
-----------------------------------------
overlay - 두 레이어의 명도값이 50%이상이면 screen적용,50%이하이면 multiply적용
(밝은곳은 더 밝게 어두운곳은 더 어둡게)
vivid light - 아래에 있는 레이어의 명도값이 50% 이상이면 해당 레이어의 채도와 명도를
높이고, 이하이면 채도를 높이고 명도를 낮추어 색대비가 강하게 표현.
hard light - 두 레이어의 명도가 50%이상이면 채도를 높이고 이하이면 채도를 낮춤.
soft light - 두 레이어의 명도가 50% 이상이면 밝아지고 이하면 어두어짐.
linear light - 겹친 부분의 명도가 밝은부분의 채도를 줄여 강한 이미지로...
pin light - 아래 레이어의 밝은부분 >해당 레이어의 채도를 높임,
아래 레이어의 어두운부분 > 해당레이어의 채도를 낮춤.
----------------------------------------
difference - 아래 레이어의 명도를 기준으로 밝은부분일수록 해당 레이어의 색상을 반전.
exclusion - difference와 같은 효과이나 대비를 약하게 하여 조금 부드럽게 표현.
----------------------------------------
hue - 아래쪽 레이어의 명도를 따르고, 해당 레이어의 색상을 합친 표현.
saturation - 아래 레이어의 명도,색상을 따르고 해당 레이어의 채도를 합친 표현.
color - 아래 레이어의 명도, 해당 레이어의 채도와 색상을 합친 표현.
luminosity - 아래 레이어의 색상,채도를 따르고 해당 레이어의 명도를 합친 표현.
***********************************************************<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6:52:33 Photoshop에서 이동 됨]</div>
nomal - 기본모드, 있는 그대로를 보여줌.
dissolove - 레이어에 투명한 부분이 있거나, 불투명도를 낮추었을대 점이 뿌려진듯
거칠게 나타나는 효과 (투명도 0,100일땐 적용X)
-----------------------------------------
darken - 레이어의 밝은 부분을 투명하게 하여 아래쪽 이미지를 그대로 나타내고
어두운부분은 색과 명도를 혼합하여 어둡게 만듬.
multiply - 아래 레이어와 색상과 명도를 겹치게 하여 어둡게 나타냄.
color burn - 겹치는 레이어중 아주 밝은색과 검정을 제외한부분의
채도는 높이고 명도는 어둡게.
linear burn - 아래 레이어와 겹친부분의 명도가 50%이하일때 명도를 어둡게.
-----------------------------------------
lighten - 아래 레이어의 가장 어두운부분에 겹치는곳만 제외하고 밝게.
screen - 겹친 두 레이어의 밝은부분은 더 밝아지고 어두운 부분은 그대로.
color dodge - 겹친 두 레이어에 흰색과 어두운색 표현, 다른부분은 밝게.
linear dodge - 두 레이어의 겹친 부분의 명도가 50%이상이면 명도를 밝게.
-----------------------------------------
overlay - 두 레이어의 명도값이 50%이상이면 screen적용,50%이하이면 multiply적용
(밝은곳은 더 밝게 어두운곳은 더 어둡게)
vivid light - 아래에 있는 레이어의 명도값이 50% 이상이면 해당 레이어의 채도와 명도를
높이고, 이하이면 채도를 높이고 명도를 낮추어 색대비가 강하게 표현.
hard light - 두 레이어의 명도가 50%이상이면 채도를 높이고 이하이면 채도를 낮춤.
soft light - 두 레이어의 명도가 50% 이상이면 밝아지고 이하면 어두어짐.
linear light - 겹친 부분의 명도가 밝은부분의 채도를 줄여 강한 이미지로...
pin light - 아래 레이어의 밝은부분 >해당 레이어의 채도를 높임,
아래 레이어의 어두운부분 > 해당레이어의 채도를 낮춤.
----------------------------------------
difference - 아래 레이어의 명도를 기준으로 밝은부분일수록 해당 레이어의 색상을 반전.
exclusion - difference와 같은 효과이나 대비를 약하게 하여 조금 부드럽게 표현.
----------------------------------------
hue - 아래쪽 레이어의 명도를 따르고, 해당 레이어의 색상을 합친 표현.
saturation - 아래 레이어의 명도,색상을 따르고 해당 레이어의 채도를 합친 표현.
color - 아래 레이어의 명도, 해당 레이어의 채도와 색상을 합친 표현.
luminosity - 아래 레이어의 색상,채도를 따르고 해당 레이어의 명도를 합친 표현.
***********************************************************<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6:52:33 Photoshop에서 이동 됨]</div>
댓글 2개
블랜딩 모드는 대개는 아무거나 눌러서 보기 좋은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블랜딩 모드 개념을 잡을 때는
multiply<->screen
overlay<->difference
의 특성으로 개념을 먼저 잡고.. 이 개념이 잡히게 되면 .. 다음으로
darken, multiply, color burn, linear burn은 주로 어두운 효과를 내는 곳이므로 블랜딩 모드의 분리라인을 기준으로해서 각각의 특성을 예상하면 아무거나 눌러서 보기 좋은 것을 선택하는 것 보다는 좋을 것입니다. 나머지도 이와 같이 개념을 먼저 잡아야 합성을 할 때 사용하는 효과를 미리 머리속에 떠 올려 볼 수 있어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아울러 color 모드는 흑백사진을 컬러링할 때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블랜딩 모드 개념을 잡을 때는
multiply<->screen
overlay<->difference
의 특성으로 개념을 먼저 잡고.. 이 개념이 잡히게 되면 .. 다음으로
darken, multiply, color burn, linear burn은 주로 어두운 효과를 내는 곳이므로 블랜딩 모드의 분리라인을 기준으로해서 각각의 특성을 예상하면 아무거나 눌러서 보기 좋은 것을 선택하는 것 보다는 좋을 것입니다. 나머지도 이와 같이 개념을 먼저 잡아야 합성을 할 때 사용하는 효과를 미리 머리속에 떠 올려 볼 수 있어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아울러 color 모드는 흑백사진을 컬러링할 때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8374 | |
| 28446 |
HTML
리눅스 압축관련 명령어
|
| 8373 |
JavaScript
퍼미션관련 명령어
|
| 8371 |
MySQL
MySQL 덤프방법(dump)
1
|
| 8370 |
MySQL
여러데이터베이스 사용하는 방법
|
| 8364 |
기타
PHP 기초 테크닉
5
|
| 29219 | |
| 28444 |
HTML
연산자(Operators)
1
|
| 28443 |
HTML
PHP 제어구조
|
| 8359 |
기타
주요메타테그 모음
4
|
| 8357 |
MySQL
백업&복구(전체/부분/테이블)
1
|
| 8356 | |
| 8355 | |
| 8354 |
MySQL
리눅스 기본 명령어 모음[펌]
|
| 8350 |
JavaScript
dhtml menu (pull down, top down 방식 메뉴)
3
|
| 8347 | |
| 8342 | |
| 8339 | |
| 8336 |
JavaScript
체크박스를 이미지로...
2
|
| 8335 |
기타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성
|
| 8332 | |
| 8331 | |
| 8330 |
MySQL
MySQL root 패스워드 분실했을 경우
|
| 8323 | |
| 8314 |
JavaScript
PHP 홈페이지
8
|
| 8307 | |
| 8302 |
Linux
리눅스 배포판 선택하기
4
|
| 8297 | |
| 8293 | |
| 8281 |
JavaScript
우편번호를 이용한 소재지 셀렉트 박스
11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