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기하급수

· 6년 전 · 2856 · 9

2019.02.09. 00:00:45 

 

기하급수적 증가

https://www.sciencetimes.co.kr/?news=기하급수적-증가 
두께가 0.2mm인 신문지를 반으로 접는 과정을 반복해 보자. 
한 번 접으면 0.4mm, 두 번 접으면, 0.8mm, 세 번 접으면 1.6mm, 
이런 식으로 50번 접으면 신문지의 두께는 얼마가 될까? 

실제로 50번을 접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수학적으로 계산해 보면 
두께는 0.2×=225,179,981,368,524(mm)가 된다. 

환산하면 약 225,180,000km로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인 149,598,100km 보다도 커진다. 

또 어렵네. ㅡㅡ. 50번 접는 것 까지는 알겠다만 
0.2× < 이거 뭐니? 아예 모르겠다. ㅡㅡ. 





뭐지? 0.2곱하기 50 하니까 10 나오는데? 

112589906842620x 

x가 미지수 x인가? 

이런 것 알면 벌써 부자되었지! 
일단, 빠르게 외면이 사는 길. ??? 
새벽에 다시! 꼬장이다. 이제는. 

아무리 쳐다봐도 눈만 아프네. ㅜㅜ 

https://freshrimpsushi.tistory.com/170 

예쁘기는 한데 낼 보련다. ㅡㅡ. 
? 내일부터 이놈 붙잡고 실랑이 할까? 질질 끌 것 없잖아? 
어서 배워야지? 

아니 인수분해도 못 하는데 등비수열? 
공식보니까 더 어려워 보이는데. ㅋ 

 

////////////////

 

일단 적으면서 정말 모르겠다.

찍지도 못하겠다.

 

안 되겠다. 본문부터 다시 읽는다.

기하급수적 증가

https://www.sciencetimes.co.kr/?news=기하급수적-증가 

 

무슨 소리인지 알 것도 같으면서 하나도 모르겠다. ㅡㅡ.

 

저 공식이 어떻게 나온거지?

뒤로 가도 안 보이고, 앞으로 가도 막히고!

 

이 공식 바른가?

 

일단 정답인지 확인.

 

2에 49승 곱하기 0.2 = 

 

무식하게 계산기 이용 계산해 본다.

값은 일치한다.

하나하나 찍어서 계산했다. 흑.

.....................................

 

06:50:56

 

답은 맞네? 어떻게 계산하는 거지?

저놈의 공식을 도저히 이해 못 하겠음?
진짜 못 하는 거니? 또 눈알 막고 있는 거니?

 

이것을 공식으로 나타낼 수는 없나?
https://sir.kr/cm_free/1496312
내 눈을 막았던 사건.

 

0.2X 이거 도대체 모르겠네?

잠시 커피. ㅋㅋ

에잇 돈 벌어야 하는데 또 이런 짓 하고 있네. ㅡㅡ
이러니 장사해야 한다. 나는
다른 것 하면 거지 됨. ㅋ

..............................

 

06:56:02

 

일단 휴식 중.

.................................

 

07:01:27

 

신문지 접기 실험을 해보아도

상상을 초월하는 결과를 얻게 된다.

두께가 0.2mm인 신문지를 반으로 접는 과정을 반복해 보자.

한 번 접으면 0.4mm, 두 번 접으면, 0.8mm,

세 번 접으면 1.6mm, 이런 식으로

50번 접으면 신문지의 두께는 얼마가 될까? 

실제로 50번을 접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 해보겠음. 신문지.

수학적으로 계산해 보면 두께는

0.2×=225,179,981,368,524(mm)가 된다.

 

환산하면 약 225,180,000km로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인 149,598,100km 보다도 커진다.

이쯤 되면 아인슈타인이 2배씩 늘어나는 복식 증가를

‘세상의 8번째 불가사의’라고 한 이유를 알 듯 하다.

이처럼 우리의 예상을 무색하게 하는 예들을 보면

인간의 직관이라는 것은 불완전하기 짝이 없다는 생각이 든다. 

잘못 가져왔나? 

똑같은데? 

0.2×=225,179,981,368,524 

만약? 

0.2 곱하기 49번 째 까지 접은 갯수는? 
이때 225,179,981,368,524의 절반 값이 나온다면? 
바르지? 아닌가?

..............................

 

07:01:46

 

225,179,981,368,524 
일단 계산기. 

112589990684262 

여기에다 곱하기 0.2 

잉? 

결과가 왜 이래? 

이놈의 수포자 개념 정말 없다. 

내가 원하는 것이 이게 아닌데 ㅋㅋ

 

이런 계산은 수포자만 할 수 있다!

아무도 모름. 우리만 안다. ㅋ

......................................

 

19.02.09 07:05:53


225,179,981,368,524 이것을 0.2로 나누면 나오네. ㅎㅎㅎ


아이고 못 해 먹겠다.

 

정답. 

 

그런데 지금 뭘 찾고 있던 거지? 

답이 아니잖아?


저 공식을 이해하지 못하니까 발생한 문제였음. ?? 그렇다.

 

내가 무슨 수로 저 공식을 이해하겠는가. 
수포자 주제에 등비급수를 어떻게 알겠어? 

아니 오늘은 왜 아직도 안 일어나지? 
기침하셔야 어떻게 물어 보기라도 하는데 말이다! 
뭘 알아야 접근을 하지. 잉.

...................................

 

07:23:51

 

커피만 홀짝홀짝 넘긴다.

글을 아무리 읽어도 아직 진짜는 모르겠다.

 

한잔 더 먹어야지!

 

카페인이여 그대를 믿노라! ㅋ

.................................

 

07:28:39

 

답답한 놈이 우물 판다. 땅굴도 팔 수 있다.

인터넷 검색!

 

제대로 몰라서 발생하는 현상 같음.

 

구글아!

나 머리 터지는 것 같아요.

 

기하급수가 뭐니?

 

a의 첫 항부터 a의 n항까지의 기하급수를 표현하는 방법은 이와 같다.

https://namu.wiki/w/기하급수

 

오, 역시 빠르다. 너는! ㅋ
한방에 나오네.

 

그런데요. 공식은 봤는데요. 흑.

 

알겠습니다. 뜯겠습니다.

계속 쳐다보면 보이기는 하더라고요. ㅡㅡ. 잉.

설명은 없고 공식만! 엉엉.

 

1299183010_1549665290.568.png

 

공식 : https://namu.wiki/w/기하급수 | 나무위키 기하급수

......................................

 

2019.02.09. 07:55:41

 

아, 계산기로 하나하나 찍은 것이

1299183010_1549666494.8061.png

이거구나. 

 

답은 나오더라고? ㅎ

 

공식 상단은 모두 이해가 간다.

그러니까 이렇게 무식하게 계산하면 답을 얻는데 시간이 걸리니?

막판 계산 방법을 쓰자! 뭐 이런 거네요?

......................................

 

2019.02.09. 08:27:22

나는 이해했다. 하지만 완벽하게 이해한 것이 아니다.

수학포기자도 이해를 시킬 수 있을 때

그때 진짜 이해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완벽하게 이해할 생각이다.

 

처음 접했던 문장은 바르다고 하기도 그렇다.

2x 이 x가 뭐냐에 따라서 다르다.

이 표현은 바르나 이 x가 뭔지

표현을 정확하게 하지 않은 상황은 잘못된 것 같다.

우리를 더 혼란스럽게 하는 문장이다.

가뜩이나 모르는데 어떻게 접근하겠는가!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9개

시그마는 다음에.
(다음은 무슨 다음 같은 소리다!)
무한까지 가느냐 안 가느냐 차이.
..........................

우선 위에 있는 분.

쳐다보기 ㅋ

1. 일단, 다른 생각 일체 없어야 한다.
2. 한 개라도 놓치면 안 된다.
3. 계속 본다. 반복하여 본다.
4. 뭔 소린지 모를 때는 질문한다.

누구?

아무도 없음 나에게라도 한다. ㅡㅡ.
대화 없이 해결방법 있어? ㅋ
일단 모두 같다고 하니까? 깡 무시한다.
우리는 쉽게 가야 한다.

마지막 값으로 도전.
a가 초항. 그러니까 0.2

찍기다. 이제 답이 없다.
나의 직관을 믿는다. ㅋ

그런데 r은 뭐니? 또 막히네?

일단 대문자S 그리고 소문자 n
이것이 뭔지 파악한다.

일단 작성하기 쉽게 가겠다. 수포자들이여. ㅋ

Sn = ?

나도 지금은 모른다. ㅎㅎ
...........................

07:47:16

r 이놈은 비율이다.

오늘은 여기까지 도저히 알고 싶지 않지만.
알아야 하는 슬픈 운명.

/////////////////////////

아무도 알려주시지 마세요!
꼭 스스로 찾겠습니다!
오기발동 ㅋ

현재까지 1시간 10분 소요.
r이 누군지는 알아냈음. 천천히 해부할 생각.
a1 = 0.2 < 이것이 초항.
a2 = 0.2+.02 = 2곱하기 a1 바른가?
a3 = (0.2+.0.2)+(0.2+0.2)=2xa2=2x2xa1=2에2승xa1
a4 ={(0.2+0.2)+(0.2+0.2)}x2=2에2승xa1x2=a에3승xa1
.
.
.
.
a50 = 2에 49승xa1
.
.
.
.
an=2에n-1승xa1

결국 이 소리 같은데?

a1=0.2=처음 값

0.2x 49번째까지 접은 개수

알았다. 나는

이것을 어떻게 쉽게 설명하지?
내가 찾은 방법 그대로!

공식이 엄청나게 복잡하게 보여 처음에는 쫄았다.
하지만 하나하나 뜯어서 보니 별 것 없네? ㅋ
물론 수학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
엄청 어렵다. 그러나 알고 보면 흥미롭다.
그러니까? 재밌다!
본문 내용 일요일에 깔끔하게 수정합니다.
이렇게 하려고는 했는데요.

우선 먹고 사는 것 먼저 하고 난 후! ㅜㅜ
여하튼 가까운 시일 내 고치겠습니다. 흑.

수포자 여러분!
저처럼 하세요! 그러면 수학 보입니다. ^^
내 기필코 이렇게 만들겠음. 둥.
............................................

앞의 항에 일정한 수를 곱한 항으로 이루어지는 급수. ...
공비를 로 표시하고 등비수열의 각 항을 더하기로
연결한 것을 기하급수(등비급수)라 한다

안다. 수고해라!
...........................

2019.02.09. 11:15:09
항이 그 앞의 항에 일정한 수를 곱한 것으로 이루어진 급수이다.
즉, 앞의 항의 일정한 수(공비)를 곱하면 그 수를 얻을 수 있다.
https://www.scienceall.com/기하급수geometric-series-幾何級數-2/

몰랐다 이놈아! 고맙다. 흑흑

Sn=na 오 깔끔!

? 나도 어제 알았는데? 뭐야 이거.
실수, 오늘 아침에 알았네? ㅎ ㅡㅡ.
테일러급수와 맥클로린 급수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dj1725&logNo=80193211268&categoryNo=6&proxyReferer=&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할 수 있을까?
월요일에 물어뜯기!
할 수 있어 보임.

두려워하지 말자! 무섭다면 지는 것이다!
.......................................

2019.02.09. 23:37:07
이상하게 돌아간다. 뱀 꿈처럼 돌아간다.
나는 교육자가 아닌데. ㅡㅡ.
내가 배우고 싶을 뿐인데 조금은 답답하다.
독특하게 가네? 예상치 못한 경로로. ㅎ
6년 전
뭘 그리 복잡하게...
그냥 공비가 2인 등비급수의 합 아닙니까.
초항(a)는 0.2
공비(r)는 2
말항(n)은 50
이를 공식에 넣어버리면 끝.
@상석하대 말씀주신 것을 아는데 하루가 꼬박 걸렸습니다. 엉엉. ㅎ
감사합니다. 선생님!
여기 본문 고쳐야 하네? 일단 주소만 스티커 메모에 저장.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3195
3178
3136
3121
3120
3119
3118
3109
3105
3103
3094
3090
3019
3014
3008
3000
2989
2981
2978
2954
2949
2933
2931
2929
2914
2913
2906
2895
2893
2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