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소셜로그인과 pdo

· 4년 전 · 1637 · 5

구글과 카카오 네이버 페이스북이 가장 많이 사용될것으로 생각되는데

우선 구글과 카카오는 잘 되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네이버와 페이스북도 작업해야하지만, 번거로우면 일단 넘길 생각입니다 페이코는 아예 작업하지 않을 생각이며

트위터는 시간이 나면 추후에 할 생각입니다.

 

그리고 현재 백엔드는 sql 인젝션에 잘 당하기 쉬운 구조의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무늬만 pdo로 바꾸고 사실 mysqli랑 다를게 없는 형태였는데,

 

sql문을 전체적으로 갈아엎어서 바꾸고 있습니다.

소스 코드 수정 및 진행은 테마 자료실에도 올렸듯이 깃허브에 계속 푸시하고 있으니 확인은 하실 수 있습니다

 

이 두 부분만 처리되면 어떻게든 실사용은 가능한 수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백앤드 구축이 어느정도 안정화되어 크게 소스 수정이 필요 없을때 리액트 버전도 생각중입니다.

 

물론 적절한 여유와 시간, 그리고 그 시간에 이 코딩을 하고 싶은 충동이 들어야 할테니 계획만 저렇다고 볼 수 있겠네요.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5개

PDO에 관심이 있었는데, 한번 봐야겠네요
로그인만 했다고 모든 API를 다 사용할 수 있으면 안될 것 가타요.
해당 아이디를 디비에 수시로 물어봐서 해당 게시물의 저자인가? 게시판의 레벨이상인가? 등등 2차 authen~? authoriz~? 를 거쳐야 보안에 이상이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는 초보라 그냥 로그인만 되면 뭐던할 수 있던 것에 정말 놀랐습니다. 내가 쓴 글 다른 아이디로 삭제,수정하고... ㅜㅜ; API서버도 조금 깊게 들어가니 많이 손대야...
4년 전
얼마전 vue 로 작업해보고 vue 와 react중 어떤걸 메인으로 가야 할까 고민하다 react 로 방향을 잡았는데 어떠신가요?
작업하신 소스는 아직 자세하게 보지 못했지만 정말 대단 하십니다...
@어린왕자
react나 vue나 목적은 같은 프레임워크고 편하신걸로 하시면 될 것 같네요
그누보드에서 프론트와 백을 나누는것은 개인적으로 느낀 바로는 백앤드 작업이 8 프론트가 2입니다.
그만큼 프론트에 들어갈일이 생각보다 별로 없습니다.

@xpem 그누보드의 권한 처리는 현재 그누보드와 동일하게 하고 있습니다
글 작성 권한을 가지거나 보기 권한을 가진 자가 아니면 에러메시지를 띄우는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볼피드 아 볼피드님 프로그램이 그렇다는 것이 아니라, 제가 짠 프로그램이... ㅜㅜ; 너무 허술했던 것을 드린 말씀이었습니다. Orz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416
415
394
375
373
368
367
364
362
360
358
356
353
351
345
344
332
329
315
309
308
300
299
294
287
281
272
270
266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