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업 내용은 아파치존 의 db 를 백업하고 InnoDB로 변환하는 과정을 옮긴 것 입니다.
1. 기존(MyISAM으로 설정된) DB를 Dump 백업 합니다.
#mysqldump -u 아이디 -p 백업할 데이터베이스 이름 > 덤프파일 명
[code]
mysqldump -u root -p apachezone > apachezone.sql
[/code]
2. 복원시 InnoDB로 적용하기 위해 덤프한 파일에서 엔진이름 변경을 합니다.
#sed -e ‘s/ENGINE=MyISAM/Engine=InnoDB/g’ 덤프파일명 > 새로 적용 할 덤프파일 명
[code]
sed -e "s/ENGINE=MyISAM/Engine=InnoDB/g" apachezone.sql > apachezone_01.sql
[/code]
3. mysql 콘솔에 접속 후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를 삭제, 새로 생성을 해 줍니다.
#mysql 접속하기
[code]
mysql -u root -p
Enter password:
[/code]
#mysql> drop database 삭제할 데이터베이스 명을 입력하고 엔터
[code]
mysql> drop database apachezone;
[/code]
#mysql> create database 생성할 데이터베이스 명을 입력하고 엔터
[code]
mysql> create database apachezone;
[/code]
#작업이 끝났으면 빠져 나오기
[code]
exit
[/code]
4. 변경된 덤프파일을 이용해 데이터 베이스를 복원
#mysql -u 아이디 -p 복원할 데이터베이스 명 < 변경한 덤프파일명
[code]
mysql -u root -p apachezone < apachezone_01.sql
[/code]
5. 복원된 테이블들의 Engine Type을 확인 합니다.

출처 : 아파치존, https://apachezone.com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2839 | |
| 2838 | |
| 2830 | |
| 2827 | |
| 2820 | |
| 2814 | |
| 2811 | |
| 2808 | |
| 2807 | |
| 2805 | |
| 2798 | |
| 2790 | |
| 2789 | |
| 2779 | |
| 2773 | |
| 2772 | |
| 2768 | |
| 2765 | |
| 2756 | |
| 2754 | |
| 2740 | |
| 2739 | |
| 2736 | |
| 2730 | |
| 2725 | |
| 2715 | |
| 2712 | |
| 2710 | |
| 2709 | |
| 2704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