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이 하고 localhost로 접속했을때에 phpinfo화면이 잘 나오면..
laradock과 같은 디렉토리 위치에 github에서 5.4버전을 다운로드 합니다.
현재 디렉토리 위치는 laradock 아래인 경우
git clone https://github.com/gnuboard/gnuboard5 ../gnuboard54
디렉토리 구조가 아래와 같습니다.
+ laradock
+ sqldata
+ test
+ gnuboard54
data 디렉토리를 만들어 줍니다.
mkdir ../gnuboard54/data
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파일에
127.0.0.1 gnuboard54.test
를 추가합니다.
nginx/sites 아래에
default.conf 파일에서
이 파일 중간에
server_name gnuboard54.test;
root /var/www;
로 만들어주세요. public을 지우시고 저장
.env에서 아래와 같이 변경해주세요.
APP_CODE_PATH_HOST=../gnuboard54
다 스탑시킵니다. (개별로 해도 되는데..)
docker-compose stop
다시 실행시킵니다.
docker-compose up -d nginx mysql phpmyadmin redis workspace
잘 돌고 있는지 체크합니다.
docker-compose ps
웹브라우저에서 gnuboard54.test로 접속해 봅니다.
gnuboard설치 화면이 나오면 성공입니다.
phpmyadmin에 접속해서 database를 만듭니다.
localhost:8080
mysql/root/root로 접속해서 Database를 만듭니다.

utf8mb4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Gnuboard설치시에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mysql Host정보가 localhost가 아니라 mysql입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3081 | |
| 3071 | |
| 3054 | |
| 3052 | |
| 3049 | |
| 3045 | |
| 3042 | |
| 3039 | |
| 3035 | |
| 3030 | |
| 3029 | |
| 3028 | |
| 3025 | |
| 3022 | |
| 3018 | |
| 3017 | |
| 3016 | |
| 3012 | |
| 3003 | |
| 2999 | |
| 2998 | |
| 2996 | |
| 2993 | |
| 2985 | |
| 2983 | |
| 2982 | |
| 2978 | |
| 2977 | |
| 2976 | |
| 2974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