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이 하고 localhost로 접속했을때에 phpinfo화면이 잘 나오면..
laradock과 같은 디렉토리 위치에 github에서 5.4버전을 다운로드 합니다.
현재 디렉토리 위치는 laradock 아래인 경우
git clone https://github.com/gnuboard/gnuboard5 ../gnuboard54
디렉토리 구조가 아래와 같습니다.
+ laradock
+ sqldata
+ test
+ gnuboard54
data 디렉토리를 만들어 줍니다.
mkdir ../gnuboard54/data
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파일에
127.0.0.1 gnuboard54.test
를 추가합니다.
nginx/sites 아래에
default.conf 파일에서
이 파일 중간에
server_name gnuboard54.test;
root /var/www;
로 만들어주세요. public을 지우시고 저장
.env에서 아래와 같이 변경해주세요.
APP_CODE_PATH_HOST=../gnuboard54
다 스탑시킵니다. (개별로 해도 되는데..)
docker-compose stop
다시 실행시킵니다.
docker-compose up -d nginx mysql phpmyadmin redis workspace
잘 돌고 있는지 체크합니다.
docker-compose ps
웹브라우저에서 gnuboard54.test로 접속해 봅니다.
gnuboard설치 화면이 나오면 성공입니다.
phpmyadmin에 접속해서 database를 만듭니다.
localhost:8080
mysql/root/root로 접속해서 Database를 만듭니다.

utf8mb4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Gnuboard설치시에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mysql Host정보가 localhost가 아니라 mysql입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2697 | |
| 2689 | |
| 2686 | |
| 2677 | |
| 2672 | |
| 2671 | |
| 2667 | |
| 2660 | |
| 2659 | |
| 2656 | |
| 2655 | |
| 2652 | |
| 2651 | |
| 2649 | |
| 2647 | |
| 2646 | |
| 2639 | |
| 2638 | |
| 2635 | |
| 2629 | |
| 2628 | |
| 2623 | |
| 2614 | |
| 2608 | |
| 2605 | |
| 2602 | |
| 2594 | |
| 2591 | |
| 2586 | |
| 258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