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몇가지 사항이 있는데 그러한 사항 중에서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식으로 거론되는 부분은
Mysql DB방식을 isam에서 innodb로 바꾸는 부분이죠.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려고 합니다.
[1] 서버사용자(SSH 및 여러 권한 필요)
1. 먼저 ssh로 접근하셔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Mysql을 백업을 하시면 됩니다.
(DB이름은 XE의 DB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mysqldump -u 사용자명 -p DB이름 > 원하는이름.sql
2. 덤프(백업)를 뜬 sql 파일을 열어서 MyISAM(혹은 ISAM, isam)을 InnoDB로 변경하여 주시면 됩니다.
vim 을 사용하시면 좋고, vim 사용이 익숙하지 못한 분은 다운 받아서 editplus등을 이용하셔도 되겠습니다.
vim에서 바꾸는 방법은
:%s/MyISAM/InnoDB/c
후 제대로 된 부분이 바뀌는지 확인하시고 a를 누르시면 다 replace됩니다.
※주의 : 바꾸시기 전에 cp 원래db명 백업파일명 등을 사용하여 백업해두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3. 원래 사용하던 db를 지웁니다.
mysql -u사용자명 -p
use mysql;
drop DATABASE 원래사용하던DB명;
4. 다시 사용하던 db를 생성합니다.
create DATABASE 원래사용하던DB명;
5. InnoDB로 바꾼 sql파일을 다시 DB에 넣습니다.
mysql -uroot -p DB명< db파일(예:aaa.sql)
6.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 작동이 안되면 위의 단계에서 무엇인가 잘못했는지 확인하고 그래도 안되면 백업해둔 원래 파일로 다시 DB에 넣습니다 -_-;;;
혹시나 innodb로 바꾸고 싶었는데 망설여졌다거나 하는 분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노파심에 하는 말이지만, 위의 방법을 사용해서 DB가 손실되었다거나 하는 일이 생겨도 제탓이 아닙니다 ㅠ_ㅠ(DB 백업을 꼭 해놓고 하십시오...) 그리고 ssh가 작동안하는 환경이어도 phpmyadmin 등을 이용가능하면 충분히 위의 방법을 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안녕히~
댓글 1개
게시판 목록
팁게시판
질문은 상단의 QA에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5927 | 9년 전 | 221 | ||
| 5926 | 9년 전 | 422 | ||
| 5925 | 9년 전 | 305 | ||
| 5924 | 9년 전 | 297 | ||
| 5923 | 9년 전 | 303 | ||
| 5922 |
|
9년 전 | 747 | |
| 5921 | 9년 전 | 332 | ||
| 5920 | 9년 전 | 298 | ||
| 5919 | 9년 전 | 279 | ||
| 5918 | 9년 전 | 744 | ||
| 5917 | 9년 전 | 448 | ||
| 5916 | 9년 전 | 305 | ||
| 5915 | 9년 전 | 278 | ||
| 5914 | 9년 전 | 297 | ||
| 5913 | 9년 전 | 333 | ||
| 5912 | 9년 전 | 269 | ||
| 5911 | 9년 전 | 334 | ||
| 5910 | 9년 전 | 267 | ||
| 5909 | 9년 전 | 374 | ||
| 5908 | 9년 전 | 298 | ||
| 5907 | 9년 전 | 288 | ||
| 5906 | 9년 전 | 232 | ||
| 5905 | 9년 전 | 317 | ||
| 5904 | 9년 전 | 275 | ||
| 5903 | 9년 전 | 291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