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 함수가 있는데,
이 수학 함수는 절대값("+", "-" 부호를 없앤 수)을 구하는 역할을 합니다.
아래, abs() 함수를 사용한 간단한 예제를 보겠습니다.
<?
$abs_value = abs(-25);
echo("실행 결과 : $abs_value");
?>
위 예제를 실행하면 "-25" 에 절대값 함수가 취해진 결과값 "25" 가 출력되겠죠.
너무 쉽나요?..^^;
다음, round()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round() 함수는 함수의 인자로 들어온 수를 반올림한 후 그 결과값을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아래, round() 함수를 사용한 예제를 보겠습니다.
<?
$round_value = round(25.5);
echo("실행 결과 : $round_value");
?>
위 예제를 실행하면 "25.5" 값에 반올림을 한 결과값 26 이 출력되겠죠.
위의 경우 소수점 첫째자리에 오는 숫자를 기준으로 반올림하였는데,
예를 들어, "25.555" 값을 반올림해서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구하기 위해서는 round() 함수에, 아래 예제에 보이는 것처럼 인자를 하나 더 추가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
$round_value = round(25.555, 2);
echo("실행 결과 : $round_value");
?>
위 예제의 의미는 "25.555" 수를 round() 함수의 두 번째 인자값인 "2" 즉, 반올림해서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나타내라는 것으로 결과값은 25.56 이 되겠죠.
마지막으로 ceil()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ceil() 함수는 그 함수의 인자로 들어온 수치값보다 큰 정수 중 최소값을 구하는 역할을 합니다.
아래 예제를 보면 ceil() 함수의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ceil_value = ceil(25.3);
echo("실행 결과 : $ceil_value");
?>
위 예제를 실행하면 위 설명대로 ceil() 함수의 인자값에 해당되는 "25.3" 보다 큰 정수 즉, (26, 27, 28 ...) 중 최소값인 26 이 구해지게 됩니다.
참고로, ceil() 함수의 경우 실제 웹프로그래밍을 하게 될 때 종종 쓰이게 되는데 예를 들어, 게시판에 올라온 글들을 페이지 단위로 나눌 때 ceil() 함수가 사용됩니다.
게시판 목록
팁게시판
질문은 상단의 QA에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5377 |
잘살아보자
|
11년 전 | 870 | |
| 5376 | 11년 전 | 1902 | ||
| 5375 | 11년 전 | 1114 | ||
| 5374 | 11년 전 | 1512 | ||
| 5373 |
SOFTA
|
11년 전 | 5695 | |
| 5372 | 11년 전 | 2240 | ||
| 5371 | 11년 전 | 15257 | ||
| 5370 | 11년 전 | 1392 | ||
| 5369 | 11년 전 | 3122 | ||
| 5368 | 11년 전 | 1559 | ||
| 5367 |
네이비컬러
|
11년 전 | 3592 | |
| 5366 |
네이비컬러
|
11년 전 | 1309 | |
| 5365 | 11년 전 | 4991 | ||
| 5364 | 11년 전 | 4372 | ||
| 5363 | 11년 전 | 4402 | ||
| 5362 | 11년 전 | 1171 | ||
| 5361 | 11년 전 | 2640 | ||
| 5360 |
봉보로봉봉
|
11년 전 | 893 | |
| 5359 |
입문개발자
|
11년 전 | 3218 | |
| 5358 | 11년 전 | 3098 | ||
| 5357 | 11년 전 | 2049 | ||
| 5356 | 11년 전 | 2486 | ||
| 5355 | 11년 전 | 2241 | ||
| 5354 | 11년 전 | 1330 | ||
| 5353 | 11년 전 | 3583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