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급자를 위한 리눅스 서버 세팅 순서와 자동 설치 스크립트 소스 - 부분 5
19. apache server 설치
** apache_1.3.27.tar.gz 과 aix.patch.txt 를 업로드 후 설치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mv aix.patch.txt aix.patch 로 이름 변경을 먼저한다.
tar xvfz apache_1.3.27.tar.gz &&
cp aix.patch apache_1.3.27 &&
cd apache_1.3.27 &&
patch -p0 < aix.patch &&
SSL_BASE=/usr/local \
EAPI_MM=/usr/local/mm \
./configure \
--prefix=/usr/local/apache \
--enable-shared=max \
--enable-rule=SHARED_CORE \
--enable-module=so &&
make &&
make install &&
vi /usr/local/apache/conf/httpd.conf
** cp 는 복사하는 명령으로,
위 명령줄은 aix.patch 는 아파치 소스디렉토리로 복사하라는 명령
patch -p0 < aix.patch
patch -p1 < aix.patch
p0 은 소스디렉토리에서 직접 패치
p1 은 소스디렉토리 밖에서 패치할 때
php 나 jsp 등과 동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shared_core 를 사용한다.
** 아래는 vi /usr/local/apache/conf/httpd.conf 를 수정하는 내용부분이다.
사용할 항목이 주석처리되어 있으면 주석을 없애준다.
ServerAdmin 을 수정 예) webmaster@hspia.net
ServerName 을 수정 예) www.hspia.net
적용후 저장하고 나온 후 아래 명령을 실행한다.
cp /usr/local/apache/bin/apachectl /etc/rc.d/init.d/httpd &&
cd /etc/rc.d/rc3.d &&
ln -s ../init.d/httpd S20httpd &&
ln -s ../init.d/httpd K20httpd &&
chown -R nobody:nobody /usr/local/apache/htdocs &&
/etc/rc.d/init.d/httpd start &&
ps -aux
** 아파치 데몬 스타트 명령 부분 /etc/rc.d/init.d/httpd start
현재 시스템에서 프로세스 확인 부분 ps -aux
위 적용이 끝나면 웹에서 확인을 한다.
옵션>> 오라클 8i 설치 시 아래 부분을 적용한다.
tar xfz i386-glibc-2.1-linux.tar.gz
glibc-2.1 지원을 위한 소스 압축해제(압축해제시 / 디렉토리에서 수행할 것)
압축이 /usr/include/i386-glibc-2.1-linux로 풀린다.
cd /usr/bin &&
mkdir saved &&
mv gcc cc ld saved &&
ln -sf /usr/i386-glibc-2.1-linux/bin/i386-glibc21-linux-gcc gcc &&
ln -sf gcc cc &&
ln -sf /usr/i386-glibc-2.1-linux/bin/i386-glibc21-linux-ld ld &&
cd /usr/lib &&
mkdir saved &&
mv libc.so libdl.so libm.so libpthread.so saved &&
mv libc.a libdl.a libm.a libpthread.a saved
아래는 오라클 설치 완료 후 원래 상태로 복원하는 부분이다.
--RESTORE--
cd /usr/bin &&
rm -f gcc cc ld &&
cd /usr/bin/saved &&
mv * .. &&
cd .. &&
rm -rf saved &&
cd /usr/lib/saved &&
mv * .. &&
cd .. &&
rm -rf saved<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 apache_1.3.27.tar.gz 과 aix.patch.txt 를 업로드 후 설치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mv aix.patch.txt aix.patch 로 이름 변경을 먼저한다.
tar xvfz apache_1.3.27.tar.gz &&
cp aix.patch apache_1.3.27 &&
cd apache_1.3.27 &&
patch -p0 < aix.patch &&
SSL_BASE=/usr/local \
EAPI_MM=/usr/local/mm \
./configure \
--prefix=/usr/local/apache \
--enable-shared=max \
--enable-rule=SHARED_CORE \
--enable-module=so &&
make &&
make install &&
vi /usr/local/apache/conf/httpd.conf
** cp 는 복사하는 명령으로,
위 명령줄은 aix.patch 는 아파치 소스디렉토리로 복사하라는 명령
patch -p0 < aix.patch
patch -p1 < aix.patch
p0 은 소스디렉토리에서 직접 패치
p1 은 소스디렉토리 밖에서 패치할 때
php 나 jsp 등과 동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shared_core 를 사용한다.
** 아래는 vi /usr/local/apache/conf/httpd.conf 를 수정하는 내용부분이다.
사용할 항목이 주석처리되어 있으면 주석을 없애준다.
ServerAdmin 을 수정 예) webmaster@hspia.net
ServerName 을 수정 예) www.hspia.net
적용후 저장하고 나온 후 아래 명령을 실행한다.
cp /usr/local/apache/bin/apachectl /etc/rc.d/init.d/httpd &&
cd /etc/rc.d/rc3.d &&
ln -s ../init.d/httpd S20httpd &&
ln -s ../init.d/httpd K20httpd &&
chown -R nobody:nobody /usr/local/apache/htdocs &&
/etc/rc.d/init.d/httpd start &&
ps -aux
** 아파치 데몬 스타트 명령 부분 /etc/rc.d/init.d/httpd start
현재 시스템에서 프로세스 확인 부분 ps -aux
위 적용이 끝나면 웹에서 확인을 한다.
옵션>> 오라클 8i 설치 시 아래 부분을 적용한다.
tar xfz i386-glibc-2.1-linux.tar.gz
glibc-2.1 지원을 위한 소스 압축해제(압축해제시 / 디렉토리에서 수행할 것)
압축이 /usr/include/i386-glibc-2.1-linux로 풀린다.
cd /usr/bin &&
mkdir saved &&
mv gcc cc ld saved &&
ln -sf /usr/i386-glibc-2.1-linux/bin/i386-glibc21-linux-gcc gcc &&
ln -sf gcc cc &&
ln -sf /usr/i386-glibc-2.1-linux/bin/i386-glibc21-linux-ld ld &&
cd /usr/lib &&
mkdir saved &&
mv libc.so libdl.so libm.so libpthread.so saved &&
mv libc.a libdl.a libm.a libpthread.a saved
아래는 오라클 설치 완료 후 원래 상태로 복원하는 부분이다.
--RESTORE--
cd /usr/bin &&
rm -f gcc cc ld &&
cd /usr/bin/saved &&
mv * .. &&
cd .. &&
rm -rf saved &&
cd /usr/lib/saved &&
mv * .. &&
cd .. &&
rm -rf saved<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2438 |
JavaScript
배경음악 랜덤 재생 하기 입니다.
|
| 12437 |
JavaScript
css 지원 여부 확인해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기 입니다.
|
| 12436 |
JavaScript
하부메뉴가 보였다가 숨겨졌다 하는 토글버튼 입니다.
|
| 12435 |
JavaScript
개별 페이지에 인덱스로 거쳐 들어오게 하기 입니다.
|
| 12434 |
JavaScript
랜덤으로 이미지 출력 되기 입니다.
|
| 12433 |
JavaScript
사용자 해상도 알아내기 입니다.
|
| 12432 |
JavaScript
붙여넣기 금지하기 입니다.
|
| 12431 |
MySQL
대소문자 데이터 조회하기
|
| 12430 |
JavaScript
퇴장시 팝업창 한번한 띄우기 입니다.
|
| 12429 | |
| 12428 |
PHP
신문 기사를 긁어오기 입니다.
|
| 12427 |
JavaScript
시도, 구군, 동 주소 select
|
| 12426 |
MySQL
커리로 DB 테이블 명세서 출력하기
|
| 12425 |
JavaScript
브라우저 해상도 구분없는 절대 x,y 좌표 값 구하기 입니다
|
| 12424 |
PHP
rss 읽어오기 입니다.
|
| 12423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로 Ajax 효과내기 입니다.
|
| 12422 | |
| 12421 |
JavaScript
키보드,마우스 등 불펌방지 입니다.
|
| 12420 |
JavaScript
해상도에 따라 서로 다른 페이지로 접속 하기 입니다.
|
| 12419 |
JavaScript
특정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새로고침 하기 입니다.
|
| 12418 |
JavaScript
마우스 오버시 이미지 안쪽에 테두리주기
|
| 12417 |
node.js
git 사용메뉴얼 보면 깝깝 하네요
|
| 12416 | |
| 12415 | |
| 12414 |
JavaScript
간결한 레이어 메뉴 입니다.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