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lo.conf의 내용과 사용되어 지는 옵션들을 적어본겁니다.
Lilo란?
부트로더(loader)는 부팅과정에서 처리되는 작은 프로그램이다.
리눅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부트로더는 Lilo(Linux loader)이다.(최근에 grub도 많이 쓰인다.)
설정에 관한 것은 /etc/lilo.conf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
# vi /etc/lilo.conf
# 일반항목
boot = /dev/hda
install = /boot/boot.b
message = /boot/message
prompt
# 대기시간(아래는 30초)
timeout = 300
# 기본 항목
image = /vmlinuz
label = linux
root = /dev/hda2
read-olny
----------------------------------
일반적인 옵션
append = [하드웨어]
: 추가적인 하드웨어 인자를 명시할때 사용. 예를 들어 가지고 있는 RAM크기나 디스크 정보등을 명시할수 있다.
backup = [백업파일]
: Lilo가 부트섹터에 백업하도록 할때 사용한다.
boot = [부트장치]
: 부트 가능한 파티션을 명시, 기본 부트 파티션은 /dev/hda이다.
delay = [시간]
: 부팅하기 전에 부트로더가 얼마나 오래 기다릴 것인지를 명시
install = [부트섹터]
: 특정한 파일을 새로운 부트 섹터에 설치. 기본 부트 섹터(/boot/boot.b) 이외의 다른 곳에 설치하고자 할때 사용한다.
message = [메세지파일]
: "boot:" 프롬프트 바로 위에 출력될 메세지 파일을 명시.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부트 인자가 필요할때 사용한다.
password = [패스워드]
: 부트 패스워드 설정, 추가적인 부트 인자를 사용하여 부팅을 시도할때만 패스워드가 필요하다.
timeout = [시간]
: 입력없이 얼마나 오랫동안 기다려야 하는지 명시한다.
verbose = [수준]
: 부트 메세지가 어느 수준까지 출력되었는지 제어할수 있다. 최대 5까지 가능하다.
other = [다른 운영체제 파티션]
: 리눅스 이외의 운영체제가 설치된 파티션 위치를 지정하고 등록하여 설정한다.
====================================================================================
윈도우와 리눅스의 멀티부팅의 lilo.conf의 예문입니다..
참조하시기 바랍니당...
-------------------------------------------------------------
prompt
boot = /dev/hda # 또는 root 파티션
install = /boot/boot.b
map = /boot/map
timeout = 10 # delay, in tenth of a second (so you can interact)
#vga = 0 # optional. Use "vga=1" to get 80x50
#linear # try "linear" in case of geometry problems.
#lba32 # 1024 섹터를 넘어가는 곳에 리눅스가 설치 될 때 이것을 선택하고
# LILO를 MBR에 설치하면 1024를 넘을 때에도 LILO로 멀티부트할 수 있다.
# 윗 부분은 배포판마다 약간씩 다를 수 있다.
image = /boot/vmlinuz # 커널 zImage 파일 이름
root = /dev/hda2 # root 파티션
initrd=/boot/initrd.img # initrd 부류의 파일이 있다면 이 파일을 지정
label = Linux # 또는 마음에 드는 이름을 영문으로 붙여서 지정
read-only # root를 read-only로 마운트
other = /dev/hda1 # 만약 있다면 dos 파티션
label = dos<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Lilo란?
부트로더(loader)는 부팅과정에서 처리되는 작은 프로그램이다.
리눅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부트로더는 Lilo(Linux loader)이다.(최근에 grub도 많이 쓰인다.)
설정에 관한 것은 /etc/lilo.conf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
# vi /etc/lilo.conf
# 일반항목
boot = /dev/hda
install = /boot/boot.b
message = /boot/message
prompt
# 대기시간(아래는 30초)
timeout = 300
# 기본 항목
image = /vmlinuz
label = linux
root = /dev/hda2
read-olny
----------------------------------
일반적인 옵션
append = [하드웨어]
: 추가적인 하드웨어 인자를 명시할때 사용. 예를 들어 가지고 있는 RAM크기나 디스크 정보등을 명시할수 있다.
backup = [백업파일]
: Lilo가 부트섹터에 백업하도록 할때 사용한다.
boot = [부트장치]
: 부트 가능한 파티션을 명시, 기본 부트 파티션은 /dev/hda이다.
delay = [시간]
: 부팅하기 전에 부트로더가 얼마나 오래 기다릴 것인지를 명시
install = [부트섹터]
: 특정한 파일을 새로운 부트 섹터에 설치. 기본 부트 섹터(/boot/boot.b) 이외의 다른 곳에 설치하고자 할때 사용한다.
message = [메세지파일]
: "boot:" 프롬프트 바로 위에 출력될 메세지 파일을 명시.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부트 인자가 필요할때 사용한다.
password = [패스워드]
: 부트 패스워드 설정, 추가적인 부트 인자를 사용하여 부팅을 시도할때만 패스워드가 필요하다.
timeout = [시간]
: 입력없이 얼마나 오랫동안 기다려야 하는지 명시한다.
verbose = [수준]
: 부트 메세지가 어느 수준까지 출력되었는지 제어할수 있다. 최대 5까지 가능하다.
other = [다른 운영체제 파티션]
: 리눅스 이외의 운영체제가 설치된 파티션 위치를 지정하고 등록하여 설정한다.
====================================================================================
윈도우와 리눅스의 멀티부팅의 lilo.conf의 예문입니다..
참조하시기 바랍니당...
-------------------------------------------------------------
prompt
boot = /dev/hda # 또는 root 파티션
install = /boot/boot.b
map = /boot/map
timeout = 10 # delay, in tenth of a second (so you can interact)
#vga = 0 # optional. Use "vga=1" to get 80x50
#linear # try "linear" in case of geometry problems.
#lba32 # 1024 섹터를 넘어가는 곳에 리눅스가 설치 될 때 이것을 선택하고
# LILO를 MBR에 설치하면 1024를 넘을 때에도 LILO로 멀티부트할 수 있다.
# 윗 부분은 배포판마다 약간씩 다를 수 있다.
image = /boot/vmlinuz # 커널 zImage 파일 이름
root = /dev/hda2 # root 파티션
initrd=/boot/initrd.img # initrd 부류의 파일이 있다면 이 파일을 지정
label = Linux # 또는 마음에 드는 이름을 영문으로 붙여서 지정
read-only # root를 read-only로 마운트
other = /dev/hda1 # 만약 있다면 dos 파티션
label = dos<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2333 |
JavaScript
한글만 되게 하는 자바스크립트 입니다.
|
| 12332 |
JavaScript
간단한 팝업창 중앙에 띄우기 입니다.
|
| 12331 |
JavaScript
2단계 드롭다운 레이어 메뉴 입니다.
|
| 12329 |
JavaScript
동적 막대그래프
1
|
| 12328 |
JavaScript
간단한 위로가기 자바스크립트 입니다.
|
| 12327 |
JavaScript
따라다니는 link 퀵메뉴 입니다.
|
| 12326 |
JavaScript
글씨의 색을 자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자바스크립트 입니다.
|
| 12325 |
JavaScript
인스타그램 사진가져오기
|
| 12324 |
jQuery
checkedbox 컨트롤
|
| 12323 |
jQuery
radio 컨트롤
|
| 12322 |
jQuery
select box 컨트롤
|
| 12321 | |
| 12320 |
node.js
Node.js - 실시간 위치 추적 (2)
|
| 12319 | |
| 12318 |
JavaScript
특정 이메일 입력 금지및 이메일 유효성 검사하기 입니다.
|
| 12317 |
JavaScript
마우스 오버시 그림 변하게 하는 자바스크립트 입니다
|
| 12316 |
JavaScript
시작과 멈춤이 가능한 스크롤 텍스트 입니다.
|
| 12315 |
JavaScript
이미지 없이 라운딩 박스 + 보더 표현하기 입니다.
|
| 12314 |
JavaScript
Trim 함수 자바스크립트로 사용하기 입니다.
|
| 12313 |
JavaScript
실제 이미지 크기 알아내기 입니다.
|
| 12312 |
JavaScript
present 자바스크립트 입니다.
|
| 12311 |
JavaScript
이미지 미리 로딩시켜놓기 입니다.
|
| 12310 |
JavaScript
다각형 이미지슬라이드쇼 자바스크립트 입니다.
|
| 12309 |
JavaScript
가운데 정렬된 홈페이지에서 따라다니는 레이어 자바스크립트 입니다.
|
| 12308 |
JavaScript
클릭시 펼쳐지는 메뉴 입니다.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