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chmod 의 스틱키

· 20년 전 · 1949
퍼미션 중에.. 끝에 x 가 아닌 t 가 붙는경우를..

스틱키비트가 걸려있는 대표적인 곳은 /tmp디렉토리 이구요

스틱키는 파일을 생성하는사람만 지울수 있게.. root 는 제외

kk 사용자가 파일을 만들면 ss 사용자는 kk 만든 파일을 지울수 없다

kk 사용자는 자기가 만든 파일을 지울수 있다.

chmod 1777 abcd 요렇게 사용한다.

여기서 제일 앞자리를 계산하는법은,
4는 setuid, 2는 setgid, 1은 sticky bit입니다.

마지막으로 퍼미션을 볼때 소문자 t로 되어있는것과 대문자T로 되어있는 경우가 있는데.. t가 보이는 부분이 원래 타인의 실행권한을 보여주는 자리이죠.. 그런데 t가 있어서 실행권한이 있는건지 없는건지 구별을 못하게되죠.. 그래서 소문자 대문자를 쓰는데요..

대문자로 보이는 경우는 실행권한이 없을때구요, 소문자로 보이는 경우는 실행권한이 있을때입니다.<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12281
20386
12280
12279
12278
12277
12276
12275
12274
12273
12272
12260
360
12258
12257
12256
12255
12253
12252
12251
12250
12249
12248
12247
12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