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같은 경우는 mysql 의 dump 및 import시에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복구시에도 필요 외의 시간낭비를 줄이기위해서 DB를 파일채로 백업합니다.
#1. 장점.
사용이 간편하다.
DB용량이 크더라도 백업/복구 가 매우 빠르다.
import 및 dump 시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2. 단점.
데이터베이스 저장형식이 MyISam 일 때만 사용가능하다. (대부분의 DB가 기본값으로
MyISam 을 사용한다.)
자신의 DB 저장방식 체크방법.
phpmyadmin 에서

및 환경설정화면에서

빨간 색이 저장방식.
#3. mysql 자동백업 실행방법.
root로 로그인 후에 홈디렉토리에 저장시킴.
그럼 /root/mysql_backup.sh 로 저장되겠죠?
#chmod 700 /root/mysql_backup.sh
로 실행권한을 준 후에
#/root/mysql_backup.sh
실행해 봅니다.
/backup 이라는 폴더안에 날짜 및 시간별로 저장됩니다.
저장 안되면 댓글달아주세요.
댓글 2개
13년 전
디렉토리 백업이네요.
innodb 사용할때는 어떻게?
innodb 사용할때는 어떻게?
13년 전
위 코드로 innodb 도 백업되긴 하는데 복구가 myisam에 비해 번거로워요.
게시판 목록
팁게시판
디자인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세요.
질문은 상단의 QA에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질문은 상단의 QA에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5952 | 9년 전 | 294 | ||
| 5951 | 9년 전 | 212 | ||
| 5950 | 9년 전 | 283 | ||
| 5949 | 9년 전 | 440 | ||
| 5948 | 9년 전 | 185 | ||
| 5947 | 9년 전 | 197 | ||
| 5946 | 9년 전 | 190 | ||
| 5945 | 9년 전 | 340 | ||
| 5944 | 9년 전 | 332 | ||
| 5943 | 9년 전 | 417 | ||
| 5942 | 9년 전 | 364 | ||
| 5941 | 9년 전 | 542 | ||
| 5940 | 9년 전 | 427 | ||
| 5939 | 9년 전 | 372 | ||
| 5938 |
씨에이치넷
|
9년 전 | 1289 | |
| 5937 | 9년 전 | 399 | ||
| 5936 | 9년 전 | 358 | ||
| 5935 | 9년 전 | 350 | ||
| 5934 | 9년 전 | 290 | ||
| 5933 | 9년 전 | 710 | ||
| 5932 | 9년 전 | 276 | ||
| 5931 | 9년 전 | 298 | ||
| 5930 | 9년 전 | 485 | ||
| 5929 | 9년 전 | 286 | ||
| 5928 | 9년 전 | 344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