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3개
서버종류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1. 물리적인 서버
IDC에서 실제 서버의 파워공급이나,
LAN선 교환 , 증설, 폐기 작업을 합니다.
Disk 증설및 교환도 포함됩니다.
2. 운영체제의 서버
Linux , Unix , Windows 등의 다양한 운영체제 차원의 점검
=> 여기에는 방화벽 점검도 포함된다고 봐야죠
3. 네트웍 서버
보통은 IDC 센터들위주의 작업지만 물리와 운영체제 중간의
네트웍 장비를 점검하기도 합니다.
4. 웹서버 / DB서버 점검
소프트웨어적인 서버를 점검하는 차원이라고 보셔야 합니다.
실제로 웹서버나 DB의 패치작업
물리적인 증설작업시에도 병행되는 작업입니다.
5. 웹사이트 관리모드 점검
점검이라 할수도 있고,
업그레이드라 할수도있겠지만
PHP는 스크립트로만 이루어져서 운영중에 실시간 반영이 가능하지만
Java는 보통 서버를 재기동해야 합니다. / 핫 디플로이 하는경우도 있지만 시간차 발생의 우려로 안하더군요
서버가 1-2대만 존재하는경우는 소스갱신하는경우에 큰 영향이 적지만
웹서버/웹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수대~수십대가 되면 대형작업이 됩니다.
최소 몇시간이상씩 작업합니다. 대표적으로 금융사가 명절전후로 개편작업을 하죠
---------
사이트공지에 관리모드 점검이라는 물음이
위의 원리적인 개념이 아니라면 참고만 하세요
답변에 대한 댓글 1개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