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2개
제가알기로는....
보통... vendor/autoload.php파일은 composer라는 PHP 의존성관리 도구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때 자동으로 불러올 라이브러리들을 기술 해놓는 파일입니다.
예를 들어 엑셀파일을 컨트롤하는 라이브러리가 있을때,
프레임웍의 버전과 라이브러리의 호환 버전을 체크하여 알맞은 버전의 라이브러리를 불러와서 적재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프로그래머는 해당 라이브러리의 클래스, 메소드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죠...
우선 autoload.php파일은 composer같은 의존성 관리 도구를 사용한것이 아닌가 추측됩니다만,
소스를 받았다는 글의 주소나 링크를 덧붙여주시면 좀더 자세한 설명을 드릴 수있을것 같습니다^^
답변에 대한 댓글 4개
컴포저는 윈도우용과 리눅스용 모두 지원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만,
서버 임대나 단독서버호스팅 같은 서비스 외에 단순 웹호스팅을 받아서는... 설치하시기 힘드실겁니다..
아마 설치나 사용권한에 대해서는 서버관리자에게 문의하셔야 할겁니다^^;;
현재는 라이믹스 사이트 3개 사용중입니다.
가상서버 사용하시면 composer 직접 설치하면 될것같습니다.^^
컴포저라는 것이 라라벨이 나오면서 적극적으로 사용하게 되었죠..^^
컴포저 메뉴얼은 https://xpressengine.github.io/Composer-korean-docs/
컴포저 설치 메뉴얼은 http://xpressengine.github.io/Composer-korean-docs/doc/00-intro.md/ 페이지의 중간쯤에 있네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으니 메뉴얼을 살펴보시고 설치진행하셔도 무리없으실듯합니다^^
도움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composer는 http://www.getcomposer.org">http://www.getcomposer.org 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SSH 환경에서 설치 방법
$curl -sS https://getcomposer.org/installer">https://getcomposer.org/installer | php
$chmod +x composer.phar
하고 작업하시면 됩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composer를 설치를 해야하는것 같은데 구글링을 해도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