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4개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너 @한늘소 였다가 @스노든 으로 바꾸면 인간이 바뀌냐?
지난번처럼 다지우고 나가서 아이디 한개 얼릉 만들고 닥치고 있어 누가봐도 넌지 알거든
니가 사람들을 얼마나 짜증나게했는지 모르겠으면 알때까지 노력해보겠습니다.
편집성 인격장애(偏執性人格障碍, https://ko.wikipedia.org/wiki/%EC%98%81%EC%96%B4" title="영어">영어: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PPD)는 타인에 대하여 지속적인 https://ko.wikipedia.org/wiki/%EB%B6%88%EC%8B%A0" title="불신">불신과 의심을 갖고 있는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A%B2%A9%EC%9E%A5%EC%95%A0" title="인격장애">인격장애를 이른다. https://ko.wikipedia.org/wiki/%ED%8E%B8%EC%A7%91%EC%A6%9D" title="편집증">편집증이 일상생활에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C%9E%A5" title="지장">지장을 줄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B%8F%84" title="정도">정도로 심해지면 가지게 되는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A%B2%A9%EC%9E%A5%EC%95%A0" title="인격장애">인격장애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6%9D%EC%84%B8" title="증세">증세
- 타인의 https://ko.wikipedia.org/wiki/%EB%8F%99%EA%B8%B0" title="동기">동기나 https://ko.wikipedia.org/wiki/%EC%9D%98%EA%B2%AC" title="의견">의견을 https://ko.wikipedia.org/wiki/%EC%95%85" title="악">악의적으로https://ko.wikipedia.org/wiki/%ED%95%B4%EC%84%9D" title="해석">해석하는 등 전반적으로 불신감과 의심을 갖고 있다.
-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84%9C" title="정서">정서적인 https://ko.wikipedia.org/wiki/%EB%A9%B4" title="면">면에서 매우 냉담하고, https://ko.wikipedia.org/wiki/%EA%B6%8C%EB%A0%A5" title="권력">권력과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C%9C%84" title="지위">지위에 https://ko.wikipedia.org/wiki/%EC%A7%91%EC%B0%A9" title="집착">집착한다.
- 자신보다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7%B4%EB%93%B1&action=edit&redlink=1" title="열등 (없는 문서)">열등하다고 https://ko.wikipedia.org/wiki/%EC%83%9D%EA%B0%81" title="생각">생각하는 사람을 https://ko.wikipedia.org/wiki/%EA%B2%BD%EB%A9%B8" title="경멸">경멸하는 https://ko.wikipedia.org/wiki/%ED%83%9C%EB%8F%84" title="태도">태도로 본다.
- 대인관계에 있어서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6%B8%EC%A0%9C&action=edit&redlink=1" title="언제 (없는 문서)">언제나 불안과 갈등을 유발시킨다.
- 상대방의 https://ko.wikipedia.org/wiki/%EB%B0%98%EC%9D%91" title="반응">반응에 지나치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AF%BC%EA%B0%90&action=edit&redlink=1" title="민감 (없는 문서)">민감하고, 상대방의 https://ko.wikipedia.org/wiki/%EB%8F%99%EA%B8%B0" title="동기">동기나 https://ko.wikipedia.org/wiki/%EC%9D%98%EB%8F%84" title="의도">의도를 믿지 않아 장기간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B%8B%B9" title="정당">정당하지 못한 의심을 한다.
- 상대방을 어떻게든 https://ko.wikipedia.org/wiki/%EC%9D%B5%EB%AA%85" title="익명">익명성을 이용해 떠보거나, 비꼬는 말 등을 이용해 약올리는 걸 좋아한다.
- 자신이 한 https://ko.wikipedia.org/wiki/%ED%96%89%EC%9C%84" title="행위">행위를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9D%B8%EC%A0%95&action=edit&redlink=1" title="인정 (없는 문서)">인정하지 않고, 남이 하는 https://ko.wikipedia.org/wiki/%ED%96%89%EC%9C%84" title="행위">행위처럼 얘기하며 상대방에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B%B6%88%EC%BE%8C&action=edit&redlink=1" title="불쾌 (없는 문서)">불쾌한 행동을 했음에도 본인의 https://ko.wikipedia.org/wiki/%ED%96%89%EB%8F%99" title="행동">행동을 마치 다른 사람에게 했다는 식으로 말하는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D%8A%B9%EC%A7%95&action=edit&redlink=1" title="특징 (없는 문서)">특징을 가지고 있다.
-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84%9C" title="정서">정서의 폭이 좁기 때문에 유머 https://ko.wikipedia.org/wiki/%EA%B0%90%EA%B0%81" title="감각">감각이 결여되어 있고, https://ko.wikipedia.org/wiki/%EB%86%8D%EB%8B%B4" title="농담">농담도 할 줄도 모르고, 우연한 농담도 심각한 인신공격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 조금만 무시를 받아도 마음에 커다란 적개심을 품는데, 한번 품은 적대감정은 쉽게 풀리지 않는다.
- 자신이 행한 행위에 대해서 반성이나 잘못을 뉘우치긴 커녕 오히려 상대방한테 잘못을 떠넘긴다.
- 대인관계에서 정당한 이유, 확실한 근거도 없이 의심하고 질투하는 정도가 심각하게 나타난다.
- 별거 아닌 일에 쉽게 흥분을 하고, 늘 다른 사람과 싸울 태세를 하며, 늘 긴장되어 있고, 무정한 면이 있으며 자만심을 보인다.
- 상대방이 잘못한 일도 없는 사안에 대해 괜히 흥분을 하면서 강한 열등감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 상대방을 비꼬면서 억지 인신공격을 사용하여, 어떻게든 상대방을 진흙탕싸움에 참가하도록 유도한다.
- 자신이 한 행동이 잘못되었음에도 그것에 대한 두려움이 없다.
- 상대방의 의견을 자기 마음대로 해석하는 경향이 강하다.
- 한 번 마음의 상처를 주고 감정 상하게 만든 사람은 끝까지 싫어하게 된다.
-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남에게 몰아 붙이며 뻔뻔스럽게 행동한다.
- 인신공격을 즐겨하는 스타일이다.
- 이 모든 증세를 가족들에게 주로 보이니 이를 감당하는 가족들의 고통이 상당하고 특히 부모중 한 사람이 이 병을 가졌을 경우 그 아동은 위의 모든 증상을 그대로 감당하느라 끊임없는 심각한 아동학대(육체적 폭력 및 정신적 학대)에 희생된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7%84%EB%8B%A8" title="진단">진단
- 좌절과 거절에 대해 지나치게 과민하다.
- 지속적으로 원한을 품는 경향이 있다.
- 의심이 많고 다른 사람의 중립적이거나 호의적인 행동을 적대적이거나 경멸적인 것으로 오해하는 경향이 있다.
- 자신의 권리에 끈질기게 집착하고 이를 위하여 투쟁적이다.
- 상대방의 행동에 대해 잘못됐다고 생각하면 곧바로 따지고, 끈질기게 물어 붙인다.
- 정당한 근거도 없이 배우자나 애인의 정조를 반복적으로 의심한다.
- 지속적인 자기 위주의 태도를 통하여 지나치게 자기 존재감을 느끼려는 경향이 있다.
- 자기 자신의 일이나 세상일에 대하여 아무런 증거도 없이 음모라고 생각한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B%90%EC%9D%B8" title="원인">원인
성장과정을 통해 화목하지 못한 가정https://ko.wikipedia.org/wiki/%ED%8E%B8%EC%A7%91%EC%84%B1_%EC%9D%B8%EA%B2%A9%EC%9E%A5%EC%95%A0#cite_note-1">[1] 에서 자라면서 부모나 주변사람들로부터 불합리적인 태도를 받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노를 속으로 쌓이면서 성장한 데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https://ko.wikipedia.org/wiki/%ED%8E%B8%EC%A7%91%EC%84%B1_%EC%9D%B8%EA%B2%A9%EC%9E%A5%EC%95%A0#cite_note-2">[2]
https://ko.wikipedia.org/wiki/%ED%99%98%EC%9E%90" title="환자">환자https://ko.wikipedia.org/wiki/%EC%9D%98" title="의">의 https://ko.wikipedia.org/wiki/%EB%AC%B8%EC%A0%9C" title="문제">문제https://ko.wikipedia.org/wiki/%EC%A0%90" title="점">점
- 타인을 병적으로 의심하기 때문에 작업상의 능률이 저하될 수 있고 대인관계에서도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 심혈관계 계통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
- 의처증이나 의부증 같은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C%A0%95%EB%A7%9D%EC%83%81" title="부정망상">부정망상이 생기기 쉽고 심각한 아동학대가 일어나므로 가정생활은 지속적인 위기상황에 놓인다.
- 살아있는 개구리를 변기에 넣고 친구들끼리 낄낄대거나 살아있는 사마귀를 담배 피던 라이터로 불태워 죽이는 등 동물을 잔인하게 학대한다.
- 친한 친구의 짝사랑 상대를 죄책감 없이 빼았고 그 여자가 질리면 경찰인 아빠가 철두철미하다며 헤어지라고 했다고 핑계대면서 헤어진다. 헤어지고 자신이 나쁜 사람이 아니라 피해자라는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해 헤어진 전 여친이 자기 뒷담을 깠다는 거짓 소문을 지인들에게 퍼뜨리고 칼로 배를 찔러 죽이고 싶다는 잔인한 소리를 잘한다.
- 다른 사람의 잠재적 비도덕 행위에 대해 지가 경찰인 것처럼 쓸데없이 엄격하지만 자신에게는 관대하다.
https://ko.wikipedia.org/wiki/%EC%B9%98%EB%A3%8C" title="치료">치료 https://ko.wikipedia.org/wiki/%EB%B0%A9%EB%B2%95" title="방법">방법
- 환자의 주된 문제는 타인에 대한 신뢰감 결여에 있으므로, 주위 사람들은 일관성 있게 중립적인 태도를 보여줘야 한다.
- 환자에게 너무 잘해주거나 지나친 관심을 나타낼 경우에는 오히려 그 동기를 의심받을 수 있다.
- 환자가 지나치게 초조·불안·긴장되어 있을 때, 망상적 사고가 있을 경우에는 정신과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이 경우에는 항 불안제나 항 정신병제를 투여할 수 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div class="뭐뭐뭐"
div.뭐뭐뭐{
아 시 하위 5%라 저같은경우는 그냥
1. 회초리로 찰싹 찰싹 (성공)
2. 쏘쓰코드를 보면서 혼을 내준다 (성공)
3. 쏘쓰코드를 두시간 째려보기 (다수성공) 부수적으로 마우스도 고칠수있음 <-- 강추
정말 실망입니다. 그만좀개롭히십시오.
답변에 대한 댓글 1개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새벽 1시 쯤에 다시 글 남깁니다.
그땐 주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