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5개
1.
자동으로 IP주소받기 설정은 유동아이피설정이고,
다음 IP주소 사용은 고정아이피 설정인가요?
=>
그렇습니다.
고정 IP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IP 주소 받기 설정으로 해야 되고,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할당받게 됩니다.
(할당받는 IP가 바뀌는 경우는 많지는 않지만, 받아오는 IP가 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2.
그리고 기본설정 DNS 서버랑 제가 깔은 서버 모두
같은 DNS서버를 설정하려하는데 그렇게 하면
다른 컴에서도 설정한 DNS주소로 이동할 수 있나요?
=>
질문이 이해하기 어렵게 되어 있습니다. (질문을 다시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기서의 DNS 서버는,
해당 컴퓨터 브라우저(크롬, 익스플로러) 등에서 daum.net을 입력했을 때,
daum.net 의 실제 IP 주소를 알려주는 역할의 서버입니다.
168.126.63.1, 168.126.63.2 는 KT 의 DNS 서버입니다.
그래서 보통은 168.126.63.1, 168.126.63.2 로 설정하는 게 무난합니다.
(168.126.63.1, 168.126.63.2 와 같은 국내의 큰 DNS 서버로 되어 있지 않고,
엉뚱한 DNS 서버로 지정되어 있거나.. 공란으로 해두면..
daum.net 입력시 (실제 IP를 알지 못해) 사이트가 열리지 않게 됩니다.)
3.
제가 가지고 있는 무료DNS서버주소 사용해서 연결할 생각인데 그렇게 해도 될까요..?
=> 무료 도메인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페이지 주소로 사용한다는 의미인가요?
그렇다면, 그렇게 해도 됩니다.
다만, 2.의 윈도우 DNS 서버 설정과는 무관합니다.
('무료DNS서버주소'라고 하면 어떤 것을 지칭하는 것인지 알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관심 갖고 답변해주셔서 모두 감사합니다.
불금 및 황금주말 되시고, 연말 잘 마무리 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용 !!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자동으로 ip주소 받기
- 유동아이피(자동으로 아이피가 가져와짐)
다음 ip주소사용
- 고정아이피(사용자의 정해진 아이피를 직접입력)
= 사설아이피의 경우 192.168.xxx.xxx 255.255.255.0 192.168.xxx.1
= 공인아피피의 경우 업체(kt, sk, lg)등에서 정해준 아이피
(유동으로 사용시 인터넷 안됨)
자동으로 DNS 서버 주소 받기
- 유동으로 DNS가져옴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 고정아이피 제공업체에 대한 DNS
(kt : 168.126.63.1 , lg : 164.124.101.2 등등등)
여기서 사용하는 DNS는 도메인에 사용하는 DNS가 아님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