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에서 폴더별로 서브도메인 사용하는 방법 채택완료
안녕하세요.
centos 7 에 apm 설치하고 도메인연결까지 완료했습니다.
/etc/httpd/conf/httpd.conf 파일을 수정해서
# 사이트 기본페이지 mydomain.kr
DocumentRoot /var/www/html/
ServerName mydomain.kr
ServerAlias www.mydomain.kr
# 서브도메인 페이지
DocumentRoot /var/www/html/subfolder
ServerName sub.mydomain.kr
이렇게 수정했습니다.
/var/www/html/
/var/www/html/subfolder
각각 폴더 안에 파일이 따로 있는데,
mydomain.kr 은 접속이되는데
sub.mydomain.kr 은 접속이 되질 않습니다.
따로 또 세팅을 해줘야하는게 있을까요?
위 방법으로 해서 예전에는 DNS 에 CNAME과 같은 설정 없이 httpd 만 재시작하면
바로 서브도메인이 적용이 됐었던거 같은데,
이번에 새로 설치해서 작업해보려니 되질 않습니다.
놓친 부분이 있거나 방법이 잘못되었을까요?
답변 3개
a 레코드를 mydomain.kr 과 *.mydomain.kr 으로 설정해 주시면
서브 도메인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고 서버에서 사용이 가능 합니다.
서버 셋업은 https://sir.kr/so_server/2885">https://sir.kr/so_server/2885 요런것도 있으니 참고 하세요.
답변에 대한 댓글 1개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에 대한 댓글 1개
만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대부분 레코드 추가 갯수가 제한이 있어서..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혹시 도메인 구입하신대서 sub.mydomain.kr도 a레코드 주셨나요? 아마 그거때문이 아닐런지
아파치는 저렇게 설정하고 재시작 하면 되는게 맞습니다.
답변에 대한 댓글 2개
그 서버에서는 제가 위에 써놓은대로 httpd.conf 파일 내에서만 작업하고 재시작만해주면
sub.mydomain.kr 로 접속이 가능했었습니다.
그래서
sub1.mydomain.kr
sub2.mydomain.kr
sub3.mydomain.kr
.
.
.
이런식으로 바로 설정이 되었었거든요.
말씀대로라면 a 레코드 를 일일이 sub1, sbu2, 추가를 해주어야 하나요?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해당 방법으로 하니 잘 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