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6개
서비스 및 개인정보등의 문제로 걱정되시는거라면 웹호스팅(계정 등)을 하나더 만들어서 작업 및 검수후에 패치 파일을 받아서 직접 FTP로 업로드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리고 서비스에 영향을 심각하게 줄정도의 작업이라면 개발자도 계정을 새로 세팅해서 진행하고 본서비스에 적용하는 방법을 대부분 사용합니다.
답변에 대한 댓글 1개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의뢰자 입장에서는 불안감을 없앨수는 없겠지만
다루는 정보에 따라서 그 불안감의 가중치가 달라질것 같습니다.
개인정보, 민감정보가 포함된 사이트라면
제작의뢰가 아니라 직원을 뽑고 보안각서를 작성해서 일을 시키면 됩니다.
제작의뢰로 진행하는경우 정보가 노출되는건 당연합니다.
제작자 입장에서 역시 보안을 다루어야 하는것도 부담이 됩니다.
(이부분도 보안각서등의 서명/인증 날인후 진행할수도 있습니다만, 그만큼 부담에 대한 비용은 감당하시는게 서로 대비책이 될겁니다.)
그외의 특이한게 없는 로직적인부분이 평이할경우
오픈해도 전혀 지장이 없습니다.
특히나 웹호스팅을 하는경우 1일백업등을 호스팅사에서 대부분진행하는것으로 원복도 가능합니다.
(서버호스팅은 예외입니다)
악의적인 제작자가 아니라면
고객의 정보를 본다고 한들 어디 다른데 유출할꺼리도 이유도 없습니다.
제작자를 판단하시는건 의뢰자의 역량에 해당되는 요소라고 판단됩니다.
좋은 제작자를 잘 골라서 진행하시는게 제일중요하겠죠
답변에 대한 댓글 1개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다른 방법이 마땅치 않습니다.
그래서
그누보드 관리자는 임시 비밀번호로 변경
FTP 비밀번호도 임시 비밀번호로 변경
후, 변경된 것으로 알려준 후
-> 작업이 완료되면, 각 비밀번호를 다시 변경
하는 방안을 추천합니다.
답변에 대한 댓글 1개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