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3개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보통은 포인트를 충전하는 타이밍에 가상계좌를 발급합니다.
이유는 가상계좌 발급시 건당 2,300원정도의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회원가입시 바로 가상계좌를 부여하게되면, 그에따른 손실도 있을겁니다.
가상계좌는 은행에 다이렉트로 서류를 넣어서 발급하는 개념이있고
물론 이때는 타 PG사를 통해서 가상계좌 api를 제공받아야합니다.
KB국민은행에 가상계좌 계약을 했더라도,
중계 PG업체를 통해서 API를 제공받아 연결하셔야합니다.
가상계좌 작업은 많이 해봤으므로 궁금하신 사항은 개인적으로 연락주셔도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답변에 대한 댓글 1개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가상계좌는 대부분 PG사에서 재공을 합니다.
대채적으로 KCP나 이니시스, 토스등 왠만한 PG사에서는 모두 재공을 하고 있습니다.
은행에서는 가상계좌자 담당부서가 없기 때문에 안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PG사에서 신청하시면 등록이 가능하오니 참고하셔서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https://sir.kr/main/service/#pg
SIR을 통해서 가입하시면 3%정도 저렴한걸로 알고 있으니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pg사를 배제한 이유가 처음에 카드결제를 통해서 포인트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했지만 유효기간 1년과 결제한도가 주어진다고 하더라구요.
가상계좌도 혹시 포인트 유효기간과 결제한도가 주어지나요?